검색결과8건
산업

농심, 3분기 영업익 376억원…전년 대비 32.5%↓

농심은 2024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504억원, 영업이익 376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0.6%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32.5%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4.4%를 기록했다.농심 3분기 매출은 해외사업이 크게 기여했다. 국내 수출(+33.5%)을 중심으로 미국(+1.4%), 일본(+20.3%), 호주(+15.4%), 베트남(+20.4%)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국가별 식문화를 고려해 신브랜드 라인업을 확대하고, 거래선 정비로 직거래 비중을 늘려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을 진행한 효과로 분석된다.다만 국내 내수 및 중국사업은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 내수사업은 경기 둔화 영향으로 시장규모가 축소되며 특히 스낵(-6.6%), 음료(-13.8%) 카테고리에서 감소폭이 컸다. 중국사업도 현지 소비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특히 온라인 채널 판매가 부진해 매출이 감소(-21%)했다.3분기 영업이익은 내수시장 침체에 대응한 판촉비 증가와 해상운임을 포함한 수출 비용 등 경영비용의 상승으로 전년대비 감소했다.농심은 4분기에 신제품 및 미국시장을 중심으로 성과를 거두겠다는 계획이다. 농심 관계자는 “국내에서 큰 반응을 얻은 신라면 툼바를 4분기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10월부터 가동을 시작한 미국법인의 용기면 라인 증설 효과를 통해 매출 및 이익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11.14 15:55
경제일반

농심,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먹태깡·신라면 효과

농심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 3조 4106억원, 영업이익 2121억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9.0%, 영업이익은 89.1%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률은 6.2%를 기록했다.세계적인 K푸드 열풍을 타고 신라면을 중심으로 한 해외사업이 지속적인 성과를 거두고, 국내에서 선보인 신제품도 시장에서 큰 반응을 얻으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특히 해외법인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약 125% 상승해 전체 이익개선을 견인했다. 미국법인은 제2공장 가동 효과로 현지 유통업체 매출이 확대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0.4%, 131.4% 상승했고, 중국법인은 내수경기 침체에 대응해 이익중심 경영으로 전환하며 매출은 4.1%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411% 상승해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다. 그 외 캐나다, 일본, 호주, 베트남 법인도 현지 유통망 정비 및 마케팅을 강화하며 매출과 영업이익 성장에 기여했다.농심 관계자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현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저렴한 가격에 맛있게 한 끼를 채울 수 있는 라면의 매력이 부각되며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큰 성과를 거뒀다”며 “특히 22년 5월 미국 제2공장이 본격 가동되며 해외법인 실적이 크게 성장했고, 국내 수출도 증가하며 전체 매출의 약 37%, 영업이익의 50% 이상을 해외에서 거뒀다”고 말했다. 국내사업은 신제품 효과가 컸다. 특히 작년 하반기 출시한 먹태깡, 신라면 더레드, 빵부장이 소비자 사이에서 화제가 되며 전년대비 국내사업 매출증가분의 절반 가량을 신제품 매출이 기여했다.농심은 올해도 해외시장을 중심으로 성장세에 힘을 더한다는 계획이다. 하반기 미국 제2공장 생산라인 증설을 바탕으로 라틴 소비자 비중이 높은 미국 텍사스, 캘리포니아 지역과 멕시코 현지 시장점유율 확대에 도전한다. 또한 해외 각국의 소비자 기호를 고려한 라인업 확장, 직거래 비중 확대 등 영업망 정비로 내실을 함께 다져갈 예정이다.농심 관계자는 “농심은 작년 한 해 세계에서 뛰어난 품질과 맛으로 프리미엄 가치를 인정받고, 독창적인 신제품으로 시장을 주도하며 성과를 거뒀다”며 “올해도 적극적인 해외사업과 경쟁력 있는 신제품을 선보이며 성장세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3.14 17:23
연예일반

