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19건
야구

[PS 모아보기] 역대 준PO 최고의 시리즈는?

KBO 리그에 또 한 번 가을이 왔다.NC와 SK가 맞붙은 지난 5일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2017 KBO 포스트시즌이 막을 올렸다. 롯데와 NC가 만난 준플레이오프(준PO)도 8일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두산이 기다리고 있는 플레이오프행 티켓 한 장을 놓고 치열한 승부를 펼치고 있다. 준PO는 1989년 포스트시즌의 첫 관문으로 도입된 뒤 한국 프로야구에 수많은 명장면을 남긴 무대다. 이번 가을에는 또 어떤 드라마가 만들어질까. 역대 준PO가 남긴 명장면들을 되짚어봤다. #1989년 최초이자 최고의 준PO준PO가 처음 시작된 1989년은 역대 최초일 뿐만 아니라 최고의 명승부를 남긴 시리즈로도 기억된다. 그해 김성근 감독과 함께 새 출발했던 태평양은 인천 연고팀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삼성과 맞붙은 역사적인 준PO 1차전. 연장 14회까지 무득점 행진이 이어졌다. 삼성은 선발투수 성준과 재일동포 김성길이 이어 던졌지만, 태평양은 연장 14회까지 오직 한 명의 투수로 맞섰다. 19승을 올리며 찬란하게 데뷔한 고졸 신인 잠수함 투수 박정현이었다. 연장 14회말 2사 2·3루서 태평양 김동기가 타석에 섰다. 그해 홈런이 11개뿐이었고, 정규시즌 김성길 상대 성적이 21타수 2안타였던 타자. 바로 그가 좌중간을 가르는 끝내기 3점홈런을 만들어 냈다. 박정현은 14이닝 동안 8안타 7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태평양의 역사적인 첫 포스트시즌 경기에서 완봉승을 올렸다.2차전에서는 삼성 김용국이 0-2로 뒤진 6회 무사 만루에서 태평양 선발 최창호를 상대로 좌중간 역전 만루홈런을 때려냈다. 7년 만에 나온 포스트시즌 통산 2호 그랜드슬램이었다. 삼성은 이 홈런으로 포스트시즌 11연패도 끊었다.그러나 3차전에서는 박정현이 마운드에서 쓰러지는 불상사도 벌어졌다. 1차전에서 14이닝을 던진 투수가 사흘 만에 다시 마운드에 올라 4회부터 9회 투아웃까지 책임졌다. 결국 허리에 이상이 생겨 마운드에 주저 앉았다. 에이스의 투혼을 등에 업은 태평양은 3시간 50분 격전 끝에 연장 10회말 곽권희의 끝내기 중전안타로 2-1로 승리했다. 태평양 양상문이 구원승을 올렸다. #1991년 빗속을 가른 역전 홈런준PO는 한동안 3전 2선승제로 치러졌다. 다만 승부를 가리지 못하는 경기가 나오면 불가피하게 4차전을 열어야 했다. 1991년 3년 연속 가을 잔치에 나선 삼성과 7년 만의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롯데가 바로 그랬다.3차전까지 1승 1무 1패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두 팀은 결국 벼랑 끝 승부인 4차전에서 다시 만났다. 폭우가 쏟아졌던 이날, 삼성 김용철은 1-2로 뒤진 6회말 1사 2루서 롯데 선발 윤학길을 상대로 빗줄기를 뚫고 날아가는 역전 2점 홈런을 쏘아 올리며 전세를 뒤집었다. 삼성은 이후 8회말 류중일의 홈런을 포함해 대거 7득점하며 10-2 대승을 거뒀다. 류중일은 1차전부터 4차전까지 모두 홈런을 쳐 사상 최초로 포스트시즌 4연속경기 홈런 대기록을 작성했다. #2010년 두산의 역전 드라마2009년 두산에 져 준PO에서 탈락했던 롯데는 2010년 다시 준PO에서 두산을 만났다. 