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8건
부동산일반

전국 아파트값 하락폭 3주 연속 둔화…전셋값은 하락 다시 커져

정부의 전방위 규제완화 영향으로 아파트값 하락폭이 3주 연속 둔화했다. 이에 비해 역전세난이 심화하고 있는 전세시장은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확대됐다.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에 비해 0.35% 하락했다. 지난해 5월 마지막주부터 34주 연속 하락세가 지속됐지만 낙폭은 올해 들어 3주 연속 둔화하고 있다.이달 초 정부가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나머지를 규제지역에서 풀면서 집주인들이 급매물을 일부 거둬들이는 등 호가 하락을 막는데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다만 고금리와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매수세는 여전히 부진하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노원구와 도봉구는 지난주 각각 -0.70%, -0.77%에서 금주 -0.39%, -0.44%로 낙폭이 크게 줄었다.동남권(강남4구)의 경우 서초구(-0.12%)와 송파구(-0.25%)가 지난주보다 낙폭이 감소했으나 강남구는 지난주 -0.20%에서 금주 -0.25%로, 강동구는 -0.33%에서 -0.44%로 하락폭이 다시 확대됐다.전국의 아파트값은 지난주(-0.52%)보다 감소한 0.49% 내렸다. 경기도는 지난주 -0.72%에서 -0.71%로, 인천은 -0.73%에서 -0.66%로 낙폭이 둔화했다. 이에 비해 전셋값은 최근 2주 연속 둔화하던 하락폭이 다시 커졌다.집주인이 2년 전 전셋값에서 일부를 세입자에게 되돌려줘야 하는 역전세난이 심화하는 가운데 설 연휴를 앞두고 이사 수요도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전국 아파트 전셋값 낙폭은 지난주 -0.76%에서 이번주 -0.84%로 확대됐고 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지난주 -1.05%에서 -1.11%로 커졌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1.19 14:17
부동산

서울 아파트 값 10년4개월 만에 가장 큰 폭 하락

2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24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28% 내려 전주(-0.27%)보다 낙폭을 확대했다. 이는 2012년 6월 11일(-0.36%) 이후 10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조치로 시장에 매물이 풀리기 시작한 지난 5월 말부터 22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원은 “당분간 금리 상승 기조가 계속되고 집값이 추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매수문의가 크게 감소한 상황”이라며 “급매물만 간헐적으로 거래되면서 하락폭이 더 커졌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는 최근 하락세가 가팔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을 제치고 송파구(-0.43%)가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잠실·가락·장지동 등 대단지 위주로 매물가격이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이어 도봉구(-0.40%), 성북구(-0.38%), 노원구(-0.36%), 은평·강동구(-0.35%), 강북구(-0.34%), 서대문·중·강서구(-0.31%), 금천구(-0.30%) 등의 순으로 낙폭이 컸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부터 0.3%대 하락률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부동산원이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처음이다.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와 마찬가지로 0.28% 내리며 통계 작성 이후 최대폭 하락했다. 전셋값도 추락하고 있다. 서울(-0.32%)을 비롯한 수도권(-0.44%), 전국(-0.32%)이 모두 부동산원 시세 조사 이후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이자 부담으로 반전세·월세 선호 현상이 계속되고, 갱신계약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신규 전세 수요가 급감한 상태다. 이에 따라 전셋값도 하향조정되고 있다고 부동산원은 분석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10.27 17:25
부동산

