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5건
산업

'돈 써준 국민 덕분 '1분기 경제성장률, 민간소비 덕에 역성장 피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이후 민간 소비가 늘면서 1분기(1∼3월) 한국 경제가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피해 0.3% 성장했다.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전분기 대비)이 0.3%로 집계됐다고 2일 발표했다. 앞서 4월 25일 발표된 속보치와 같다.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에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이후 3분기(2.3%)·4분기(1.2%), 2021년 1분기(1.7%)·2분기(0.8%)·3분기(0.2%)·4분기(1.3%), 지난해 1분기(0.6%)·2분기(0.7%)·3분기(0.3%)까지 9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하지만 수출 급감과 함께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0.4%)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올해 1분기 소비에 의지해 힘겹게 반등했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 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6% 증가했다. 건설투자도 건물 건설 확대로 1.3% 늘었고, 정부 소비는 사회보장 현물수혜 위주로 0.2% 성장했다.반면 설비투자의 경우 반도체장비 등 기계류 중심으로 5.0%나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의 감소에도 운송장비 등의 호조로 4.5% 증가했다. 수입 증가율(4.2%)은 수출보다 낮았다. 속보치와 비교하면 건설투자가 1.1%p 높아졌고, 민간소비·정부소비도 0.1%p씩 상향조정됐다.하지만 설비투자의 경우 -4.0%에서 -5.0%로 1.0%p나 더 떨어졌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의 기여도는 0.3%p로 분석됐다. 그만큼 민간소비가 1분기 성장률을 높였다는 뜻이다. 반대로 순수출은 성장률을 0.2%p 끌어내렸다. 최근 무역수지 적자 상황이 결국 경제 성장에도 타격을 준 셈이다.업종별로는 운송장비·1차금속제품 등이 늘면서 제조업이 1.3% 증가했고, 건설업도 3.0% 늘었다.하지만 서비스업의 경우 의료·보건·사회복지(2.9%) 등의 성장에도 운수업(-3.9%) 등이 줄어 성장 없이 작년 4분기 수준에 머물렀다.1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직전 분기보다 2.7% 늘었다.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9조8000억원에서 19조3000억원으로 크게 늘어 명목 GDP 성장률(1.0%)을 웃돌았다.실질 GNI도 1.9% 증가했다. 역시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8조1000억원에서 14조9000억원으로 증가하면서 실질 GDP 성장률(0.3%)보다 높았다.총저축률(33.4%)은 0.7%p 올랐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2.6%)이 최종소비지출 증가율(1.5%)보다 높았기 때문이다.아울러 이날 발표된 '2022년 국민계정(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GDP는 2.6% 성장했다.명목 GDP(2162조원)도 3.9% 늘었고, 1인당 국민총소득(GNI)는 3만2886달러(한화 4249만원)로 집계됐다. 지난 3월 7일 처음 한은이 공개한 3만2661달러보다 225달러 늘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6.02 09:08
경제

올해 코스피·코스닥 시총 톱10 모두 하락…두달간 162조원 증발

올해 주식 개장 후 2개월 동안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10% 넘게 하락하면서 시가총액 162조원이 증발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25일 2676.76으로 2021년 말의 2977.65보다 10.1%(300.89포인트)나 떨어졌다. 시가총액 규모는 2203조3665억원에서 2103조9633억원으로 두 달간 4.5%(99조4032억원) 감소했다. 코스닥 지수의 경우 1033.98에서 15.6%(161.00포인트) 하락한 872.98까지 주저앉았다. 시총 규모는 446조2970억원에서 383조2338억원으로 14%(63조632억원)나 줄어들었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시총 감소 규모만 162조4664억원에 달한다.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대형주들이 대부분 추락했다. 코스피 시총 1위 삼성전자 주가는 25일 종가 기준 7만1900원으로 2개월간 8.2% 하락하며 38조원 넘게 증발했다. 2위 SK하이닉스 주가도 6.1% 하락했다. IT기업 양대산맥으로 대표적 성장주로 꼽히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도 15% 이상 떨어졌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 16.9%, 16.1% 떨어지며 시총 규모가 각 10조5000억원과 8조원가량 사라졌다. 코스피 시총 톱10 중 삼성SDI의 주가가 17.7%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바이오와 화학 대표주인 삼성바이오로직스(-14.8%)와 LG화학(-9.9%)도 떨어졌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대장주의 감소폭이 더 컸다. 시총 1위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주가가 두 달간 22.2% 하락했고, 2위 에코프로비엠은 28.1% 떨어졌다. 3위 펄어비스는 31.5%, 4위 엘앤에프는 14.1%, 5위 카카오게임즈는 20.3%나 각각 떨어졌다. 코스닥 시총 톱10 중에서 게임업체 위메이드가 2개월 간 42.7%나 떨어져 낙폭이 가장 컸다. 하락장으로 하루 평균 거래대금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코스피는 지난해 하루 15조원대에서 11조원대로, 코스닥 시장은 11조원대에서 8조원대로 줄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2.27 18:00
경제

