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8건
영화

외화 점유율 20% ‘뚝’…‘베놈: 라스트 댄스’, 분위기 전환 키 될까 [IS포커스]

‘베놈: 라스트 댄스’가 개봉 첫 주말 흥행 승기를 잡는 데 성공했다. 장기간 이어진 외화 부진 흐름 속 ‘베놈: 라스트 댄스’를 필두로 ‘글래디에이터Ⅱ’, ‘모아나2’ 등으로 전세를 역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28일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베놈: 라스트 댄스’는 개봉 첫 주말인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40만명 이상의 관객을 모으면서 누적관객수 60만 돌파에 성공했다. 이로써 ‘베놈: 라스트 댄스’는 ‘보통의 가족’, ‘대도시의 사랑법’, ‘베테랑2’ 등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장기 집권 중인 한국 영화들을 꺾고 전체 박스오피스 1위에 등극, 외화 흥행 부진 고리를 끊었다. 외화가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을 꿰찬 건 지난 9월 첫째 주 이후 약 두 달 만이다.실제 최근 극장가에는 외화 약세가 두드러졌다. 영진위 기준 지난달 외화 매출액은 191억원, 관객수는 198만명으로 점유율이 19%대에 머물렀다. 1월부터 9월까지 결산 자료를 봐도 외화 부진 흐름은 선명하게 나타났다. 이 기간 외화 누적매출액은 3786억원, 누적관객수는 3858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4.3%, 30.4% 감소했다.영진위는 “팬데믹 이전 평균과 비교하면 외화 누적 매출액은 그 절반 수준인 55.5%였고 누적 관객 수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47.3% 수준이었다”며 “1~9월 기준 ‘인사이드 아웃2’, ‘웡카’를 제외하면 매출액 300억원, 관객수 300만명을 넘긴 외화가 없었다”고 분석했다.글로벌 흥행작조차 국내에서는 힘을 쓰지 못했다. ‘인사이드 아웃2’에 이어 올해 개봉작 중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낸 ‘데드풀과 울버린’(13억 3676만달러), ‘슈퍼배드4’(9억6335만달러) 모두 국내에서는 200만명도 채 모으지 못했다. 기대작으로 손꼽혔던 ‘조커: 폴리 아 되’도 전작(528만명)의 10%를 조금 넘는 61만명이 보는 데 그쳤다. 이 가운데 ‘베놈: 라스트 댄스’가 개봉 닷새 동안 누적관객수 60만명을 넘어서면서 분위기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물론 관객 증가세가 폭발적이지 않고, 영화에 대한 평가가 극명하게 갈리는 만큼 결과를 속단하기는 이르다. ‘베놈: 라스트 댄스’는 개봉 직후 대규모 액션으로 볼거리를 챙겼다는 호평과 서사의 짜임새, 개연성 등에 대한 지적을 동시에 받고 있다. 실관람객 평가인 CGV골든에그지수도 84%(27일 기준)를 기록 중이다. 동시기 개봉작 중 가장 낮다. 다만 팬층이 워낙 두텁고 전편들 역시 유사한 반응 속 평균 300만명의 관객을 모았다는 점에서 외화 흥행 불씨가 될 수 있을 것이란 예측도 적잖다. 예매율 역시 꾸준히 30% 수준을 유지하며 전체 1위를 기록 중이다.‘베놈: 라스트 댄스’ 이후에도 외화 흥행에 힘을 실을 만한 기대작은 다수 있다. 당장 다음 달 13일에는 ‘글래디에이터Ⅱ’가 개봉한다. 지난 2000년 개봉, 제73회 미국 아카데미시상식 작품상 등 5관왕에 오른 ‘글래디에이터’의 속편이다. 영화는 전편의 주인공인 막시무스(러셀 크로) 사망 20년 후를 배경으로, 로마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콜로세움에서 운명을 건 결투를 벌이는 새 주인공 루시우스(폴 메스칼)의 여정을 그린다. 검투사의 결투가 펼쳐지는 무대이자 로마의 상징인 콜로세움은 실제 크기의 60%에 달하는 세트로 직접 지었다.다음 달 20일에는 ‘위키드’가 관객을 만난다. 전 세계 6000만명이 관람하고 토니상, 그래미상 등 100여개 트로피를 품은 동명 뮤지컬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한국 최초 개봉으로, 팝스타 아리아나 그란데가 주연을 맡았다. 일주일 후인 27일에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모아나’의 두 번째 이야기 ‘모아나2’가 베일을 벗는다. 1편이 글로벌 흥행 수익 6억 400만달러를 기록한 만큼 속편에 대한 관심과 기대감이 큰 작품이다.극장 관계자는 “‘조커: 폴리 아 되’ 등이 흥행에 참패하면서 외화 속편에 대한 흥행 기대감이 낮아진 건 사실이지만, 당장 11월까지는 예산이 크거나 패키징이 압도적인 한국 영화 대작이 없는 만큼 상황이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외화가 아닌 작품 하나하나로 본다면 일주일 간격으로 계속 대작이 개봉하는 터라 경쟁은 치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장주연 기자 jang3@edaily.co.kr 2024.10.28 06:05
해외연예