전국 주택가격 13년 7개월 만에 최대폭 하락

지난달 전국 집값이 13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잇단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 속에 매수세가 자취를 감추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방에서 모두 하락폭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전국 주택 매매심리는 최근 11년 사이 가장 크게 위축되면서 주택시장도 본격적인 ‘하강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포함)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29% 하락, 2009년 1월(-0.55%) 이후 13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내렸다. 주택 유형별로는 전국 아파트값이 0.51% 떨어져 전월(-0.20%) 대비 낙폭이 2배 이상 커졌다. 이 역시 13년 7개월 만에 최대폭 하락한 것이다. 최근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집값이 더 하락할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역대급 거래 절벽과 그에 따른 집값 하락이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달 서울(-0.09→-0.24%)은 25개 자치구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면서 하락폭이 더 커졌다. 특히 노원구(-0.84%), 도봉구(-0.59%), 중구(-0.40%) 등 강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 약세가 두드러졌다. 대통령실 이전에 따른 개발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탔던 용산구(-0.01%)가 하락 전환하고, 강남3구로 묶이는 서초구(-0.05%), 강남구(-0.14%), 송파구(-0.36%)도 내림세를 보였다. 경기(-0.16→-0.45%)와 인천(-0.26→-0.64%)도 낙폭을 키우면서 수도권 전체가 0.40% 떨어졌고, 지방(-0.01→-0.18%)도 내림폭을 확대했다. 부동산원은 “금리 인상에 따른 집값 추가 하락 우려 속에 거래심리 위축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서울은 전 지역이 약세를 보였고 경기는 매물적체 현상, 인천은 신규 입주물량 등의 영향으로 하락폭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전셋값도 내림세를 이어갔다.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 월세 선호 현상으로 신규 전세수요가 감소하면서 매물만 쌓이고 있다는 게 부동산원의 분석이다. 전국의 주택종합 전셋값은 지난달 0.28% 내려 전월(-0.08%)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 서울(-0.07→-0.16%), 경기(-0.12→-0.46%), 인천(-0.34→-0.76%), 지방(-0.04→-0.17%) 등이 낙폭을 확대했다. 전국 주택 매매심리는 최근 11년 사이 가장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가 이날 발표한 ‘2022년 8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89.9로, 전달의 95.2보다 5.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4개월 연속 하락이자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에 따라 주택 매매심리는 3개월 연속 ‘보합’ 국면을 유지하다가 지난달 ‘하락’으로 전환된 것으로 조사됐다. 하락 국면 전환은 2019년 4월(91.9) 이후 3년 4개월 만이다. 국토연구원은 소비심리지수를 토대로 부동산 시장 상황을 상승(115 이상)·보합(95~115 미만)·하강(95 미만) 3개 국면으로 구분한다. 서울(87.5)과 경기(88.0), 수도권(87.6)의 지난달 지수는 모두 조사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09.15 15:09
부동산

서울 아파트 값 9주 연속 하락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에 따른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로 서울 아파트값이 9주 연속 하락했다. 2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7% 하락했다.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시행 이후 9주 연속 하락한 것으로, 지난주(-0.05%)보다 낙폭도 확대됐다. 하락폭으로는 2020년 4월 27일(-0.07%) 조사 이후 2년3개월 만에 가장 크다. 서울에서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도봉구 아파트값은 지난주(-0.14%)보다 0.03%포인트(p) 확대된 0.17%가 하락하면서 서울 25개구 가운데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또 노원구와 성북구가 각각 0.15% 내리면서 지난주(-0.13%, -0.12%)보다 하락폭이 커졌고, 강북구도 지난주 0.13%에서 금주 0.14%로 더 많이 내렸다. 서북권의 마포·서대문구(-0.13%)와 은평구(-0.14%)도 거래 침체가 이어지며 지난주보다 하락폭에 눈에 띄게 커졌다. 이에 비해 강남권은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작지만 서초구(0.01%)를 제외하고 약세가 이어졌다. 강남구는 지난주 -0.02%에서 금주 -0.01%로 낙폭이 줄었든 반면 송파구는 -0.02%에서 -0.04%로 하락폭이 커졌다. 용산구도 이번주 0.05% 떨어지며 지난주(-0.02%)보다 하락폭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0.08%)와 인천(-0.10%)도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커지면서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 낙폭은 지난주 -0.06%에서 금주 -0.08%로 확대됐다.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폭은 2019년 4월 22일(-0.10%) 조사 이후 3년3개월 만에 가장 큰 것이다. 전셋값도 하락세가 지속되는 분위기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3% 떨어졌고, 경기도(-0.07%)는 지난주(-0.05%)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0.03%에서 금주 -0.05%로 낙폭이 확대됐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07.28 14:30
부동산