초반 기세는 무서웠다. 잠실 원정에서 2승을 먼저 해냈다. 1차전에선 9회 전준우의 결승 솔로포가 터졌고, 2차전에선 그해 타격 7관왕 이대호가 연장 10회초 3점포를 쏘아 올렸다. PO 진출 문턱까지 갔다.그러나 두산의 뚝심이 다시 드라마를 만들어냈다. 사직 원정에서 3·4차전을 모두 따내 끝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잠실로 돌아온 5차전도 두산의 11-4 승리. 2연패 후 3연승을 거두는 '리버스 스윕'으로 PO에 진출한 팀은 준PO 역사상 두산이 처음이었다. 롯데를 3년 연속 포스트시즌으로 이끌어 '영웅' 대접을 받았던 제리 로이스터 감독은 결국 재계약에 실패했다. #2012년 롯데의 '리벤지'롯데와 두산은 2년 뒤 준PO에서 다시 만났다. 롯데가 2승 1패로 앞선 채 시작한 4차전은 연장 10회말까지 팽팽한 승부가 이어졌다. 롯데 선두타자 박준서가 중전안타로 나간 뒤 3번 타자 손아섭의 희생번트로 1사 2루가 됐다. 이어 4번 홍성흔 타석 때 두산 투수 스캇 프록터가 볼카운트 투스트라이크에서 3구째 변화구를 던졌다.바운드된 볼은 두산 포수 양의지의 미트를 맞고 뒤로 흘렀다. 2루 주자 박준서가 3루로 달리자 공을 잡은 양의지가 3루로 송구했다. 그러나 공은 3루수 이원석의 글러브를 맞고 좌익수 쪽까지 굴러갔다. 주자 박준서는 홈으로 파고들어 시리즈 끝내기 득점을 올렸다. 준PO와 PO, 한국시리즈를 통틀어 '시리즈 끝내기 실책'은 이날 양의지의 3루 악송구가 최초였다. 롯데는 그렇게 2년 만에 설욕에 성공했다. #2013년 역사에 남을 혈투준PO뿐 아니라 KBO 포스트시즌 전체 역사에 남을 만한 혈투였다. 주인공은 두산과 넥센. 긴 설명도 필요 없다. 1∼3차전에서 포스트시즌 사상 최초로 3경기 연속 끝내기 안타가 나왔다. 또 4차전까지는 준PO 사상 최초로 4경기 연속 1점차 승부가 펼쳐졌다. 5차전 역시 연장전에 돌입해서야 경기가 끝났다.특히 잠실에서 열린 3차전에서는 준PO 역대 두 번째로 연장 14회 승부가 펼쳐졌다. 4시간43분간 경기가 진행돼 역대 준PO 최장시간 신기록이 작성됐다. 심지어 이 기록은 목동구장으로 옮겨서 치러진 5차전에서 사흘 만에 다시 경신됐다. 연장 13회까지 무려 4시간 53분간 경기가 끝나지 않았다. 기록도 10분이 더 늘었다. 또 두산은 2연패 후 3연승을 달리면서 2010년 이후 두 번째 리버스 스윕에 성공했다. 준PO가 5전 3선승제로 열린 이후 리버스 스윕을 해낸 팀은 2010년과 2013년의 두산뿐이다. 무엇보다 5차전에선 그해 홈런왕이자 넥센 4번 타자였던 박병호가 엄청난 홈런 한 방을 날렸다. 3점 뒤진 9회말 2사 1·2루서 시리즈를 끝내러 나온 두산 에이스 더스틴 니퍼트를 상대로 드라마 같은 동점 3점포를 터트렸다. 경기는 결국 넥센의 패배로 끝났지만, 이 홈런은 그해 최고의 장면 가운데 하나로 기억됐다.이뿐 아니다. 기상천외한 장면도 많이 나왔다. 2차전에선 두산 홍상삼이 포스트시즌 역대 최다인 '1이닝 3폭투' 기록을 남겼다. 3차전에선 당시 넥센 소속이던 장민석이 9회 승부처에서 투 스트라이크 이후 기습 번트를 대려다 삼진을 당하는 본헤드 플레이로 사기를 꺾었다.또 두산 오재일은 4차전 1회말 2루에서 3루로 달리다 타구에 맞아 횡사했다. 내야에 뜬 타구를 투수와 포수가 충돌해 놓치고, 1루 견제구가 불펜 안으로 들어가 버리는 해프닝도 이어졌다. 그야말로 '대단한' 준PO였다. 배영은 기자 2017.10.10 05:30
야구