톰 크루즈 ‘탑건2’로 1300억 수익 ‘돈방석’

그야말로 돈방석 고공비행 중이다. 할리우드 배우 톰 크루즈가 영화 ‘탑건: 매버릭’(‘탑건2’)의 전 세계 흥행으로 1억 달러(약 1300억원)의 수익을 얻을 전망이다. 영국의 더 타임스, 미국 버라이어티 등 해외 매체들에 따르면 톰 크루즈가 ‘탑건2’의 흥행 덕분에 이 같은 수익을 챙길 수 있다고 전했다. ‘탑건2’는 한국은 물론 미국, 일본, 호주, 대만 등 여러 나라에서 인기몰이하며 현재까지 약 12억 달러(약 1조5700억원)를 벌어들였다. 한국에서도 지난 21일까지 누적관객 수 600만명을 넘겨 올해 개봉한 외화 중 최고 흥행작에 이름을 올렸다. ‘탑건2’는 2019년 영화 ‘조커’를 제치고 역대 2번째로 많은 수익을 올린 영화다. 1위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19억 달러)이다. 더 타임스는 “톰 크루즈가 ‘탑건2’의 주연배우이자 제작자이기도 해 출연료 외에 넷플릭스, 애플TV+ 등 OTT 업체로부터 벌어들일 수 있는 수입과 티켓 판매 수익까지 합쳐 최소 1억 달러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 분석했다. 또 버라이어티는 “톰 크루즈의 이 수익이 올해 할리우드 배우 중 소득 1위에 등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2위는 윌 스미스(3500만 달러)로 톰 크루즈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할리우드 영화업계는 톰 크루즈의 티켓 파워가 ‘탑건2’의 흥행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버라이어티는 “영화 제작자들은 톰 크루즈 효과를 믿는다. 톰 크루즈와 드웨인 존슨 정도는 출연료 값을 한다고 생각한다”고 보도했다. 이어 “경영 사정이 좋지 않은 영화 제작사들이 비용 절감의 압박을 받고 있다. 당분간 톰 크루즈 정도의 고수익 배우가 나오기 힘들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고 소개했다. 더 타임스는 이와 함께 톰 크루즈의 가치도 평가했다. 셀러브리티의 자산공개를 하는 셀리브리티 넷 워스(Celebrity Net Worth)는 톰 크루즈의 가치를 6억 달러(7870억원)으로 매겼다. 이현아 기자 lalalast@edaily.co.kr 2022.07.24 16:01
연예

