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일반

[IS인터뷰] ‘몸값’ 진선규 “칸 초청, 가문의 영광이죠”

“많은 해외 분들이 K콘텐츠에 더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이런 작품들이 계속 나와서 흐름이 끊기지 않았으면 해요.”지난 16일 오후(한국시간),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몸값’의 배우 진선규, 전종서, 장률이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 장편 경쟁부문에 공식 초청돼 프랑스 현지에서 한국 취재진과 온라인 인터뷰를 진행하며 이 같이 밝혔다.지난해 10월 공개된 ‘몸값’은 각자의 이유로 ‘몸값’ 흥정이 벌어지던 건물에 대지진이 덮치면서 펼쳐지는 스릴러 작품으로 이충현 감독의 단편 영화 ‘몸값’을 원작으로 한다. 티빙과 파라마운트+의 두 번째 파트너십 작품으로 선정돼 올여름 파라마운트+를 통해 글로벌 공개를 앞두고 있다.진선규는 “칸에 오게 돼서 가문의 영광이다. 설레고 떨리는 마음이 계속 있다. 해외 분들한테 몸값이 어떻게 보여질지 기대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장률은 “부모님께 전화를 드려서 ‘이게 성공인가요?’ 하면서 자랑을 했다”며 “부모님이 너무 기뻐하셔서 그 순간에 제가 더 기뻤다. 어릴 때 친구들도 축하한다고 연락을 줘서 더 힘이 났던 것 같다”고 말했다.전종서는 영화 ‘버닝’에 이어 ‘몸값’을 통해 5년 만에 칸에 재입성하게 됐다. 전종서는 “크게 다르진 않지만 지금은 시리즈 부문으로 초청됐다. 그때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인터뷰 따라다니기 바빴다. 카펫도 그 때는 레드카펫이었는데 핑크카펫으로 변했다. ‘몸값’으로 다시 오니 기대 이상으로 재밌다”고 남다른 소감을 전했다.전종서는 연인 이충현 감독이 해준 말이 있느냐고 묻자 “‘몸값’이 칸에 입성했단 얘기를 듣고 기뻐했다”며 “지금도 너무 많은 응원을 보내고 있다”고 조심스레 답했다. 진선규는 올해 영화 ‘카운트’로 첫 단독 주연작을 선보인데 이어 ‘몸값’ 칸 진출 등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진선규는 “연초부터 작품들이 관심을 받고 사랑을 받아서 이걸로도 충분히 뜻깊은 한 해가 된 것 같다. 지금 찍고 있는 작품들, 해야 할 작품들에 집중하고 좋은 연기를 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몸값’은 올해 칸 시리즈 장편과 단편, 다큐멘터리 경쟁부문 초청작 중 유일한 K콘텐츠다. 국내 OTT 오리지널 시리즈 최초로 장편 경쟁부문에 노미네이트 되며 세계적인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진선규는 “‘몸값’은 다른 출품작들과는 다르게 장르적으로 파격적인 느낌이 있다. 일단 원테이크 기법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는 것 같다. 또 이야기 흐름 속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색다른 매력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실제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칸 시리즈 기자회견 발표 당시 ‘몸값’은 장편 경쟁부문 초청작 중 가장 먼저 소개돼 이목을 끌었다. 칸 시리즈 아티스트 디렉터는 ‘몸값’이 지닌 소재의 파격성과 장르적 독창성을 강조하며 높이 평가했다.전종서는 ‘몸값’의 실험적인 부분이 통했을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해외 시청자들이 국내 시청자와 재미 포인트가 다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몸값’을 통해 한국 콘텐츠가 가진 유쾌함을 보여드릴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장률 역시 “작품 중간중간에 재밌는 요소들이 있다”며 “그런 순간들이 (해외에서) 어떻게 봐주실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K콘텐츠는 오래전부터 해외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왔다. 2000년대 초반 ‘겨울연가’, ‘대장금’ 등 K드라마로 한류 붐이 한차례 불었고 코로나19 이후에는 넷플릭스, 디즈니+ 등 글로벌 OTT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K콘텐츠가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이에 대해 진선규는 “‘몸값’ 이전에도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건 알고 있었다. 이번에 칸 시리즈 부문에서 우리 작품을 제일 먼저 초청했다는 걸 듣고 K콘텐츠의 힘이 크다는 걸 느꼈다”고 말했다.전종서는 “K콘텐츠는 해외 분들이 오랜 시간부터 관심을 가져주셨던 것 같다. ‘몸값’ 이전에 선배 배우들, 감독님들이 길을 잘 만들어 놔주셨다. 앞으로 K콘텐츠 시장이 어떻게 바뀔지는 모르겠지만 ‘몸값’이 칸 시리즈 부문에서는 출발을 한 작품이라 뜻깊고 영광이다. 촬영할 땐 상상도 못했던 일인데 큰 추억과 의미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몸값’은 오는 19일(현지시간) 열리는 폐막식에서 베스트 시리즈, 음악상, 각본상, 배우상(베스트·스페셜) 등 5개 부문을 놓고 쟁쟁한 작품들과 경쟁을 펼친다. ‘몸값’의 수상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는 상황. 이에 대해 세 사람 모두 수상 소감은 준비하지 않았다며 웃었다.진선규는 “상을 받으면 너무 좋겠지만 준비하진 않았다. 우리가 했던 작품이 칸에 초청이 되고 온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꿈을 이룬 기분”이라고 벅찬 마음을 드러냈다. 장률은 “작품이 상을 받게 된다면 열심히 박수를 치겠다”고, 전종서는 “배우상을 비롯해 다른 상도 받았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박로사 기자 terarosa@edaily.co.kr 2023.04.18 07:00
무비위크