[포토]하트로 사랑 전하는 2017프로야구 최고의 별들

2017 KBO프로야구 올스타전이 15일 오후 대구 라이온즈파크에서 열렸다.본 경기에 앞서 참가 선수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대구=김민규 기자 kim.mingyu@joins.com /2017.07.15/ 2017.07.15 17:39
야구

[포토]화이팅 외치는 2017프로야구 최고의 별들

2017 KBO프로야구 올스타전이 15일 오후 대구 라이온즈파크에서 열렸다.본 경기에 앞서 참가 선수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대구=김민규 기자 kim.mingyu@joins.com /2017.07.15/ 2017.07.15 17:36
야구

태어나자마자 너무 예쁘다는 프로야구 선수 딸

롯데 자이언츠 강민호 선수가 인스타그램에 딸 강하이의 사진을 자랑하며 딸바보임을 인증했다. 14일 강민호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사랑하는 내 여자 둘 사랑한다❤ #태명에서 이름으로 #강하이"라는 글과 함께 사진 두 장을 올렸다. 공개된 사진은 아내 신소연이 딸 하이와 누워 있는 사진 한 장과 강민호 자신이 딸 옆에 누워 손가락 하트를 발사하는 사진이다. 강민호와 신소연 부부는 지난 6월 23일 득녀했다. 한편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아가인데도 예쁨을 숨길 수가 없다" "소연 씨 예쁜 아기 낳느라 고생 많았다" "하이 아버님 축하드린다" 등 축하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7.07.14 17:51
야구