[할리우드IS] 마블 '모비우스' 개봉 연기...'스파이더맨' 흥행 극대화 노린다

마블과 소니픽쳐스가 영리하게 움직인다. 지난 5일 배급사 소니픽쳐스는 "오는 1월 28일 전 세계 개봉을 예정했던 '모비우스(다니엘 에스피노사 감독)'의 개봉일을 4월 1일로 미룬다"고 밝혔다. 이로써 '모비우스'는 총 여섯 번째 개봉을 연기하게 됐다. 이렇다 할 이유 없이 소식을 발표한 만큼 네티즌들은 개봉 연기의 이유를 최근 북미 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꼽았다. 그러나 데드라인을 비롯한 해외 여러 매체는 "개봉 연기의 또 다른 이유는 같은 소니픽쳐스 배급인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존 왓츠 감독)'의 장기 흥행에 차질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데드라인은 "소니픽쳐스 역사상 가장 큰 수익을 올리고 있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이 1월을 넘어 2월까지 추가 관객을 동원할 것이다"라고 관측했다. 이와 함께 "소니픽쳐스도 이를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섣부른 '모비우스'의 개봉은 기대 이상의 흥행 성적을 보여주고 있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의 최대 화력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모비우스'는 지난해 개봉을 앞둔 시점에도 마블 영화 '베놈2: 렛 데어 비 카니지'의 일정 때문에 개봉을 연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매체는 "마블 팬들은 이제 '모비우스'의 개봉 연기 소식에 기분 나빠하지 않는다. 오히려 즐거워하는 경향이 있다. '모비우스' 연기 소식은 하나의 이벤트 같은 성격으로 팬들 사이에서 자리잡았다"고 분석했다. 한편, '모비우스'는 동명의 마블 만화 '모비우스'를 원작으로 한 영화다. '스파이더맨' 시리즈처럼 마블이 제작하고 소니픽처스가 배급하는 '소니·마블 유니버스' 합작품이다. 희귀 혈액 질환을 앓는 마이클 모비우스(자레드 레토)가 흡혈박쥐를 연구하던 중 치료제 개발에 성공, 새 생명과 강력한 힘을 얻게 되는 내용이다. '수어사이드 스쿼드'에서 조커를 연기했던 자레드 레토가 주인공 모비우스를 연기하며, MCU에서 유일하게 뱀파이어를 주인공으로 다룬다. 박상우 기자 park.sangwoo1@joongang.co.kr park.sangwoo1@joongang.co.kr 2022.01.07 16:52
연예

레드카펫 앞서 발열체크부터…코로나 속 개막한 베니스영화제

팬들의 환호 대신 발열 측정기가 스타들을 맞았다. 마스크를 쓴 채 띄워 앉기 관람이 필수다. 2일(현지시간) 막을 올린 제77회 베니스 국제영화제의 풍경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메이저급 국제 영화제가 오프라인에서 개막했다. 12일까지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열리는 영화제는 일부 규모를 축소하긴 했지만 주요 섹션들은 리도섬 프리미어 상영을 포함해 예년처럼 진행된다. 앞서 칸 영화제가 한차례 연기 끝에 온라인으로 진행된 것과 비교하면 과감한 조치다. 영화제 측은 개막식에 티에리 프레모 칸영화제 집행위원장도 참석한다면서 “팬데믹으로 타격 입은 세계 영화산업에 연대를 표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월 선댄스영화제가 미국 내 코로나19 전파의 기폭제가 된 선례가 있어 이번 영화제 준비는 그 어느 때보다 긴장감 속에 이뤄졌다. 외신들에 따르면 레드 카펫 행사장 주변에 높이 2m짜리 벽을 세워 행인의 접근을 막았다. 대신 행사들은 여러 SNS 채널을 통해 온라인 중계된다. 초청작은 예년에 비해 다소 줄어든 50여개국 72편. 소위 ‘빅네임’이 적고 메이저 스튜디오의 출품도 뜸한 편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이 내년 4월로 미뤄지는 등 변동이 있어 주요 영화사가 새로운 시상식 전략을 짜느라 베니스에 쇼케이스를 덜 낸 듯하다”고 전했다. 한국 영화는 박훈정 감독의 ‘낙원의 밤’이 비경쟁 부문(Out of Competition)에 초청됐다. 조직의 타깃이 된 한 남자와 삶의 끝에 서 있는 한 여자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엄태구‧전여빈‧차승원 등이 출연했다. 한국 영화가 베니스영화제에 초청된 것은 2016년 ‘밀정’(감독 김지운) ‘그물’(감독 김기덕) 이후 4년 만으로 당시에도 비경쟁 부문이었다. 지난해 코믹스 기반의 안티 히어로물 ‘조커’에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안겼던 경쟁 부문에선 올해 총 18편이 겨룬다. 이 중 여성 감독 작품이 8편이나 된다. 중국 출신으로 미국에서 활동 중인 클로이 자오 감독의 ‘노마드랜드’(Nomadland) 등이다. 지난해 총 21편 중 여성 감독 작품이 2편이었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와 관련해 올해 심사위원장을 맡은 케이트 블란쳇은 언론 인터뷰에서 “(경쟁부문 라인업은) 올해 이룩된 긍정적인 진보에 대한 직접적 반응”이라고 설명했다. 외신들은 이 같은 변화가 지난해 아동 성범죄 전력의 로만 폴란스키 감독이 2등상인 은사자상을 수상해 논란이 됐던 것을 의식한 결과로 보고 있다. 개막작은 이탈리아 감독 다니엘레 루체티의 결혼 드라마 ‘더 타이즈’(The Ties). 코로나19 사태로 할리우드 인사들이 대거 불참한 가운데 배우 틸다 스윈튼과 감독 페드로 알모도바르, 올리버 스톤 등이 눈에 띄는 참석자다. 스윈튼은 올해 평생 공로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관련기사 “직업보다 삶의 목적 먼저 찾으세요” 대장암에 쓰러진 흑인 히어로 블랙팬서…보스만 44세 사망 “영화 편당 100원 수익? 토종 OTT 살자고 우린 죽으란 소리” 송중기 주연 추석 대작 '승리호' 개봉 연기…'뮬란'도 또 미뤄 '성중립' 나선 베를린영화제, 주?조연상에 남녀 구분 없앤다 2020.09.02 15:45
무비위크