삼성·현대차 등 상위 대기업 쏠림현상 심화

삼성·현대차·SK·LG 등 상위 대기업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인 31개 대기업 집단의 재무·경영 현황 등을 1일 발표했다.그 결과 삼성·현대차·SK·LG 등 상위 4개 그룹의 자산 총액이 전체의 52.7%를 차지하며 절반 이상을 점유했다.이들 상위 그룹의 평균 자산은 지난 2013년 179조원에서 올해 216조2000억원으로 20.8% 증가했다.2014년에는 189조9000억원, 2015년에는 200조9000억원, 2016년에는 206조2000억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그렸다.반면 중·하위 그룹의 평균 자산은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했다. 특히 하위 그룹의 올해 평균 자산은 18조1000억원으로 지난 5년 전인 2013년 17조원보다 6.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 2014년에는 16조6000억원으로 줄었다가 2015년 16조8000억원으로 늘었지만 다시 2016년 16조6000억원으로 떨어졌다.중위 그룹은 올해 평균 자산 총액이 69조1000억원으로 지난 2013년 59조원보다 17.1% 늘었지만 상위 그룹에 비할 바는 못됐다. 상위 그룹과 중·하위 그룹 간의 격차도 더욱 늘었다. 지난 2013년 상위 그룹과 중·하위 그룹 간 76조원이었던 평균 자산 차이는 올해 87조2000억원으로 늘었다. 특히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 간 차이는 198조1000억원으로 2013년 162조원보다 36조1000억원(22.3%) 확대됐다. 부채비율에서도 양극화는 뚜렷했다.전체 대기업 집단의 부채비율은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상위 그룹일수록 부채비율은 낮았다. 올해 상위 그룹은 56.5%, 중위 그룹은 80.6%, 하위 그룹은 125.2%의 부채비율을 보였다. 상위와 하위 그룹 간 2.2배의 격차가 있는 것이다.대기업 집단의 총 매출액은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상위 그룹의 매출 감소율은 중·하위 그룹보다 낮았다. 이 덕분에 상위 그룹이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됐다.매출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집단은 삼성으로 8조원에 달했고 롯데가 5조300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매출액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집단은 SK로 11조9000억원이었다. 한진해운 사태를 겪은 한진도 7조2000억원의 매출이 증발했다. 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 2017.05.01 15:42
경제