KIA 돌풍·선발야구 부활·삼성 추락…4월 가고 5월 왔다

'야구의 봄'은 광주와 창원에 찾아왔다. 대구는 아직 한겨울이다.4월이 가고 5월이 왔다. 개막 후 한 달이 지났다. 프로야구 10개 구단이 모두 26경기씩 소화했다. 현재 1위 팀은 개막 전부터 강호로 평가받았던 KIA다.강력한 선발진의 힘을 앞세워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팀 18승 중 선발승이 15승이다. 선발 투수가 7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로 던진 경기는 무려 12번. 2위 LG(7회)와도 큰 차이다. 경기를 치를수록 득점력도 향상되고 있다. 4월 중순까지는 KIA의 독주 양상이었다. 하지만 이후 NC가 무서운 속도로 뒤를 쫓았다. 시즌 출발은 좋지 않았지만, 어느새 KIA를 0.5경기 차로 따라 붙었다. 3위 LG와의 격차도 조금씩 늘려가고 있다. 개막 6연승 뒤 5연패라는 롤러코스터를 탄 LG는 투수력을 앞세워 5할 승률에서 +4승을 저축했다. 6연패로 시즌을 시작한 SK는 압도적인 홈런 파워를 앞세워 4위에 랭크됐다.롯데는 시즌 초반에 비해 기세가 다소 꺾였지만, 5할 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5연패 한 번, 6연패 한 번씩을 기록한 넥센은 최근 4연승으로 4월 마지막 날에 시즌 첫 5할 승률을 달성했다. 2년 연속 한국시리즈를 제패한 두산은 7위에 처져 있다. 하지만 5할 승률 -1이다.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갈 힘이 있다. kt는 개막 이후 7승 1패로 기세를 올렸지만, 이후 5승 13패로 부진하다. 마운드는 예년에 비해 힘이 부쩍 붙었다. 하지만 팀 타율 0.230인 타선 침묵이 장기화되고 있다. 한화는 5할 승률에서 -6으로 처져 있다. 지난 두 시즌 한화는 홈에서 강한 팀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홈에서 3승 8패로 부진하다. 더 떨어지면 곤란하다. 삼성의 추락은 4월의 KBO 리그에서 가장 어두운 소식이다. 불과 2년 전 정규시즌 우승을 하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던 삼성은 올해 10개 구단 가운데 유일하게 아직 10승 고지를 밟지 못했다. 4승 2무 20패. 승률이 0.167에 그치는 참담한 성적이다.4월 한 달 간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역시 '선발 야구의 부활'이다. 스트라이크존이 넓어지면서 제구가 되는 선발 투수들이 본격적으로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특급 외국인 투수들의 등장도 한 몫 했다. 지난해 두산의 15승 선발투수 네 명을 '판타스틱 4'라 불렀다면, 올해는 다른 팀에도 비슷한 별명들이 많이 등장했다. 1위 KIA는 헥터 노에시-팻 딘-양현종에 4선발 임기영까지 활약하면서 최강 4선발을 구축했다. 3위 LG에는 데이비드 허프-헨리 소사-류제국-차우찬으로 이어지는 '어메이징 4'가 있다. 공동 5위 넥센도 외국인 투수들의 부진을 국내 선발 4인이 메우고 있다. 지난해 15승 투수 신재영, 국가대표급 불펜 투수에서 나란히 선발로 전환한 한현희와 조상우, 5선발로 확실하게 자리 잡은 최원태까지 어느 누가 나가도 믿음직스럽다.넥센과 순위가 같은 롯데 역시 브룩스 레일리와 닉 애디튼이 안정감을 뽐내고 있는 데다, 국내 에이스 박세웅이 성장한 덕을 톡톡히 봤다. 2위 NC에는 제프 맨쉽이라는 복덩이가 굴러 들어왔다. 첫 6경기에서 6승. 역대 최다 기록이다. 김성근 감독 부임 이후 늘 '퀵 후크'로 논란을 빚었던 한화조차 올해는 선발 투수들이 6회나 7회에도 종종 마운드에 올랐을 정도다. 배영은 기자 2017.05.02 06:00
야구