SM, 분기 사상 최대 실적···3분기 영업익 505억원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가 올해 3분기 음반·음원 매출 증가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SM은 올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505억원, 매출액 2663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0%, 12%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과 매출액 모두 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했으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292억원) 대비 189% 증가한 842억원을 달성했다. 3분기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6.5%p 증가한 19%를 기록했다.별도기준으로는 3분기 영업이익 480억원, 매출액 188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7%, 40%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371억원으로 전년대비 68% 증가했다. NCT 드림, 에스파, 라이즈 등의 음반·음원 판매 증가와 오프라인 콘서트 개최 등 아티스트들의 활발한 활동으로 3분기 최대 실적을 이끌었다.사업별로 살펴보면, 3분기에 발매된 신규 앨범 판매량은 871만장으로 전년동기(415만장)를 크게 상회하며 분기 최대 앨범 판매량을 기록했다. NCT 드림(432만장)이 쿼드러플 밀리언셀러를 기록하고 엑소, NCT, 라이즈 등도 밀리언셀러를 달성했다. 에스파는 북미, 아시아, 유럽을 포함해 월드투어를 18회 진행하면서 글로벌 팬덤 확대에 매진했다.계열사별로는 드림 메이커(DREAM MAKER)가 영업이익 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4% 증가했고, SMC는 전년 동기 대비 122% 증가한 1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SM C&C는 영업이익 9억원으로 전년대비 20% 감소하고 키이스트는 영업손실 4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적자폭을 크게 줄였다.SM은 올 4분기와 내년 1분기에도 좋은 음반·음원 판매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NCT 127의 정규 5집 컴백을 시작으로 라이즈가 지난달 27일 싱글 ‘토크 색시’를 공개했다. 오는 11월에는 웨이션브이의 정규 2집 공개를 시작으로 에스파 미니 4집, 레드 벨벳 정규 3집 앨범 발매가 예정됐고, 태연 미니 5집과 려욱 싱글도 공개된다. 또 12월에는 NCT 127의 싱글과 동방신기 정규 9집이 발매될 예정이다.내년 1분기에는 에스파가 글로벌 활동을 목표로 영어 정규 앨범을 발매할 예정이고, 싱글 발매도 준비중이다. NCT 드림과 NCT 뉴 팀의 새로운 앨범도 예고됐다.SM은 음악 퍼블리싱 사업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단기적으로는 올해 자회사 크리에이션뮤직라이츠(Kreation Music Rights)가 산하에 80명의 작가를 확보할 예정이다. 해외에서도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K팝 진출을 희망하는 해외 작가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해 나갈 계획이다.장철혁 대표이사는 “연말까지 에스파, 레드 벨벳, 태연을 비롯해 데뷔 20주년을 맞이한 동방신기의 정규 앨범 및 콘서트 등 아티스트의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고 내년에도 탄탄한 아티스트 라인업 및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일 것”이라며 “자회사 크리에이션뮤직라이즈를 통해 적극적으로 글로벌 작가 영입을 추진, 양질의 곡을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향후 외부 레이블, 기획사로의 음악 판매가 SM의 신규 수익원으로 자리 잡도록 하겠다”고 밝혔다.유지희 기자 yjhh@edaily.co.krㅅ 2023.11.08 16:09
자동차

현대차, 2분기 영업익 4조 돌파…또 역대 분기 '사상 최대'

현대자동차가 올해 2분기 매출 42조2496억원, 영업이익 4조2379억원을 거뒀다고 26일 공시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4%, 42.2% 증가한 수치이자.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글로벌 자동차용 반도체와 기타 부품의 수급 상황이 개선돼 생산량이 증가했고, 견조한 대기 수요로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증가했다"며 "영업이익은 판매대수 증가,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판매, 우호적인 환율 효과로 전년 동기보다 성장했다"고 설명했다.현대차는 2분기에 세계 시장에서 105만9713대를 판매했다. 전년 대비 8.5% 늘었다. 국내 시장에서는 지난해 말 출시한 7세대 신형 그랜저, 지난 1분기에 판매를 시작한 2세대 신형 코나 덕분에 전년 대비 12.7% 성장한 20만5503대를 판매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전년 대비 7.6% 늘어난 85만4210대를 판매했다.매출은 판매 대수 증가, 제네시스와 SUV 중심의 판매, 환율 효과 등으로 전년 대비 늘었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4%포인트(P) 낮은 79.0%로 나타났다. 판매 관리비는 마케팅비, 연구비용 증가 등으로 늘었지만, 매출액 대비 관리비는 전년 대비 1.3%P 낮은 11.0%를 보였다.영업이익은 역대 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했다. 3개 분기 연속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갱신 중이다. 영업이익률은 10.0%를 기록했다. 현대차 분기 영업이익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건 2013년 2분기 10.4% 이후 10년 만이다. 역대 분기 최고 영업이익률은 2012년 2분기 11.6%다.상반기 누적 실적은 매출 80조284억원, 영업이익 7조8306억원으로 집계됐다. 판매 대수는 208만1540대다.현대차는 3분기와 4분기 실적도 양호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연간 실적 전망도 수정했다. 올해 현대차 매출은 전년대비 14~15%(기존 10.5~11.5%), 영업이익률은 8~9%(기존 6.5~7.4%)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다만 변수로는 국가 간 갈등에 따른 지정학적 영향,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확대, 금리 인상에 따른 수요 위축 등을 꼽았다.현대차는 전기차 등 친환경차가 꾸준히 늘 것으로 보고 아이오닉6, 아이오닉5N, 코나 일렉트릭 등 전기차 판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분기 배당을 이번 2분기부터 진행한다. 이번 분기 배당은 보통주 기준 1주당 1500원으로 결정됐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07.26 18:00
경제