국내 대표 10대 기업 R&D 비중, 글로벌 톱10의 76%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업종별 상위 10대 기업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R&D)비 비중이 글로벌 상위 10대 기업의 76%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국내 7개 업종별 10대 기업의 3분기 말 기준 매출 대비 R&D 비중이 글로벌 상위 10대 기업의 76.1%에 그쳤다고 28일 밝혔다.지난해 3분기 말 74%에 비하면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글로벌 기업에 비해 인색한 수준이다.이번 조사는 IT전기전자·석유화학·철강·자동차·자동차부품·식음료·제약 등 7개 업종 국내 63개사와 글로벌 62개사 등 총 125개사를 대상으로 했다.업종별 1위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와 SK이노베이션만 글로벌 1위 기업을 뛰어 넘었다. 현대자동차·포스코·CJ제일제당·유한양행 등 5개 업종의 대표기업은 글로벌 기업과 격차가 컸다.삼성전자의 R&D 비중은 글로벌 기업 1위인 애플을 훨씬 앞섰다. 올 3분기 삼성전자는 1345억4300만달러(약 162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이 중 100억9200만달러(약 12조원)를 R&D에 집행했다. R&D비용은 매출의 7.5%를 차지했다.이에 비해 애플은 1687억8700만달러(약 203조원)의 매출을 달성했음에도 R&D비용은 74억7500만달러(약 9조원)로 4.4%에 그쳤다. 삼성전자의 매출 대비 R&D비중은 애플의 169.4%에 달했다.석유화학 업종인 SK이노베이션의 경우 글로벌 매출 1위인 중국시노펙을 앞지렀다. SK이노베이션의 올 3분기까지 매출 대비 R&D비중은 0.4%, 시노펙차이나는 0.3%에 그쳤다. SK이노베이션의 R&D 비중이 시노펙차이나의 126.3%에 이른다. 두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국내 1위들은 R&D 비중이 글로벌 1위 대비 크게 낮았다.포스코의 R&D 비중은 세계 1위 신일본제철주금의 63.5%에 머물렀다.세계 1위 식품업체 네슬레와 국내 1위 CJ제일제당의 격차도 컸다. CJ제일제당의 올 3분기까지 R&D 비중은 1.0%, 네슬레는 1.9%로 CJ제일제당의 R&D비중은 네슬레의 54.5%에 그쳤다.자동차 업계에서 현대자동차의 R&D 비중은 2.2%, 토요타는 4.1%로 격차가 컸다. 제약업 역시 국내 1위 유한양행의 R&D 비중은 글로벌 1위 존슨앤존슨의 53.8%에 머물렀다.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 2016.12.28 09:57
경제

대기업 기준 5조→10조원 상향조정…"카카오 대기업 아니다"

대기업집단 지정 기준이 기존 자산총액 5조원에서 10조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올해 새롭게 대기업집단에 추가됐던 카카오, 하림, 셀트리온 등이 대기업집단 규제에서 벗어나게 됐다.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9일 기획재정부·산업통상부·중소기업청 등 관계부처 협의 및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거쳐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대기업집단 지정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공기업집단도 정부 통제 강화를 이유로 규제 대상에서 빠졌다.이에 따라 기존에 65개였던 대기업집단이 28개로 줄어들게 됐다.공정위는 기존 대기업 지정 기준이 오래됐기 때문에 현행 경제여건 변화를 반영하고 규제 형평성을 따져야 할 필요성이 있어 이와 같은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지난 1987년 4월부터 대기업에 경제력이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제도를 운영해왔다. 5조원 이상을 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한 것은 2009년부터다.지난 2007년 말부터 지금까지 국민경제와 지정집단 자산규모가 크게 늘었다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국내총생산(GDP)는 1043조원에서 지난해 말 1559조원으로 49.4% 증가했다. 대기업지정집단 자산 합계도 같은 기간 동안 1162조원에서 2338조원으로 101.3%나 늘었다.자산규모 1위인 삼성과 올해 초 대기업집단에 지정된 카카오의 자산 규모 차이도 크다. 올해 삼성의 자산규모는 348조2000억원인데 올해 새롭게 편입된 최하위 집단 카카오의 경우 5조1000억원으로 그 차이가 68.3배다. 지난 기준에 따라 두 집단을 똑같이 규제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 공정위의 설명이다.다만 공정위는 총수일가의 사익편취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공시의무 대상집단은 현행 5조원 기준을 그대로 유지했다.또 공정위는 공정거래법 시행령을 개정해 향후 3년 주기로 대기업집단 지정기준의 타당성을 재검토할 수 있도록 명문화했다. 3년마다 무조건 기준을 상향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규모 변화에 따라 변경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해 이 같은 기준을 세웠다고 공정위는 밝혔다.지주회사 자산 요건도 기존 1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 또한 재검토 기한을 3년으로 설정했다.공정위는 오는 9월까지 이 같은 시행령 개정사항을 모두 완료하고 규제 차등화를 위한 공정거래법 개정안은 10월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 2016.06.09 10: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