"안방에선 통할까" 극장 폭망 '버즈오브프레이' VOD行

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이 아닌 황폐한 나들이로 마무리 됐다. 2020년 DC 코믹스의 첫 주자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가 4일부터 IPTV/디지털케이블/온라인동영상 서비스에서 극장 동시 VOD 서비스를 시작한다.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의 국내 총 관객수는 고작 39만3888명. 할리 퀸이라는 화제성 있는 캐리터와 DC의 이름값이 더해졌음에도 역대급 흥행 실패, 졸작 평만 남기고 말았다.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는 조커와 헤어진 할리 퀸이 고담시의 여성 히어로팀과 함께 빌런에 맞서는 솔로 무비다.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VOD는 IPTV(KT Olleh TV, LG U+ TV, SK BTV), 디지털케이블TV(홈초이스), KT 스카이라이프, 온라인동영상 서비스(네이버 시리즈온, Seezn, U+모바일tv, Wavve, 카카오페이지)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극장 방문이 여의치 않아진 상황에서 VOD 수익은 챙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20.03.04 10:37
무비위크

"영광의 역사·쏟아진 기립박수"…'기생충' 오스카 4관왕 주인공(종합)

한국을 넘어 아카데미 시상식, 더 나아가 전 세계 영화시장의 '새 역사'가 된 '기생충'이다. 9일(현지시간) 미국 LA 돌비극장(Dolby Theatre)에서 열린 제92회 아카데미시상식(Academy Awards)에서 '기생충(PARSSITE·봉준호 감독)'은 최고 영예인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까지 무려 4관왕을 수상하며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 주인공이 됐다. 특히 11개 최다부문에 노미네이트 된 '조커'가 2관왕, '기생충'과 함께 유력 작품상 후보로 꼽혔던 '1917'은 3관왕에 머무르면서 '기생충'은 주요부문 싹쓸이는 물론 최다관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기생충'에 의한, '기생충'을 위한 '기생충 DAY'가 완벽하게 완성됐다. '로컬 시상식'의 심장을 저격한 '기생충'의 기념비적인 성과는 비단 한국영화의 경사가 아니다. 한국영화 최초, 아시아 최초, 아카데미 최초의 기록을 모조리 썼다. 이쯤되면 아카데미 시상식에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기생충'이라 봐도 무방하다. '기생충'은 할리우드 중심에 한국영화의 존재감을 각인시킨 것은 물론, 발전과 변화의 중심에 섰다. 지난해 5월 72회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며 한국영화 최초의 길을 연 '기생충'은 국내 개봉 후 누적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전무후무 꿈의 기록을 완성했다. 10월 북미 개봉은 아카데미 시상식 피날레의 시발점이었다. 오스카 레이스를 달리며 영미권에서만 56개 시상식에서 125개 트로피를 휩쓴 '기생충'은 글로벌 수익 1억6311만9346달러(약 1945억 원)를 넘어서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기생충'은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BEST PICTURE/바른손이앤에이 곽신애 대표·봉준호 감독), 감독상(BEST DIRECTOR/봉준호), 각본상(BEST ORIGINAL SCREENPLAY/봉준호·한진원), 국제장편영화상(BEST INTERNATIONAL FEATURE FILM), 미술상(BEST PRODUCTION DESIGN/이하준), 편집상(BEST EDITING/양진모)까지 총 6개 부문 후보로 지명됐다. 