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

'슈가맨3' 엔플라잉, 더크로스 'Don't Cry' 완벽 소화 '짜릿한 우승'

엔플라잉(이승협 차훈 김재현 유회승 서동성)이 ‘슈가맨3’에서 밴드의 저력을 보여주며 우승을 차지했다. 엔플라잉은 14일 방송된 JTBC ‘투유프로젝트-슈가맨3(이하 ‘슈가맨3’)’ ‘다시 찾은 노래 특집’에서 유희열 팀 쇼맨으로 출연해 유재석 팀 여자친구와 대결을 펼쳤다. 유희열 팀에서는 당시 폭발적인 고음으로 유명했던 더 크로스가 쇼맨으로 등장해 시청자들의 추억을 자극했다. 엔플라잉은 더 크로스의 명곡 ‘Don't Cry’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콘서트장을 방불케 하는 무대를 선보였다. 특히 절절한 원곡을 엔플라잉의 감성으로 풀어냈고, 화려한 연주 속에 보컬 유회승과 이승협의 짜릿한 고음은 전율 가득한 무대로 기립 박수를 받았다. 더 크로스는 엔플라잉의 무대를 본 직후 “‘2020 Don't cry’를 듣고 전율과 짜릿함을 느꼈다. 엔플라잉 최고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시원한 가창력으로 가득찬 엔플라잉의 무대는 세대별 청중들을 사로잡으며 최종적으로 유희열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20.02.15 08:38
연예

라리사 “‘교수와 여제자’ 계약 연장하고 싶다”

연극 '교수와 여제자3'에 출연 중인 라리사가 계약 기간을 연장하고 싶다는 관심을 보였다.예술극단 참 관계자는 "라리사의 연기도 매력있지만 보다 신선한 극 상황 연출을 위해 라리사와 쌍두마차를 이루는 최고의 배우를 캐스팅해 연극의 재미를 이어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로써 라리사와 더불어 또 다른 주연배우를 포함해 더블캐스팅 구도로 극이 전개될 전망이다.라리사도 "이번 공연을 하면서 무대 위에서 관객들과 호흡하는 것에 전율과 짜릿함을 느꼈다. 관객들이 지금처럼 많이 찾아줄 것인지에 대한 두려움은 있지만 5월까지 돼 있는 계약 기간을 연장하고 싶다"며 "배려 차원에서 나의 바쁜 방송 스케줄로 인해 극단측에서 더블캐스팅을 구한다는 점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다소 아쉬운 점은 사실이다"고 솔직하게 고백했다. 김진석 온라인 뉴스 기자 superjs@joongang.co.kr 2013.03.11 15:33
연예

[승마] 남박사의 말이야기 78. 고삐 없이 통하는 궁극의 손맛

낚시의 절정은 손맛을 느끼는데 있다. 이 때 전달되는 전율과 묘한 쾌감은 몰입 그 이상으로 빠져들게 만든다. 손맛은 그 자체로 끝나는 게 아니다. 해수면과 내수면에 깊숙이 숨어있는 대어들과 극적인 접촉점이 다름아닌 손맛이기 때문이다. 낚시의 초보자들에게는 이런 손맛은 상당히 받아들이기 힘든 세계다. 손맛은 과학적 데이터에 의한 산물이라기보다 느낌이나 감각에 의한 결과다. 손맛은 낚시의 전유물만은 아니다. 골프에서도 그 맛은 얼마든지 느낄 수 있다. 특히 드라이버나 퍼팅시 손맛은 강·온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강한 임팩트로 볼이 스윗스팟에 정확히 맞아 최대 거리로 비행할 때 느끼는 손맛은 골프에 더욱 빠져들게하는 요인이다. 물론 이런 손맛은 드라이버에서만 느끼는 것은 아니다. 퍼팅시에도 부드러우면서도 짜릿함이 교차되는 손맛을 느끼기 때문이다. 이런 느낌을 받게 되면 공이 홀컵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공이 홀컵속으로 빨려들어가는 느낌을 받게 된다. 마치 죽어있는 공이 살아있는 공처럼 느껴진다는 표현이 더욱 생동감있을 것이다. 승마에서 손맛은 그 경지가 다른스포츠와 다르다. 말이 재갈을 질근 질근 씹으면서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기승자에게 전달할 때, 그리고 기승자가 예민하고 부드러운 고삐부조로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말에게 전달할 때 전자는 입맛, 후자는 손맛을 느끼게 된다. 말이 입맛을 느끼면 입에서 침을 분비한다. 우리는 너무나 좋은 뭔가를 봤을 때 '넋을 잃고 침을 질질 흘린다'고 표현한다. 말의 입에서 흘리는 침은 이런 느낌속에서 자신도 모르게 흘리는 감정표현이다. 기승자가 느끼는 손맛은 대략 세가지로 나눠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말이 재갈을 씹을 때 느끼는 손맛이다. 이 때 습관적으로 재갈을 씹는 것인지, 기승자의 부조에 응답하기위해 씹는 것인지를 금새 알 수 있다. 습관적으로 씹는 경우는 씹는 정도가 부드럽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부조의 강도나 방향 등과는 무관하게 씹기 때문에 그 빈도가 운동을 시작해서 끝나는 시점까지 거의 고정돼 있다는 점이다. 또 큰 형태의 동작을 지극히 부드럽고 가벼운 부조(신호), 즉 손가락 하나로 유도해 낼 수 있는 손맛을 들 수 있다. 이 때 느끼는 손맛은 말의 지배력에 대한 욕구충족 수준에서 벗어나 가느다란 고삐를 매개로 말과 손끝으로 하나가 되는 절정감을 의미한다. 마음으로 느끼는 손맛도 있다. 말에게 어떤 지시를 하고자 기수가 마음속으로 결정하면 그 결정은 고삐를 통해 말에게 전달된다. 이것이 통상적인 의사전달 과정이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기수가 뭔가를 맘속에 결정하면 손으로 신호를 전달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말이 기수의 결정을 먼저 알아차리고 행동에 옮기는 손맛을 말한다. 이 때 느끼는 손맛은 주로 고삐를 통해서 감지되지만 때로는 근육의 떨림으로 기수에게 전달되기도 한다. 주로 복부 근육의 떨림이 있기 때문에 기좌로 느끼는 경우도 있다. 승마에서 이런 손맛은 이미 과학의 단계를 넘어서 감각 세계에서 느낌으로 알 수 있으며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그것을 ‘궁극의 단계’라고 표현한다.남병곤 제주대 석좌교수(승마역학 박사) 2011.10.21 14:2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