CJ제일제당, 2분기 영업익 3799억…사상 최대

CJ제일제당이 올해 2분기 바이오 사업의 순항과 식품 사업의 수익성 개선에 힘입어 사상 최대의 실적을 냈다. CJ제일제당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매출은 6조3092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6.6%, 영업이익은 4696억원으로 22.0%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다. 순이익은 2615억원으로 65.5% 늘었다. CJ대한통운 연결 실적을 제외하면 매출은 3조7558억원으로 8.5%, 영업이익은 3799억원으로 26.0% 증가했다. 또 분기 기준 처음으로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10.1%)을 기록했다. 부문별로 보면 식품사업부문 매출은 1% 증가한 2조2126억원, 영업이익은 3% 증가한 1299억원을 기록했다. 물류비 등 비용 부담 증가에도 수익구조 개선과 사업 효율화 등을 강도 높게 진행해 비비고·햇반 등 핵심 제품군이 지속적으로 성장한 것의 영향이다. 특히 가공식품 온라인 매출은 23%, 기업 간 거래(B2B) 매출은 9% 증가했다. 미국 슈완스를 포함한 해외 매출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기저 효과 부담과 환율 하락이라는 악재에도 1조10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바이오사업부문 매출액은 전년대비23.5% 늘어난 9176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74.8% 증가해 1939억원을 기록했다. 사료·축산사업부문에서도 매출은 전년 대비 19% 늘어난 6256억원으로 집계됐다. 곡물가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커졌고 베트남 지역 돈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13% 감소한 561억원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곡물가격과 물류비용 등이 급등하는 상황에서 과감한 체질개선을 통해 내실 있는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지속적인 신성장동력 발굴해 혁신제품을 개발하는 등 성장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8.09 17:35
경제

한국타이어, 지난해 영업이익 5429억원…전년 대비 22.7%↓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는 지난해 글로벌 연결 경영실적 기준 매출액 6조8964억원과 영업이익 5429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매출액은 2018년에 비해 1.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2.7% 감소한 수치다. 한국타이어는 승용차용 타이어 매출액 중 17인치 이상 고인치 매출 비중이 55.4%를 차지, 전년대비 3.1%p 증가했다. 하지만 글로벌 자동차 시장 위축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불확실성 지속 등의 영향으로 타이어 시장 경쟁이 심화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한국타이어는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개선을 목표로 주요 시장에서의 고인치 타이어 판매 확대, 프리미엄 신차용 타이어 공급 및 상품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2020년 매출액 7조200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신규 유통 채널 확보와 OE/RE 간 시너지 강화 등으로 안정적인 성장 구조를 구축하고 해외 각 지역 별 유통 전략을 최적화하는 등 타이어 비즈니스 경쟁력 제고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2.13 17:17
스포츠일반