그중 4개 부문을 석권했다. '기생충'은 전원백수인 기택네 장남 기우가 고액 과외 면접을 위해 ‘박사장’네 집에 발을 들이면서 시작된 두 가족의 만남이 걷잡을 수 없는 사건으로 번져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봉준호 감독의 7번째 장편 영화로, 배우 송강호·최우식·이선균·조여정·박소담·이정은·장혜진·박명훈 등이 열연했다. "아카데미 92년 새 역사…반세기만 획기적 사건" '기생충'의 작품상 수상은 아카데미 92년 역사를 새로 쓴 사건이나 다름없다. 그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외국어 영화'는 한 편도 없었다. 다양성을 외치면서도 아카데미 시상식이 '백인 잔치' '로컬 시상식'이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기생충'은 외국어 영화로는 역대 11번째로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후보에 올랐고 수상까지 성공, 새 기준을 마련했다. 또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이 아카데미 작품상을 동시에 받은 사례도 세계 영화 역사상 단 한 작품 '마티'(1955)가 유일했다. '기생충'은 반세기를 넘은 65년만에 획기적인 기록을 세웠고, 전 세계를 홀린 '기생충' 신드롬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다시한번 확인케 했다. 이는 오랜시간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작품상 뿐만 아니라 봉준호 감독에게 수여된 감독상 역시 전율을 불러 일으켰다. 봉준호 감독 스스로도 전혀 예상하지 못한 듯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거장들 앞에서 살아있는 거장이 된 봉준호 감독이다. 봉준호 감독의 감독상 수상은 아시아 감독으로는 '브로크백 마운틴' '라이프 오브 파이'를 연출한 이안 감독 이후 두 번째다. '기생충'은 비 영어 영화로 분류되기 때문에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한국 첫 오스카 각본상…이변없는 국제장편영화상 쾌거 한국영화 역사에 길이 남을 첫 오스카는 각본상이었다. 각본상은 국제장편영화상 다음으로 '기생충' 수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 부문. 외국어 영화로는 2003년 '그녀에게'로 오스카를 거머쥔 스페인 출신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이후 두 번째, 아시아 영화로는 최초다. '기생충'은 가능성의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결국 수상까지 이뤄냈다. 국제장편영화상 수상은 오스카 레이스 기간 내내 수상이 유력시 됐던 부문. "'기생충'이 받지 못하면 이변이다"는 반응이 쏟아졌을 정도로 작품성, 흥행성, 인지도, 화제성 면에서 모두 독보적이고 압도적인 가치를 증명했다. 지체없이 '기생충'이 호명되자 장내는 쏟아지는 환호와 박수로 뒤덮였다. 봉준호 감독은 영화의 일원인 배우, 스태프들의 이름을 한명 한명 지목했고, 배우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내가 '기생충'의 주역"임을 알리며 기쁨을 함께 만끽했다. 