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

[투데이IS] 블락비 박경, 학폭 사과하고 비공개 현역 입대

블락비 멤버 박경이 현역 입대한다. 박경은 19일 오후 훈련소에 입소한 후 기초 군사훈련을 받은 뒤 육군 현역으로 군 복무에 돌입한다. 시간 및 장소는 비공개다. 소속사에 따르면 특별한 행사 없이 조용히 입소한다. 1992년생인 그는 지난 1월 군 입대 예정이었으나 음원 사재기 의혹 제기 후 피소돼 경찰 조사를 받으면서 입대를 연기한 바 있다. 서울동부지법에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명예훼손) 혐의로 약식기소됐고, 벌금 500만원을 받았다. 이후 박경은 학교폭력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자신이 박경의 중학교 동창이라고 주장한 네티즌이 나타났다. 박경은 자신의 학교폭력 의혹과 관련 사실임을 인정하며 용서를 구하기도 했다. "모범생 같은 이미지가 싫고, 주목 받는 것을 좋아했던 저는 소위 말하는 노는 친구들이 멋있어 보였다. 그들과 같이 다니며 어울리고 싶었고, 부끄러운 행동들을 함께 했다. 그들과 같이 있으면 아무도 저를 함부로 대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제게 상처입고 피해를 받으신 분들은 저에게 직접 혹은 저희 회사를 통해서라도 연락을 주시길 부탁드린다. 직접 찾아뵈어 사과드리고 용서를 구하고 싶다"고 사과했다. 박경을 둘러싼 논란은 입대 전까지 계속됐다. 연예 기자 출신 유튜버 이진호는 15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송하예 소속사 더하기미디어 이성권 대표의 녹취록을 공개했다. 녹취록에서 이 대표는 "박경은 내가 지금 잡은 게 있어 죽일 거다. 그 XX 원래 학교폭력 당한 사람을 결국 찾았다. 내가 그걸 찾으려고 계속 조사했다. 가요계 아예 이제 발도 못 붙일거야. 그리고 정말 사재기 원조 블락비인데. 정말 열 받는다"고 말했다. 송하예는 박경이 지난해 11월 음원 사재기 의혹으로 언급한 가수 중 한 명이다. 이에 송하예 소속사 대표가 박경 학교 폭력 폭로 배후가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송하예 소속사 측은 "송하예가 (박경의 SNS 글로) 힘들어하던 때 SNS에서 박경의 학교 폭력 내용이 담긴 댓글을 보게 됐다. 그 것을 보니, 댓글 쓴 사람을 찾아 박경을 한번 혼내주고 싶은 마음이 들긴 했다. 하지만 그 사람을 찾지 못했고 만난 적도 없다"며 학교 폭력 폭로 배후설을 부인했다. 이어 "유튜브 방송에서 공개된 대화는 친분있는 사람들과 말했던 거고, 블락비를 언급한 것도 홧김에 말한 것일 뿐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면서 "회사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가수에 피해가 가길 원치 않는다. 책임을 질 일이 있다면 책임을 지겠다"고 했다. 논란 속에 불거진 모든 잘못과 책임을 인정하고 받아들인 박경은 이날부터 군 복무를 시작한다. 블락비 멤버로서는 다섯 번째 병역의무자다. 태일과 유권이 육군 현역으로, 비범은 의경으로, 지코가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중이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20.10.19 08:11
연예

[이슈IS] 송하예 소속사 측, 박경 학교 폭력 폭로 배후설 부인 "사실무근"

