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카드수수료 너무 높아"…카드사, 호실적에도 어두운 표정

이달 중 카드수수료 개편안 발표가 예고되면서 3분기 호실적을 기록한 카드사들이 미소를 거두고 있다. 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주요 카드사의 당기순이익 1조494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 1년 당기순이익의 70%를 웃도는 수치다. 실제로 신한카드의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은 17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삼성카드도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은 1395억원으로 집계되며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했다. 우리카드는 540억원을 기록해 92% 실적 개선에 가장 크게 성공했다. 이어 KB국민카드는 전년 동기 대비 32.7% 증가한 1213억원을 기록, 하나카드는 568억원으로 15% 성장률을 보였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3분기 전반적으로 소비심리가 개선된 영향이 있고, 카드사들은 마케팅 비용 축소 등 허리띠를 졸라매고 사업 다각화에 나선 결과"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속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카드사들은 실적 개선에 성공한 탓에 금융권에서는 올해도 수수료율 인하에 무게를 싣고 있다. 여신전문금융법에 따라 금융당국은 3년마다 '적격비용'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맹점 수수료를 결정하고 있다. 카드 수수료율은 2007년부터 2019년까지 12년에 걸쳐 총 13차례 인하된 바 있으며, 이달 중 카드수수료 개편안이 발표될 예정이다. 수수료 인하 시기가 다가오면서 자영업 단체들도 카드 가맹점수수료 추가 인하와 수수료율에 대한 협상권을 보장해달라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자영업소상공인중앙회,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한국마트협회 등 70여 개 단체는 지난달 말 기자회견을 열고 "수수료율이 2018년 조정됐지만, 자영업자들은 여전히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다"며 "동네 마트는 임대료를 웃도는 수준이고 신규 점포는 2.3% 최고 수수료율이 일괄 적용되며 일반가맹점은 수수료율이 슬금슬금 인상돼 3년 전과 다를 바 없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성민 한국마트협회장은 "수수료율을 둘러싸고 3년마다 분쟁이 거듭되는 이유는 카드 수수료율의 가격협상이 없기 때문"이라며 "카드 수수료율 협상권을 제도화해야 한다"고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카드사 노조 측은 "카드사 신용판매 결제부문은 지금도 적자상태"라며 "우대 수수료율을 받는 96%의 가맹점에서 발생하는 매출이 발생할수록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고 말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수수료가 0.1% 인하되면 카드사 합산 영업이익 손실액은 5200억원, 0.2% 인하 시에는 1조3000억원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11.05 07:00
경제

'카드수수료' 인하 여파…부가서비스 줄고 연회비 오른다

금융 당국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부담 완화를 위해 내놓은 카드수수료 인하 방안의 불똥이 서민들에게 튈 전망이다. 당국은 그동안 카드 혜택으로 누리던 무이자 할부나 포인트 적립 등 신용카드 부가 서비스 줄이기에 착수했다. 2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카드수수료 종합 개편 방안에 따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카드 업계와 관련한 전문가로 구성된 ‘카드산업 건전화·경쟁력 제고 태스크포스(TF)’를 이번 주 중 발족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부가서비스 축소 방안은 내년 1월께 나올 전망이다. 당국은 카드 상품 출시 시점과 소비자 이용 기간, 카드사의 손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과 감독 규정을 개정해 내년 상반기 중 시행할 계획이다. 당국은 카드수수료 종합 개편안 발표 전부터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마케팅 비용 감축을 겨냥해 왔다. 카드사의 마케팅 비용은 2014년 4조1000억원, 2015년 4조8000억원, 2016년 5조3000억원, 2017년 6조1000억원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수익이 늘어나는 속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다 보니 카드사의 총수익에서 마케팅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20.0%, 2015년 22.3%, 2016년 24.2%, 2017년 25.8%로 우상향 곡선을 그려 왔다. 이에 과도한 부가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축소해 고비용 마케팅 관행을 개선하겠다는 것. 먼저 과도한 부가 서비스를 판단할 기준을 정해야 한다. 항공사 마일리지 무제한 적립이나 공항 VIP라운지 이용 등이 축소 대상에 올랐다. 연회비 인상도 불가피하다. 당국이 포인트와 할인, 무이자 할부 등 카드 회원이 누리는 부가 서비스가 회원 연회비의 7배 이상 수준인 것을 문제로 본 까닭이다. 이에 소비자가 신용카드 이용으로 받는 혜택과 비용을 조정하라고 카드사에 권고할 예정이다. 법인카드나 대형 가맹점에 대한 마케팅 비용은 집중적인 감축 대상이다. 관행적으로 이뤄지는 첫해 법인카드 연회비 면제는 금지를 명문화할 예정이다. 카드사들은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가 비용 절감 방안을 모색 중이다. 우선 일회성 마케팅 비용을 손댈 것으로 보인다. 일회성 마케팅은 졸업·입학 시즌이나 겨울·여름철, 설·추석 같은 연휴 등 특정 시기에 일시적으로 무이자 할부, 추가 할인 등 혜택을 주는 마케팅을 뜻한다. 이에 따라 겨울철 스키장 리프트 요금과 여름철 워터파크 입장권 할인 등 카드 할인 서비스가 앞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2018.12.02 16:10
경제

