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삼성전자 1분기에 50조 증가...삼성 오너가 가치도 3조 가량 상승

증시의 반등으로 올해 1분기 삼성 오너가의 주식가치도 대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전자 주식이 50조원 이상 증가하면서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주식가치도 8000억원 이상 늘어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9일 2023년 1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조사대상 상장사 2558곳의 연초 시총 규모는 2011조원 수준에서 3월 말 2291조원으로 280조원(13.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시총이 증가한 종목은 삼성전자였다. 올해 초 331조3229억원이었던 시총은 3월 말 382조660억원으로 50조7431억원 증가했다. 이 기간 삼성전자의 주가는 5만5300원에서 6만4000원으로 16% 가량 상승했다. 이재용 회장은 삼성전자 지분 1.63%를 지니고 있다. 이 회장의 주식가치는 올 초 5조3870억원에서 6조2345억원으로 8475억원 증가했다. 삼성전자 지분 1.96%를 보유하고 있는 홍라희 여사의 경우 1조원 이상 상승했다. 연초 6조4868억원에서 7조5074억원으로 지분가치가 올랐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도 나란히 삼성전자 지분 0.93%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의 주식가치도 3조633억원에서 3조5452억원으로 5000억원 가까이 뛰었다. 이로 인해 삼성 오너가의 1분기 주식가치가 2조8500억원 가량 증가했다. 하지만 미국 경제지 포브스가 선정한 한국 50대 자산가 순위에서 이재용 회장은 1위 자리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에게 넘겨줘야 했다. 포브스가 전날 발표한 순위에서 김병주 회장이 97억 달러(약 12조8000억원)로 1위, 이재용 회장이 80억 달러(10조5000억원)로 2위를 차지했다. 1분기에 시총이 10조원 이상 증가한 종목은 삼성전자 외에도 3종목이 더 있었다. 2차 전지 관련 종목으로 LG에너지솔루션과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104조3640억원에서 136조6560억원으로 32조2920억원이 뛰었다. 에코프로비엠은 12조8217억원, 에코프로는 10조871억원 오르면서 주가 상승을 주도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4.19 11:00
생활/문화

[삼성전자 주총] 한종희 부회장 "코로나 팬데믹에도 호실적…주주·임직원 덕분"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16일 지난해를 돌아보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영 여건이 무척 어려웠지만, 주주들의 관심과 임직원, 협력사의 헌신에 힘입어 연결 기준 매출 280조원, 영업이익 52조원이라는 실적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주주, 기관투자자, 한 부회장, 경계현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53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재무제표 승인, 사내·사외이사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을 상정했다. 한 부회장은 인사말에서 "DX(디바이스 경험)부문은 폴더블폰 대세화 등으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를 더욱 확대했으며, '네오 QLED TV'와 비스포크 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 출시를 통해 업계 리더십을 굳건히 했다"고 말했다. 또 "DS(반도체)부문은 메모리 사업에서 서버 중심 수요 성장에 적극 대응하면서 리더십을 공고히 했으며, 시스템반도체 사업은 EUV(극자외선) 공정의 양산을 확대하고 미국 테일러시에 신규 공장 투자를 결정하는 등 미래 성장 기반을 다졌다"고 덧붙였다. 한 부회장은 "이를 통해 2021년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는 인터브랜드 평가 기준 746억 달러로 2년 연속 글로벌 5위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주주가치 제고와 관련해 한 부회장은 "주주환원 약속을 성실히 이행하기 위해 2021년 기준으로 연간 9조8000억원의 배당을 지급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회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한종희 부회장은 "삼성전자는 제품 간 시너지를 높이고 고객들에게 한 차원 높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CE(가전)와 IM(모바일) 부문을 DX부문으로 통합했으며, 미래 지향적 인사 제도 정착을 통해 미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도 착실히 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3.16 09:47
경제

삼성전자, 2021년 매출 280조원 육박 사상 최대 실적

삼성전자가 지난해 280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리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삼성전자는 7일 지난해 연결 기준 잠정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은 279조400억원, 영업이익은 51조57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17.83%, 영업이익은 43.29%나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의 연간 매출은 역대 최대치다. 영업이익은 반도체 슈퍼호황기였던 2018년(58조8900억원) 이후 최고 수준이자 역대 3번째로 많다. 삼성전자의 작년 매출은 증권가의 전망치(278조원)를 웃돌았다. 작년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은 76조원, 영업이익은 13조80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2.7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2.77%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로 “4분기 실적에 1회성 특별격려금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삼성은 2013년 이후 8년 만에 계열사에 특별 격려금을 지급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호실적을 이끈 1등 공신은 반도체 부문이 꼽힌다. 증권가는 삼성전자가 4분기에 반도체 부문에서만 9조원 중반대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들이 정보기술(IT) 투자를 늘리고 데이터센터 수요도 증가하면서 서버용 D램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여기에다 폴더블폰 흥행도 호실적에 기여했다. 지난해 폴더블폰 갤럭시Z 시리즈의 판매량은 전년보다 4배 이상 늘었다. 올해는 갤럭시Z 시리즈 판매량이 약 800만대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증권가는 삼성전자가 올해도 메모리 부문 호황에 힘입어 호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원식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삼성전자의 연간 메모리 부문 매출액 추정치를 기존 82조6000억원에서 89조2000억원으로 영업이익 추정치를 28조원에서 34조1000억원으로 각각 8%, 22%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1.07 09:3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