2018년 스포츠산업 사업체, 매출액, 종사자 모두 지속 성장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에서 스포츠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 현황을 조사한 ‘2019 스포츠산업 실태조사(2018년 기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조사 결과 ▲ ’18년 기준 사업체 수는 103,145개로 조사되어 전년 101,207개 대비 1.9% 증가했다. ▲ 매출액은 약 78조 원으로 전년 74조 7천억 원 대비 4.5% 증가했고 ▲ 종사자 수 역시 43만5천 명으로 전년 42만4천 명 대비 2.6% 증가했다.이번 조사에서 매출액이 전년대비 4.5% 증가한 것은 5년간 연평균 성장률(3.6%, ‘17년 기준)을 상회하는 수치로 최근 스포츠산업 규모는 3% 내외의 꾸준한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써 스포츠산업의 높은 성장잠재력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업종별로는 스포츠 시설업의 성장세가 뚜렷했다. 스포츠 시설업 매출액 규모는 전년 대비 큰 폭으로 확대(13.1%, 17조 5천억 원 → 19조 8천억 원) 되어 전체 스포츠산업 성장을 이끌었다. 스포츠 용품업(1.1%, 34조 원 → 34조 3천억 원)과 스포츠 서비스업(3.0%, 23조 1천억 원 → 23조 8천억 원)은 스포츠 시설업 대비 완만한 성장 추세를 보였다.스포츠 시설업의 경우, 수영·볼링·당구장 등 세부업종별 매출액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특히, 체력단련시설 운영업(5,100억원, 36% 증가), 골프연습장 운영업(3,900억원, 24% 증가), 종합스포츠시설 운영업(2,500억원, 26%증가)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건강과 생활 스포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증가로 스포츠 참여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매출액 10억 원 이상 기업의 비중은 ’18년 기준 6.4%로 전년 6.2% 대비 소폭 증가했고, 종사자 10인 미만 기업의 비중은 ’18년 기준 95.1%로 전년 95.9% 대비 감소해 스포츠산업 기업의 영세성은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도 8.4%로 전년 8.2%에 비해 소폭 증가했지만, 여전히 스포츠산업 내실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지역별로는, 여전히 수도권(서울·인천·경기) 내에 사업체(47.0%), 매출액(67.9%), 종사자(56.0%)가 몰려 있어(’17년 각각 47.7%, 67.8%, 56.8%), 스포츠산업 내 지역적 불균형 문제는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문체부는 이번 실태조사에서도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정책 지원을 강화한다. ▲ 스포츠 금융(융자·펀드, 762억 원, 전년대비 350억 원 증가), ▲ 기업 성장단계별(창업 → 중소 → 선도기업) 맞춤형 경영 지원(201억 원, 전년대비 29억 원 증가), ▲ 지역스포츠산업 육성(211억 원, 전년대비 66억 원 증가) 등 2020년 스포츠산업 지원 규모를 전년 대비 32.4%(약 684억 원) 상승한 2,795억 원으로 대폭 확대한다.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는 국민들의 스포츠 참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스포츠 시설업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산업 내실 강화가 여전한 숙제로 남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스포츠산업이 체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최용재 기자 2020.01.31 08:59
연예

LG생건, 2017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중국내 럭셔리 화장품 선풍 덕분

LG생활건강이 지난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까지 모두 사상 최대의 실적을 기록했다.LG생활건강은 2017년 연간실적이 매출 6조2705억원, 영업이익 9303억원, 당기순이익 6185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각각 2.9%, 5.6%, 6.8%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시업별로 화장품 사업은 매출 3조3111억원, 영업이익 6361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4.9%, 10.0% 증가했다. ‘후’, ‘숨’, ‘빌리프’ 등 럭셔리(Luxury) 화장품의 고성장으로 영업이익률이 18.3%에서 19.2%로 전년대비 0.9%p 개선됐다.‘후’의 매출은 2016년에 이어 2년 연속 1조를 돌파하며 1조4000억원을 달성, 아시아 Top 화장품 브랜드로 자리잡았고, ‘숨’도 매출 3800억원을 넘어서며 ‘후’의 성장세를 이을 차세대 브랜드로 자리 매김 했다.추가 입점했다.하지만 생활용품 사업은 매출 1조5804억원과 영업이익 1670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0.9%, 10.6% 감소했다.음료 사업은 매출은 1조3789억원, 영업이익 1272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2.6%, 9.7% 증가했다. 탄산음료와 비탄산음료의 고른 성장으로 영업이익률은 9.2%로 전년대비 0.6%p 개선됐고, 시장점유율도 전년대비 0.7%p 증가한 29.7%를 달성했다.LG생활건강은 수익 증가에 따른 풍부한 현금유입으로 부채비율은 전년 말 71.8%에서 16.8%p 개선된 55.0%로 꾸준히 낮아졌다. 서지영 기자saltdoll@joongang.co.kr 2018.01.24 09:1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