다만 노미네이트만으로 깜짝 선물과 같았던 미술상과 편집상은 각각 '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 바바라 링·낸시 헤이그, '포드 V 페라리' 마이클 맥커스커·앤드류 버클랜드에게 돌아갔다. '1917' 최종 3관왕…'조커' 호아킨 피닉스 남우주연상 오스카 시즌 내내 '기생충'과 양강구도를 이뤘던 '1917'은 촬영상, 음향효과상, 시각효과상 등 기술상을 휩쓸며 3관왕으로 마무리 했다. '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의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은 무관에 그쳤고 브래드 피트의 남우조연상과 미술상으로 아쉬움을 달랬다. '기생충'이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의 키워드가 되면서 배우들에 대한 주목도도 다소 떨어졌다. 예측 가능했던 결과라는 점도 한 몫 했다. 남우주연상은 '조커' 호아킨 피닉스, 여우주연상은 '주디' 르네 젤위거가 오스카를 품에 안았고, 여우조연상은 '결혼 이야기' 로라 던이 가져갔다. 이와 함께 장편애니메이션 상은 '토이 스토리4', 주제가상은 '로켓맨' 버니 토핀·엘튼 존의 'Love me again'이 받았다. 세월호 사건을 다룬 한국영화 '부재의 기억'이 후보에 올랐던 단편다큐멘터리상은 '러닝 투 스케이드보드 인 어 워존'에게 돌아갔다. 한편 1927년 창설된 아카데미 시상식은 미국 영화업자와 사회법인 영화예술아카데미협회(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 Sciences)가 수여하는 미국 최대의 영화상을 시상하는 자리다. 전해에 발표된 미국영화 및 미국에서 상영된 외국영화를 대상으로 우수한 작품과 그 밖의 업적에 대해 논하며, 오스카 트로피를 품에 안는 것이 배우들에게는 최고의 영예로 꼽힌다. 작품상·감독상·주연상 등 총 24개 부문에 대해 시상했다. ▶제92회 아카데미시상식 후보자(작) *작품상(BEST PICTURE)= '기생충' 남우주연상(ACTOR IN A LEADING ROLE)= 호아킨 피닉스('조커') 여우주연상(ACTRESS IN A LEADING ROLE)= 르네 젤위거('주디') 남우조연상(ACTOR IN A SUPPORTING ROLE)= 브래드 피트('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 여우조연상(ACTRESS IN A SUPPORTING ROLE)= 로라 던('결혼 이야기') *감독상(DIRECTING)= 봉준호('기생충') *각본상(WRITING (ORIGINAL SCREENPLAY))= 봉준호·한진원('기생충') 각색상(WRITING (ADAPTED SCREENPLAY)= 타이카 와이티티('조조래빗') 촬영상(CINEMATOGRAPHY)= 로저 디킨스('1917') 편집상(FILM EDITING)= 마이클 맥커스커·앤드류 버클랜드('포드 V 페라리') 미술상(PRODUCTION DESIGN)= 바바라 링·낸시 헤이그('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 의상상(COSTUME DESIGN)= 재클린 듀런('작은 아씨들') 분장상(MAKEUP AND HAIRSTYLING)= 츠지 카즈히로·앤 모건('밤쉘') 음악상(MUSIC (ORIGINAL SCORE))= 힐더 구드나도티르('조커') 주제가상(MUSIC (ORIGINAL SONG))= 버니 토핀·엘튼 존 'Love me again'('로켓맨') 음향편집상(SOUND EDITING)= 도널드 실베스터('포드 V 페라리') 음향효과상(SOUND MIXING)= 마크 타일러·스튜어트 윌슨 ('1917') 시각효과상(VISUAL EFFECTS)= 기욤 로셰론·그랙 버틀러·도미닉 투오히('1917') *국제영화상(INTERNATIONAL FEATURE FILM)= '기생충' 장편애니메이션상(ANIMATED FEATURE FILM)= '토이 스토리4' 단편애니이션상(SHORT FILM (ANIMATED))= '헤어 러브' 단편영화상(SHORT FILM (LIVE ACTION))= '더 네이버스 윈도우' 장편다큐멘터리상(DOCUMENTARY)= '아메리칸 팩토리' 단편다큐멘터리상(DOCUMENTARY SHORT SUBJECT)= '러닝 투 스케이드보드 인 어 워존'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20.02.10 15:29
무비위크