아파트 매수심리 '빙하기'…한은 '빅스텝'에 집 더 안산다

한국은행의 사상 첫 '빅 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 단행으로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수심리가 11주 연속으로 위축됐다.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5.7로 지난주(86.4)보다 0.7포인트(p) 하락했다.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가 시행된 지난 5월 9일(91.0) 이후 11주 연속 하락세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매수)와 공급(매도)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이 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은이 지난주에 처음으로 금리를 0.5%p 올린 빅 스텝을 단행하는 등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가 커지면서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심화되는 분위기다. 부동산빅데이터 업체인 아실의 집계를 보면 서울 지역 아파트 매물은 이날 기준 총 6만3889건으로 한달 전(6만5261건)에 비해 2.2% 감소한 상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집계상으로 이달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이날 현재까지 199건에 그쳤다. 권역별로 보면 은평·서대문·마포구가 있는 서북권의 수급지수는 지난주(79.3)보다 0.2p 하락한 79.1로, 서울 5대 권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위치한 동북권은 80.3으로 지난주(81.4)보다 1.1p 내려왔고, 용산·종로구 등이 있는 도심권은 지난주(84.7)보다 1.5p 하락한 83.2였다.'강남 4구'가 있는 동남권은 91.9로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셋값도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세를 구하려는 세입자보다 전세를 내놓는 집주인이 많은 상황이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92.5로 지난주(94.0)보다 1.5p 낮아졌다. 금리 인상 여파로 2년 전보다 오른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돌리는 수요가 늘면서 전세 물건이 적체되는 분위기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07.22 09:25
경제

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하락세

최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하락하는 단지가 늘어나고 있다. 매매 가격이 단기 급등한 데다가 정부가 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전세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는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전세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최근 들어 종전 거래가격보다 신고금액이 하락한 전세 계약 사례가 늘고 있다. 잠실 리센츠 전용 59.99㎡는 지난해 8월 최고 11억8000만원에 전세계약이 이뤄졌다. 그러나 12월 들어서 8억1900만원까지 떨어졌다. 아현동 소재 중개업소 관계자는 "올해 1∼2월에 전세 만기가 도래하는 물건 중에는 최고가 대비 1억∼1억5000만원 이상 호가를 낮춘 것들도 있다"고 말했다. 보통 신학기가 시작되는 시즌에는 전세 계약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가격도 올라가는 추세와 상반된다.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94.5로 5주 연속 기준선(100)을 밑돌아 수요보다 공급이 많았다. 이는 2019년 9월 16일(92.2) 이후 약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아직 하락 지역은 없지만 지난해 9월 0.17%에서 지난주는 0.02%까지 상승률이 둔화했다. 정부가 매매 시장에 이어 전셋값도 하향 조정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는 배경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전세 시장을 두고 "입주물량 증가, 대규모 정비사업 이주 종료 등으로 지난해 8월 임대차법 시행 이후 최다 매물이 출회되고 가격 상승세도 지속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업계는 최근 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화하고, 전셋값도 단기 급등하면서 이사를 선택하지 않고 계약갱신청구권을 이용하는 세입자가 늘었다고 진단한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세입자들이 '어쩔 수 없이' 종전 전셋집에 재계약을 하는 분위기가 있다. 이동 수요가 줄어들면서 전세 물건이 쌓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길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소유주들이 계약갱신청구권이 종료되면 전셋값을 올리려고 할 것이라는 것이다. 서울 노원구의 한 부동산 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올해 서울 아파트 신규 입주물량이 줄어든다. 또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전세물건이 본격적으로 나오는 하반기 이후에는 전셋값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1.09 15:00
경제

[이 주의 부동산] 4∼5월 부동산 하락세 이어져…하반기 아파트 ‘안정 추세’