[힐릭스플레이어]개막 첫 달, WAR 상위권에 오른 다양한 얼굴

2017년 KBO 리그 개막 첫 달, 여러 얼굴들이 '힐릭스플레이어'를 다퉜다.한국쉘석유주식회사(이하 한국쉘석유)는 2017년에도 KBO 리그 선수들을 대상으로 힐릭스플레이어를 매달 선정한다. 지난해 첫 시상을 시작한 '힐릭스플레이어'는 WAR(대체선수대비승리기여)을 기준으로 한다. 공격·수비·주루를 모두 평가하며, 야수와 투수에게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많은 메이저리그 구단이 지표로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선 (주)스탯티즈가 집계하고 있다.가장 뜨거운 개막 첫 달을 보낸 선수는 SK 간판 타자 최정이다. WAR(1.930) 1위에 올랐다.SK는 4월까지 14승을 거뒀다. 최정은 2승 가까운 기여를 한 셈이다. 26경기에 나서 타율 0.303에 12홈런 25타점 출루율 0.418 장타율 0.742를 기록했다. 홈런과 타점은 히그 1위, 장타율은 2위다. 최정은 지난해 NV 에릭 테임즈와 공동 홈런왕(40개)에 올랐다 .올해는 홈런 더비에서 단연 앞서나가고 있다. 지난달 25일 잠실 LG전에서 시즌 10호 홈런을 때려냈다. 12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 기록을 시즌 개막 한 달도 안 돼 달성했다. 자신의 종전 한 달 최다 홈런(10개) 기록도 경신했다.개막 6연패를 당한 SK는 최정의 분전 속에 14승 12패로 4월을 마쳤다. 팀 홈런(47개) 1위를 기록하며 '거포 군단'임을 과시했다. 그 중심에 최정이 있었다.그 뒤엔 롯데 이대호(1.924)가 자리했다. 일본 프로야구와 메이저리그를 거쳐 6년 만에 돌아온 KBO리그에서 단연 돋보이는 타격 능력을 과시하고 있다. 1일 현재 리그에서 유일하게 4할 타율(0.424)을 유지하고 있는 타자다. 홈런도 7개를 기록하며 공동 4위에 올라있다.KIA의 선두 질주를 이끌고 있는 선발 투수 양현종(1.848)과 핵터 노에시(1.737)은 각각 3위와 5위에 올랐다. 두 선수는 3, 4월 등판한 5경기에서 모두 승리 투수가 됐다. 평균자책점도 준수하다. 양현종은 1.83, 헥터는 1.22를 기록 중이다. KIA가 거둔 18승(8패) 중 절반 이상을 두 선수가 책임졌다.KIA 최형우와 NC 나성범도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나성범은 WAR 1.837을 기록했다. 타율 0.349에 5홈런·19타점을 기록했다. 첫 13경기에선 타율 0.283에 그쳤지만 이후 13경기에선 0.411이다. 간판 타자의 타격감이 살아난 NC는 최근 13경기에서 11승(1무 1패)를 거뒀다.KIA 최형우(1.607)는 FA(프리에이전트) 계약 첫 해라는 부담감을 떨치고 리그 간판 좌타자다운 활약을 하고 있다. 새 얼굴의 등장도 두드러진다. WAR 6위를 기록한 kt 외국인 라이언 피어밴드(1.727)는 지난해까진 평범한 투수였다. 올 시즌 재계약도 불투명했다. 하지만 너클볼을 장착하며 한층 상대하기 까다로운 투수가 됐다. 첫 3경기에선 25이닝 동안 단 1점만을 내줬다. 이후 2경기에선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했다. NC 새 외인 투수 제프 맨쉽(1.447)은 10위에 올랐다. KBO리그 데뷔전이던 3월 31일 마산 롯데전을 시작으로 선발 6경기 전승을 기뒀다. 평균자책점(1.69)도 준수하다.젊은 선수 LG 이형종과 롯데 박세웅도 선전했다. 이형종은 3월 27일까지는 WAR 1위를 질주했다. 하지만 지난 주말 3연전에서 침묵하며 7위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그가 기록한 WAR 1.644는 LG 선수들 중 가장 좋다. 박용택, 루이스 히메네스 등 간판 타자들과 함께 팀 타선의 주축으로 거듭났다. 풀타임 3년 차를 맞는 박세웅(1.543)은 9위에 올랐다. 5경기에 등판해 3승 2패 평균자책점 2.08을 기록했다. 안희수 기자 2017.05.02 06:00
야구