"제작비 16배"…'조커' 수익 10억불 달성[공식]

'조커' 수익이 드디어 10억불을 돌파했다. 영화 '조커' 측에 따르면 '조커'는 최근 글로벌 수익 10억 달러(한화 약 1조1635억원) 고지를 넘는데 성공했다. '조커'의 10억 달러 돌파 기록은 R등급 영화로서는 역대 최초이며, 워너브러더스 영화로는 ‘아쿠아맨’, ‘다크 나이트’, ‘다크 나이트 라이즈’ 이후 역대 4번째이다. 또 올해 7번째이자 마블과 디즈니 영화가 아닌 작품들 가운데 최초로 빌리언 달러 클럽 대열에 올랐다. 무엇보다 '조커'는 역대 코믹북 무비 가운데 제작비 대비 많은 수익을 얻은 작품이다. ‘조커’의 제작비는 6250만 달러로 무려 16배의 수익을 올렸고, 세계 2위 영화 시장인 중국에서의 개봉 없이 거둔 성과라 더욱 특별하다. 한국 시장은 ‘조커’ 흥행에 큰 몫을 했다. 한국은 북미를 제외하고 영국, 멕시코 등에 이어 전 세계에서 4번째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극장 뿐만 아니라 VOD 서비스도 오픈 후 흥행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먼저 대한민국에서 VOD 서비스가 오픈된 후 연관 검색어로 조커 VOD가 연동됐고,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다시 볼 수 있어 기쁘다'는 감상들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VOD는 극장에서 보면서 놓쳤던 부분들을 확인할 수 있고, 곱씹으며 해석할만한 장면들을 수 차례 볼 수 있다는 장점에 소장용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조커’의 소장용 VOD는 IPTV(KT Olleh TV, SK Btv, LG U+ TV), 디지털케이블TV(홈초이스), KT 스카이라이프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네이버 시리즈, 올레 tv 모바일, U+모바일tv, Wavve, 카카오페이지, 씨츄)에서 구매할 수 있다. ‘조커’는 희대의 악당 조커의 탄생이라는 그 누구도 몰랐던 새로운 이야기로 코믹북이 아닌 영화를 위해 완전히 재창조된 독창적인 캐릭터의 탄생 서사를 다룬다. 코믹스 영화 사상 최초로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개봉 후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패러디들이 속출하면서 하나의 문화현상으로까지 자리매김했다. 조커 역할을 맡은 호아킨 피닉스는 신들린 열연을 펼치며 전 세계를 놀라게 만들었고 내년 2월 개최되는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19.11.19 07:14
무비위크

[할리우드IS] '조커', R등급 영화 최초 흥행 수익 10억불 돌파

영화 '조커'가 새 역사를 썼다.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매체들에 따르면, 워너브러더스는 '조커'가 10억불(한화 1조 1670억원)의 글로벌 수익을 올린 최초의 R등급 영화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R등급은 17세 미만 관객은 보호자가 동반해야만 관람이 가능한 제한적 상영 등급이다. 6250만 달러의 제작비로 만들어진 '조커'는 역대 슈퍼 히어로 영화 가운데 제작비 대비 많은 수익을 얻은 작품 중 하나가 됐다. 마블이나 디즈니의 영화가 아닌 작품들 가운데 올해 7번째로 '빌리언 달러 클럽' 대열에 올랐다. 특히 한국은 '조커' 흥행에 큰 몫을 했다. 북미 이외의 지역에서 3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인 곳은 영국, 멕시코, 한국, 브라질, 프랑스 등이다. 한국에서는 38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또한, 이는 세계 2위의 영화 시장 중국에서의 개봉 없이 거둔 성과라 더욱 특별하다. '조커'는 희대의 악당 조커의 탄생이라는 그 누구도 몰랐던 새로운 이야기로 코믹북이 아닌 영화를 위해 완전히 재창조된 독창적인 캐릭터의 탄생 서사를 다룬다. 코믹스 영화 사상 최초로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19.11.18 07:56
무비위크