4∼5월 서울의 주택 가격 하락 폭이 줄었다. 반면 경기 지역은 낙폭을 키웠다. 올해 하반기 아파트 시장은 전체적으로 하향 안정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4∼5월 주택 매매가격(월평균)은 1분기 말인 3월보다 0.14% 내렸다. 하락세는 3월 기준 0.20%보다 소폭 줄었다.서울 주택 가격은 내렸지만, 한국감정원 조사 결과 6월 둘째 주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02% 상승하는 등 일부 오름세는 있었다.경기 지역 주택 가격은 더 떨어졌다. 4∼5월 중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 하락 폭은 전 분기 0.15%보다 확대된 0.20%였다.경기 지역 전세 가격이 내리면서 수도권 전세 가격은 0.27% 하락했다.지방의 주택 매매가격 역시 대체로 하락세를 보였다.동남권에선 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이 각각 0.3%, 0.4% 내렸다.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과 지역 인구 감소, 아파트 입주 물량 및 미분양주택 수 증가 등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충청권 주택 매매 및 전세가는 각각 0.17%, 0.23% 하락했고, 대구·경북권은 매매가격과 전세 가격이 각각 0.12%, 0.14% 떨어졌다.특히 강원권은 매매가격이 0.29% 떨어지고 전세가는 0.44% 내려 지방에서 낙폭이 두드러졌다. 신규 입주 물량이 계속 공급되는 가운데 원주시에서 미분양 입주 물량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반면 호남권 주택 매매가격은 0.03% 오르고 전세 가격은 0.05% 하락하는 등 보합세를 나타냈다. 광주와 전남에서 집값이 소폭 올랐지만, 군산은 한국GM 공장 폐쇄에 따른 경기 침체에 주택 경기가 나빴다.제주의 주택 매매가격은 전 분기와 비교해 보합세를 보였고, 전세 가격은 내렸다. 다만 아파트로 좁혀 보면 5월 중 제주 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4월 대비 0.1% 하락했다.정부의 부동산 수요 억제책으로 하반기 아파트 시장이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는 분위기다. 부동산114는 ‘2019년 하반기 아파트 시장 전망’에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보합 수준을 보이겠지만, 대전·대구·광주 등을 제외한 지방은 경기 침체와 공급 과잉 여파로 하락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아파트 전셋값도 하반기에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17만1333가구로 상반기 대비 약 24% 감소하지만, 주택임대사업자의 임대 매물 출시와 재개발·재건축 사업 속도 조절로 이주 수요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달 말 기준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0.36% 하락하며 2012년 하반기 이후 7년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전세 시장도 전국적으로 1.07% 하락하며 2008년 하반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부동산114 측은 “최근 2∼3년간 신규 입주 물량 증가가 전세 시장에 숨통을 트인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2019.06.28 07:00
경제

[한주의 부동산] 오피스텔도 떨어진다…매매가 5분기 만에 첫 하락

전국 오피스텔 매매 가격이 5분기 만에 처음으로 떨어졌다.최근 한국감정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광역시·세종시 등 9개 시·도의 오피스텔 매매 가격이 전 분기 대비 0.40% 하락했다.감정원은 지난해 1월부터 이들 9개 시·도의 오피스텔 가격 동향을 조사·공표하고 있는데, 분기 기준으로 매매 가격이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피스텔 매매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선 데는 최근 주택 시장 전반에 걸쳐 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오피스텔 투자 수요도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서울 오피스텔 가격은 전 분기 대비 0.34% 하락했고 도심권·서북권 0.49%, 동북권 0.30%, 서남권 0.22%, 동남권은 0.38%가 각각 떨어졌다. 경기도도 0.50% 하락했고, 인천은 0.35% 내렸다. 지방은 부산(-0.44%) 광주(-0.12%) 울산(-0.275) 등이 약세를 보였다.오피스텔의 평균 매매 가격은 전국 기준 1억7818만8000원이며 서울 2억2675만7000원, 경기 1억6909만9000원, 부산 1억3245만9000원 순이었다.오피스텔 전셋값도 전국 기준 0.27% 내려 3분기 연속 하락했다.서울은 작년 3분기 대비 0.23% 떨어지며 하락으로 전환했고, 경기도는 이보다 높은 0.36% 내렸다.지방은 울산이 -1.39%를 기록하며 조사한 지역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반면 세종시는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의 추가 이전으로 수요가 늘면서 올해 1분기 전셋값이 1.32% 상승했다. 월세도 전국 기준 0.34%로 서울이 0.23% 하락한 것과 달리 세종시는 2.96%나 상승해 전국 최고 상승 폭을 기록했다. 월세 평균 가격은 서울이 77만1000원이고, 경기도 64만9000원, 대전 48만5000원 순이었다. 3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 수익률은 5.46%로 나타났으며, 지방 6.48%, 서울 4.87%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광주광역시가 8.56%로 가장 높았고, 세종시가 4.37%로 가장 낮았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o.kr 2019.04.05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