'소울' 78회 골든글로브 장편애니·음악상 노미네이트[공식]

따뜻한 위로를 건넨 '소울'이 올해의 애니메이션으로 트로피까지 거머쥐게 될까. 영화 '소울'은 제78회 골든글로브시상식 장편애니메이션상과 음악상 부문에 노미네이트 돼 작품성을 또 한번 입증시켰다. 피트 닥터 감독과 캠프 파워스 공동연출, 제작자 다나 머레이는 “전 세계 모든 세대의 관객들과 이 영화를 볼 수 있다는 것은 진정한 기쁨이었다. 지난 한 해는 도전으로 가득했지만, 조 가드너의 여행을 통해 이 복잡하고 아름다운 삶의 매순간이 단순히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만으로도 경이로울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길 바란다”는 소감을 밝혔다. 음악상 후보에 오른 존 바티스트 역시 “골든 글로브에 노미네이트 된다는 것은 대단한 영광이다. 영혼이 존재한다는 것은 어떤 것을 대할 때 이타적인 마음을 가지게 한다. 나는 내 인생의 매일이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영감을 준 모든 것에 감사한다”고 전했다. 기발한 상상력의 절정으로 만들어진 환상적인 영상과, 아름다운 음악, 유머와 감동을 모두 담은 스토리까지 모든 면에서 ‘픽사가 만든 이 시대 최고의 영화’ 라는 호평을 받은 '소울'은 73회 칸영화제 공식 초청은 물론 뉴욕 타임즈, 버라이어티, 인디와이어, 가디언지, AFI(미국영화연구소)가 선정한 올해의 영화 TOP10 으로 손꼽히며 존재감을 높였다. 또한 68회 골든글로브시상식에서 한차례 음악상을 수상한 트렌트 레즈너와 애티커스 로스와 재즈 피아니스트 존 바티스트의 협업으로 이루어진 '소울'의 음악 역시 미국 4대 비평가협회 중 하나인 LA 비평가협회를 비롯, 제33회 시카고 비평가협회, 2020 보스턴 온라인 비평가협회, 제19회 콜럼버스 비평가협회 등 각종 시상식에서 음악상을 휩쓸고 있어 이번 골든글로브 수상에 더욱 기대를 모은다. 78회 골든글로브시상식은 28일(현지시간) 진행될 예정이며 '소울'에서 22를 연기한 티나 페이가 에이미 포엘러와 함께 사회를 맡는다. 태어나기 전 세상에서 저마다의 성격을 갖춘 영혼이 지구에서 태어나게 된다는 픽사의 재미있는 상상력에서 출발한 '소울'은 예기치 못한 사고로 영혼이 된 조와 지구에 가고 싶지 않은 영혼 22가 함께 떠나는 특별한 모험을 그린 영화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21.02.04 08:55
연예

‘그래비티’- ‘노예12년’,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영예

영화 '그래비티'와 '노예12년'이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수상했다. 3월 개최되는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 앞서 또 한차례 저력을 과시했다. '그래비티'와 '노예 12년'은 17일 오전(한국시각) 영국 런던 로얄 오페라하우스에서 개최된 제67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이미 '노예12년'은 이 시상식의 10개 부문 후보에 이름을 올렸고 '그래비티'는 11개 부문 후보로 화제가 됐던 상태. 앞서 '노예12년'과 함께 골든글로브에서 작품상을 받았던 '아메리칸 허슬' 역시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10개 부문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이번에는 '노예 12년'이 작품상과 남우주연상(치웨텔 에지오포) 등 주요 2개 부문을 차지했고 '그래비티' 역시 작품상과 감독상·촬영상·음악상·특수시각효과상·음향효과상 등 6개 부문을 휩쓸어 화제가 됐다. '아메리칸 허슬'은 작품상을 놓쳤지만 여우조연상(제니퍼 로렌스)과 각본상·분장상 등 3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의 여우주연상은 '블루 재스민'의 케이트 블란쳇에게 돌아갔다. 남우조연상은 '캡틴 필립스'의 바크하드 압디가 차지했다. '위대한 개츠비'는 미술상과 의상상을 차지했으며, '겨울왕국'은 골든글로브에 이어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 골든글로브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이 막을 내린 상태에서 이제 남은건 3월 열리는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오스카)이다. 역시 '그래비티' '노예12년' '아메리칸 허슬' 등 세 작품이 주요 부문을 두고 격돌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은 한해동안 좋은 성적을 보인 영화 및 영화인들의 공을 치하하는 시상식이다.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이 열리기전 매년 2월 무렵에 시상식을 개최한다. 영화 뿐 아니라 TV 등 다방면에 대한 시상을 진행하며, 영화 시상식에서도 영국 영화와 영화인들의 시상부문을 따로 두고 있다. 정지원 기자cinezzang@joongang.co.kr 2014.02.17 09:0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