카드수수료 인하 가맹점, 매출 30억원까지… 카드 업계 노동자 대정부 투쟁 예고

정부가 카드수수료 인하 방안을 내놨다. 내년부터 연 매출 5억원 초과, 500억원 이하인 가맹점의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을 줄여 주겠다는 것이 골자다.이에 따른 카드 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카드 업계 노동자들은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다. 26일 금융위원회는 더불어민주당과 당정 협의를 거쳐 ‘카드수수료 개편안’을 발표했다. 먼저 연 매출 5억~10억원 구간 가맹점의 평균 신용카드 수수료율은 2.05%에서 1.4%로 0.65%포인트 내려가고, 체크카드 수수료율은 1.56%에서 1.1%로 0.46%포인트 떨어진다. 또 연 매출 10억∼30억원 구간 가맹점의 평균 신용카드 수수료율은 2.21%에서 1.6%로 0.61%포인트 낮아지고, 체크카드 수수료율은 1.58%에서 1.3%로 0.28%포인트 내려간다. 이에 따라 연 매출 5억∼30억원 구간 가맹점으로 우대수수료가 확대되면서 신용카드 수수료율이 평균 0.6%포인트 넘게 떨어지게 된다. 연 매출 기준 5억∼10억원 이하 19만8000개 가맹점은 연평균 147만원, 10억∼30억원 이하 4만6000개 가맹점은 연평균 505만원의 카드수수료 부담이 줄어들게 됐다. 정부는 5억∼10억원인 편의점 약 1만5000개에서 322억원(가맹점당 약 214만원), 3만7000개 일반음식점에서 1064억원(가맹점당 288만원), 슈퍼마켓 제과점 등 소상공인에서 84억∼129억원(가맹점당 약 279만∼322만원) 규모의 수수료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봤다.연 매출 30억원이 넘는 가맹점들도 카드수수료율이 소폭 인하된다. 연 매출 30억∼100억원 구간 가맹점의 신용카드 수수료율은 2.20%에서 1.90%로 0.3%포인트 떨어지고, 100억∼500억원 구간은 2.17%에서 1.95%로 0.22%포인트 낮아진다. 또 30억원 초과 가맹점의 체크카드 수수료율은 1.60%에서 1.45%로 0.15%포인트 내려간다.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연 매출이 500억원 이하인 가맹점 수는 전체 가맹점의 99%로, 일부 대형 마트나 백화점을 제외한 대부분 가맹점에서 수수료 인하 혜택을 볼 수 있을 예정이다. 카드 업계는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정부안대로 가게 되면 내년에도 적자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마케팅 비용을 최대한 줄이라는 이야기인데 쉽지 않다. 비상경영체제 얘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며 “매출액 30억원을 중·소상인으로 봐야 하냐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이 나온다”고 말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측은 “고객 서비스 및 마케팅을 통제해 비용을 감축하라는 것은 카드 산업의 최대 이해당사자인 전 국민의 혜택을 줄이라는 것”이라며 “되레 소비 시장을 위축시켜 가맹점의 매출 감소로 이어질 것은 생각해 보지 않았는지 되묻고 싶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연합뉴스 2018.11.26 16:4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