박경의 학교폭력을 폭로한 배후가 송하예 소속사라는 주장이 제기되자 송하예 소속사 측은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다. 연예 기자 출신 유튜버 이진호는 15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박경 학교 폭력 폭로 배후설에 대해 이야기하며 송하예 소속사 더하기미디어 이성권 대표의 녹취록을 공개했다.녹취록에서 이성권 대표는 "박경은 내가 지금 잡은 게 있어 죽일 거다. 그 XX 원래 학교폭력 당한 사람을 결국 찾았다. 내가 그걸 찾으려고 계속 조사했다. 가요계 아예 이제 발도 못 붙일거야. 그리고 정말 사재기 원조 블락비인데. 정말 열 받는다"고 말했다. 박경은 앞서 지난해 11월 SNS에 송하예 등을 언급하며 '나도 사재기 좀 하고 싶다'는 글을 남겼다. 이에 송하예 등 박경에게 지목된 가수들이 일제히 박경을 허위사실 적시에 따른 명예훼손 등을 포함한 정보통신망법 위반죄로 고소했다. 이 가운데 송하예 측 소속사 대표 녹취록이 공개되자 최근 불거진 박경의 학교 폭력 폭로 배후가 송하예 측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송하예 소속사 측은 "송하예가 (박경의 SNS 글로) 힘들어하던 때 SNS에서 박경의 학교 폭력 내용이 담긴 댓글을 보게 됐다. 그 것을 보니, 댓글 쓴 사람을 찾아 박경을 한번 혼내주고 싶은 마음이 들긴 했다. 하지만 그 사람을 찾지 못했고 만난 적도 없다"며 학교 폭력 폭로 배후설을 부인했다. 이어 "유튜브 방송에서 공개된 대화는 친분있는 사람들과 말했던 거고, 블락비를 언급한 것도 홧김에 말한 것일 뿐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면서 "회사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가수에 피해가 가길 원치 않는다. 책임을 질 일이 있다면 책임을 지겠다"고 했다. 박경은 지난달 학교 폭력 논란에 휘말려 사과했다. 온라인상에 박경에게 학창시절 괴롭힘을 당했다는 네티즌들의 폭로글이 퍼지자 박경은 '모범생 같은 이미지가 싫고, 주목 받는 것을 좋아했던 저는 소위 말하는 노는 친구들이 멋있어 보였다. 그들과 같이 다니며 어울리고 싶었고, 부끄러운 행동들을 함께 했다. 그들과 같이 있으면 아무도 저를 함부로 대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며 '제게 상처입고 피해를 받으신 분들은 저에게 직접 혹은 저희 회사를 통해서라도 연락을 주시길 부탁드린다. 직접 찾아뵈어 사과드리고 용서를 구하고 싶다'고 사과했다. 김연지 기자 kim.yeonji@jtbc.co.kr 2020.10.16 10:46
야구

프로야구 선수협 ‘내부 갈등’ 3일 총회서 수습?

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 내부 갈등이 수습될 수 있을까. 선수협은 3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총회를 열고 박충식 사무총장 직무대행의 선임 여부를 투표로 결정한다. 이에 앞서 LG·두산·삼성·KIA 등 4개 구단 선수 대표가 사무총장 직무대행 선출 과정을 문제 삼으며 박재홍 섭수협 회장과 대립한 바 있다. 박재홍 회장은 전임 집행부에 대한 특별 회계감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새로운 비리의혹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또 선수협 신임집행부 개혁 작업을 방해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선수들의 총회 직접 참여를 호소하는 담화문을 2일 발표했다. 4개 구단 '세력화'박명환(LG) 현재윤(삼성) 이혜천(두산) 김상현(KIA) 등은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박충식 사무총장 직무대행 대신 새 인물을 뽑을 것을 요구했다. 당시 이들이 갖고 있는 위임장이 9장밖에 되지 않았다. 박재홍 회장은 "이들에게는 대표성이 없다"고 했다.나흘새 4개 구단 대표는 상당히 많은 위임장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말연시에 전국 각지로 흩어진 4개 구단 선수 대부분으로부터 위임장을 받았다. 과반수를 넘을지는 미지수지만 세력이 커져 표대결이 가능해졌다. 4개 구단 대표들은 "선수협에게 중요한 건 민주적으로 집행부를 구성해 현안을 처리하고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수의 선수들이 납득할 수 있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3일 총회에서 사무총장 선임건부터 바로하자는 것이다.박재홍 회장은 이에 대해 "12월 20일 박충식 사무총장이 정상적으로 뽑혔고 총회 인준을 앞두고 있다. 벌써 신임집행부를 주저앉히려 하는 건 유감"이라고 말했다.권시형과 '거리두기'표면적으로 박재홍 회장과 4개 구단 대표들의 타깃은 다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야구계의 적지 않은 시선이 이번 갈등을 '전·현 집행부의 대립'으로 보고 있다. 4개 구단 대표들이 권시형 전 총장과 결탁해 움직인다는 소문이 돌았다. 박재홍 회장이 권 전 총장의 비리를 폭로하는 동안, 4개 구단 대표는 신임집행부를 겨냥했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4개 대표들은 "권 전 총장이 측근들과 저지른 비리에 대해서는 사법부가 재판을 진행하고 있다. 그걸 반대하는 게 아니라 판결에 맡기자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현안들을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4개 구단 대표는 최근 박충식 사무총장 직무대행을 따로 만났다. 이 자리에서 '전 총장 배후설'에 대한 오해를 어느 정도 푼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4개 구단 대표는 "만약 우리가 권 전 총장과 연결돼 있다면 어떤 비난이라도 달게 받겠다"는 뜻을 전했다. 권 전총장과의 거리를 분명히 한 것이다. 한편 선수협 전 사무총장이었던 나진균 한국야구연구소장은 2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야구계 선배들이 나서야 한다"며 비상대책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3일 총회를 앞두고 선수협 국면이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김식 기자 seek@joongang.co.kr 2012.01.02 10:3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