개막 한 달, 3할 타자·ERA는 그대로

2017년 프로야구는 투고타저다. 지난해 5.61점으로 역대 최고였던 경기당 득점은 올해 4.75점으로 확 줄었다. KBO 리그 통산 평균보다 약간 더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아직 확신은 이르다. 지난해에도 그랬기 때문이다.지난해 3할 타자는 역대 최다인 40명이나 배출됐다. 2014년에 이어 리그 사상 두 번째로 평균자책점이 5점대(5.17)를 돌파했다. 지나친 타고투저가 특히 투수들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여기에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부진으로 스트라이크 존 확대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4월 투고타저 양상도 존 확대의 영향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3월 31일 개막한 올 KBO리그는 4월 30일까지 3할 타자가 27명이다. 지난해 40명의 67.5% 수준이다. 그런데, 지난해 4월 30일을 비교 시점으로 잡으면 얘기가 달라진다. 그때도 3할 타자 수는 27명으로 지금과 정확하게 같다. 3할 타자 수 뿐만이 아니다. 4월까지 리그 평균 타율도 지난해 0.272에서 올해 0.270으로 조금 떨어졌을 뿐이다.다만 2016년에는 타격 5걸에 김문호(롯데·0.430) 오재일(두산·0.394) 유한준(kt·0.379) 구자욱(삼성·0.368) 서상우(LG·0.357) 등 의외의 타자가 많았다. 올해는 이형종(LG·0.367)을 제외한 이대호(롯데·0.424) 김태균(한화·0.394), 최형우(KIA·0.367), 채태인(넥센·0.365) 등 리그를 대표하는 베테랑 타자들이 포진했다. 장타율과 출루율은 각각 0.404·0.350에서 0.398·0.337로 소폭 하락했다. 경기당 홈런은 1.77개에서 1.72개로 조금 떨어졌다. 투수들의 평균자책점도 비슷하다. 지난해는 4월까지 4.37이었다. 올해는 4.38로 0.01 차이다. 다만 선발 투수들의 우위는 두드러진다. 지난해 선발 평균자책점은 4.47이었지만 올시즌엔 4.20이다. 규정 이닝을 채운 1점대 평균자책점 투수는 지난해 1명에서 올해 5명으로 늘었다. 반면 구원 평균자책점은 4.25에서 4.69로 상승했다.지난해 4월에도 '타고투저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하지만 5월부터 투수들이 타자들의 맹공을 버텨내지 못했다. 4월까지 0.272던 타율은 0.290으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평균자책점도 4.37에서 5.17로 역대 2위였다. 2017년 4월도 2016년과 같은 투수들의 '반짝 호황'에 그칠까. 하지만 투고타저 흐름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신호도 있다.KBO는 1일 "4월 30일 기준으로 9이닝 기준 경기 시간이 지난해 3시간23분에서 3시간12분으로 11분 단축됐다"고 발표했다. 타고투저 시즌이 투고타저 시즌보다 경기 시간이 길다. 더 많은 타석이 기록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난해와 올해 4월은 같은 '투고타저'였다. 실제 타석 수로 비교하면 올해 팀당 1경기 타석은 38.8회로 지난해(39.2회)보다 0.4타석 줄었을 뿐이다. 하지만 야구 기록의 최소 단위인 볼로 계산하면 다르다. 지난해 4월까진 한 경기를 치르는 데 153.2구를 던져야 했다. 올해는 148.7구로 4.5구나 줄었다. 경기 외적 요소를 제외하면 올해 투수들은 비슷한 수의 타석을 소화하는 데 지난해보다 더 적은 공을 던지고 있다. 경기 시간 단축의 이유 중 하나다. 실제 9이닝당 볼넷은 지난해 팀당 3.73개에서 3.05개로 줄었다. 경기당 1.36개가 감소했다. 반면 스트라이크 비율은 61.7%에서 64.2%로 높아졌다. 더 많은 스트라이크 판정이 나오면 안타와 점수는 줄어든다.지금의 스트라이크존 확대 기조가 이어진다면 지난해와는 달리 투고타저 경향은 5월 이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형석 기자 2017.05.02 05:30
야구

[포토]김한수 감독, 목이 타네

2017프로야구 KBO리그 kt위즈와 삼성라이온즈의 경기가 9일 오후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렸다.9회초 2사 만루 구자욱 타석때 김한수 감독이 물을 마시고 있다. 결과는 내야땅볼로 경기 끝.수원=김민규 기자 kim.mingyu@joins.com /2017.04.09/ 2017.04.09 16:45
야구

[포토]김진욱 감독, 퇴장당했어도 이겼으면 됐지

2017프로야구 KBO리그 kt위즈와 삼성라이온즈의 경기가 9일 오후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렸다.시즌 첫 감독퇴장의 주인공이 됐던 김진욱 감독이 경기후 웃으며 그라운드로 나오고 있다.수원=김민규 기자 kim.mingyu@joins.com /2017.04.09/ 2017.04.09 16:45
야구

[포토]김진욱 감독, 시즌 첫 감독퇴장에도 웃음만

2017프로야구 KBO리그 kt위즈와 삼성라이온즈의 경기가 9일 오후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렸다.시즌 첫 감독퇴장의 주인공이 됐던 김진욱 감독이 경기후 웃으며 그라운드로 나오고 있다.수원=김민규 기자 kim.mingyu@joins.com /2017.04.09/ 2017.04.09 16:4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