안방극장에서도 단연 '조커'

지난 6일 전 세계 최초로 디지털 VOD 서비스를 오픈한 영화 ‘조커’가 출시와 동시에 1위를 석권하며 안방극장에서도 흥행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전 세계 10억 달러 흥행 수익을 앞두고 신드롬 재점화에 나섰다. ‘조커’는 VOD 서비스 오픈 후 안방 극장에서도 1위의 자리에서 흥행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 주말까지 월드와이드 9억 5889만 달러의 수익을 거두며 금주 내 10억 달러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뜨거웠던 ‘조커’ 신드롬에 또 다시 불을 붙일 예정이다. 이를 증명하듯 국내에서도 VOD 서비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고 극장에서도 개봉 한 달여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522만 명 관객을 돌파하며 여전한 흥행세를 과시하고 있다. 특히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먼저 대한민국에서 VOD 서비스가 오픈된 후 연관 검색어로 조커 VOD가 연동됐고,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다시 볼 수 있어 기쁘다는 감상들이 줄을 잇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극장에서 보면서 놓쳤던 부분들을 확인할 수 있고, 곱씹으며 해석할만한 장면들을 수 차례 볼 수 있다는 장점에 소장용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영화 ‘조커’는 희대의 악당 조커의 탄생이라는 그 누구도 몰랐던 새로운 이야기로 코믹북이 아닌 영화를 위해 완전히 재창조된 독창적인 캐릭터의 탄생 서사를 다룬다. 코믹스 영화 사상 최초로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조커 역할을 맡은 호아킨 피닉스는 신들린 열연을 펼치며 전 세계를 놀라게 만들었고 ‘조커’라는 캐릭터를 대중들에게 각인시켰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19.11.12 09:58
무비위크

"안방도 조커 홀릭"…'조커' VOD 단숨에 1위 '신드롬ing'

언제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조커'다. 지난 6일 전 세계 최초로 디지털 VOD 서비스를 오픈한 영화 ‘조커’가 출시와 동시에 1위를 석권하며 올해 최고의 화제작다운 면모를 과시했다. 국내에서 520만 관객을 동원한 '조커'는 전 세계적으로 9억 달러를 돌파하며 한화로 1조원이 넘는 흥행 수익을 거둔 데 이어 VOD 역시 폭발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조커' VOD는 VOD 서비스를 애타게 기다렸던 팬들의 관심 속에 출시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전 예약 판매부터 높은 인기를 얻었고, 오픈과 함께 Olleh TV, Btv, 디지털케이블TV, 네이버 시리즈, 카카오 페이지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조커’의 소장용 VOD는 IPTV(KT Olleh TV, SK Btv, LG U+ TV), 디지털케이블TV(홈초이스), KT 스카이라이프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네이버 시리즈, 올레 tv 모바일, Wavve, 카카오페이지, 씨츄)에서 구매할 수 있다. ‘조커’는 희대의 악당 조커의 탄생이라는 그 누구도 몰랐던 새로운 이야기로 코믹북이 아닌 영화를 위해 완전히 재창조된 독창적인 캐릭터의 탄생 서사를 다룬다. 코믹스 영화 사상 최초로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조커 역할을 맡은 호아킨 피닉스는 신들린 열연을 펼치며 전 세계를 놀라게 만들었고 ‘조커’라는 캐릭터를 대중들에게 각인시키며 최고의 배우로 우뚝 섰다. 이에 국내에서는 DCEU 작품들 중 ‘다크 나이트’와 ‘아쿠아맨’의 기록을 돌파, 전 세계 9억 달러를 넘어서 R등급 영화 중 최고의 기록을 세웠다. 중국에서 개봉하지 않고 이와 같은 성적을 낸 것은 ‘다크 나이트’ 이후 최초다. ‘조커’는 개봉 후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패러디들이 속출하면서 신드롬을 일으켰고, 입소문 흥행과 N차 관람 열기 속에 디지털 VOD 역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19.11.08 08:4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