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세계

머스크, 트위터 직원 3700명 일괄 감원…이메일 해고 통보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소셜미디어 트위터를 인수한 지 일주일이 지난 가운데 트위터에 대변화가 일고 있다. 4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머스크는 트위터를 인수하자마자 파라그 아그라왈 전 최고경영자(CEO) 등 기존 경영진을 쫓아냈고 전체 직원의 50%를 일괄해고하는 등 냉혹한 '칼바람' 경영에 착수했다.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NYT)는 "머스크의 트위터에 오신 걸 환영한다"며 "트위터가 일주일 동안 혼란을 겪었다. 광고주는 달아나고 직원들은 두려움에 빠졌다"고 묘사했다. 트위터는 이날 전체 인력의 50%에 해당하는 직원들에게 정리해고 이메일을 일괄 발송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3700명이 감원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전했다. 콘텐츠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신뢰·안전팀의 15%가 해고됐고, 엔지니어링과 머신러닝, 인공지능(AI) 윤리, 영업, 광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검색, 공공정책, 인권 등 거의 전 부서와 팀에 걸쳐 해고 통지서가 발송됐다. 구체적인 해고 사유는 없다. 직원들은 '오늘이 회사에서의 마지막 근무일입니다'라는 이메일을 받아 분노와 좌절감을 드러내고 있다. 머스크는 비용 절감을 위해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에 나섰지만, 회사 매출의 90%를 차지하는 광고 수입은 되레 내리막길을 걸을 조짐을 보였다. 유나이티드 항공은 이날 트위터에서 광고를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제약사 화이자, 자동차회사 폭스바겐그룹과 제너럴모터스(GM), 식품업체 제너럴밀스와 몬데레즈인터내셔널도 트위터 광고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이들 광고주는 혐오 콘텐츠 증가 우려, 주요 임원 퇴사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 등을 이유로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1.05 10:34
산업

푸르밀 일방 사업 종료에 PB 계약한 대형마트도 '당황'

푸르밀의 갑작스러운 '사업 종료' 선언으로 후폭풍이 거세다. 사내 혼란은 물론 푸르밀과 자체브랜드(PB) 제품들을 생산·판매해왔던 대형마트도 '예고 없는 계약 종료'에 당황한 모습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푸르밀과 PB 제품 생산·판매 협력을 진행하던 업체들은 지난 17일과 18일 푸르밀로부터 사업 종료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신동환 푸르밀 대표가 지난 17일 전사 메일을 통해 직원들에게 사업 종료 및 정리 해고 통지문을 발송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협력사에도 뒤늦게 공식 통보를 한 셈이다. 이마트와 홈플러스 관계자는 하나같이 "푸르밀로부터 사업 종료 관련 내용을 사전 통보받지 못했다. 지난 18일에야 관련 사실을 파악했다"고 말했다. 이마트는 푸르밀과 PB 공급계약을 맺고 '노브랜드 굿모닝 굿밀크' 등 9종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특히 노브랜드 굿모닝 굿밀크의 경우 전량을 푸르밀에서 생산하고 있지는 않지만, 한 달 판매량이 40만팩을 넘어 이마트의 전체 우유 판매량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푸르밀 제조상품은 총 15종을 판매 중이며, 이 중 3분의 1인 5종이 PB상품이다. 한 마트 관계자는 "가만히 있다가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라며 “차후에 행여 푸르밀이 정상화한다고 해도 이미 한차례 일방적으로 사업 종료를 발표한 만큼 계약을 이어갈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대형마트들은 부랴부랴 푸르밀을 대체할 협력사 찾기에 나섰다. 다만 촉박한 시일에 따른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통상 대형마트업계의 경우 PB 협력사 선정 시일이 3개월가량 걸리고 실사 등이 필요한 만큼 기간이 다소 촉박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마트 관계자는 "대체 생산업체가 있는 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지만, 시일이 촉박한 상황"이라며 "대체 협력사 외에도 신규 협력사 발굴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앞서 푸르밀은 17일 전 직원 약 400명에게 사업 종료 계획과 함께 정리 해고를 일방적으로 통지하는 이메일을 발송했다. 정리해고 대상은 본사 일반직과 전주·대구 등 공장 생산직 사원 전부다. 푸르밀 노조는 일괄 정리해고 통보에 반발하며 법적 대응을 위한 검토에 나선 상태다. 업계는 지난 9월 LG생활건강의 인수가 불발되면서 푸르밀이 사업종료 수순을 밟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에만 12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2018년부터 영업적자가 누적된 상황에서 매각이 무산되자 사업 종료를 택했다는 분석이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0.20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