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이건희 3주기, 당일 귀국 이재용도 오너일가들과 참석

고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의 3주기 추도식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등 삼성의 오너일가들이 모두 참석했다. 이건희 선대회장의 3기 추도식은 25일 경기도 수원 선영에서 열렸다. 특히 중동에 경제사절단으로 나갔던 이재용 회장은 선친 기일에 맞춰 이날 오전 6시 30분께 김포공항으로 입국한 뒤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겸 삼성글로벌리서치 고문, 김재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겸 국제빙상경기연맹 회장 등 유족들이 함께했다. 이들은 오전 11시께 선영에 도착해 10여분간 머무르며 고인을 추모하고 이야기를 나눴다.지난 19일 이건희 선대회장 추모음악회에서 만난 유족들은 일주일 만에 열린 추도식에서 다시 한자리에 모여 고인의 업적과 뜻을 기렸다.유족들에 앞서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경계현 사장 등 삼성 현직 사장단 60여명도 오전 10시께 미니버스를 타고 선영에 도착해 차례로 헌화와 묵념 등을 하며 고인을 추모했다.이 회장은 추도식 후 용인 인재개발원으로 이동해 사장단과 함께 이건희 선대회장 추모 영상을 시청한 뒤 오찬을 함께했다.올해 3주기를 앞둔 지난 19일에는 삼성 반도체 사업 태동지인 기흥캠퍼스를 찾아 차세대 반도체 연구개발(R&D) 단지 건설현장을 둘러보고 주요 경영진과 함께 반도체 전략을 논의했다.이 회장은 부회장이었던 지난해 2주기 당일에는 사장단 오찬에서 "세상에 없는 기술에 투자해야 한다. 미래 기술에 우리의 생존이 달려 있다. 최고의 기술은 훌륭한 인재들이 만들어 낸다"며 '초격차 기술' 연구·개발과 우수 기술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후 회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이건희 선대회장은 1987년 부친인 이병철 삼성 창업주 별세 후 삼성그룹 2대 회장에 올랐고, 1993년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꿔라"로 대표되는 '신경영 선언'으로 그룹 혁신을 추진해 삼성을 글로벌 기업 반열에 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그는 2014년 5월 서울 용산구 자택에서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뒤 6년 5개월여간 병석에 있다 2020년 10월 25일 향년 78세로 별세했다.한편 선대회장의 유족은 고인의 '문화 공헌' 철학을 계승해 사회 환원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8월에는 광화문 월대 복원을 위해 용인 호암미술관에 소장돼 있던 서수상을 정부에 기증했다.월대 복원을 마무리한 문화재청은 지난 15일 기념행사를 열고 서수상을 포함한 광화문 월대를 공개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10.25 15:09
산업

'6만전자' 늪에 빠진 이유, 삼성 오너일가 때문?

삼성전자가 ‘6만전자 늪’에 빠진 형국이다. 삼성전자 임원들이 장내 매수를 통해 주가 부양에 힘쓰고 있지만 오너일가 블록딜(시간 외 매매)의 불확실성이 더해지며 좀처럼 6만전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오너일가가 블록딜 처분 이후 삼성전자 주가의 분위기가 무겁게 흘러가고 있다. 24일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의 블록딜 가능성 소식이 전해졌고, 삼성전자는 28일 보통주 1994만1860주 매매를 공시했다. 홍 전 관장 처분 단가는 주당 6만8800원으로 총 1조3720억 원에 달했다. 홍 전 관장은 남편인 고 이건희 회장으로부터 삼성전자 주식을 상속받았다. 블록딜 처분 이후 삼성전자 지분율은 2.30%에서 1.96%(1억1730만2806주)로 줄었다. 삼성 오너일가는 2020년 10월 이건희 회장의 별세로 인한 상속세를 납부하기 위해 주식 처분에 나서고 있다. 지난 3월 22일에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도 삼성SDS 주식 301만8860주를 단가 12만7680원에 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했다. 삼성 오너일가는 12조 원이 넘는 상속세를 내야 하는 입장이다. 5년 연부연납(분할납부)을 신청한 상황에서 앞으로 추가적인 블록딜이 전망된다. 이 같은 예정된 이슈들로 인해 삼성전자 주가는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26일 삼성전자의 주가는 6만6100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52주 신저가를 다시 썼다. 이날 코스피 지수가 11.18포인트(0.42%) 올라 대부분의 종목이 상승했지만 삼성전자 주가만 0.30% 하락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1분기 최대 실적을 올리고도 오너일가의 악재 등으로 ‘6만전자’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삼성전자 임원들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매수 행렬에 동참하고 있지만 효과가 거의 없다. 이날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삼성전자 보통주 또는 우선주를 장내 매수한 삼성전자 임원은 모두 21명이다. 이들이 사들인 자사주는 보통주 5만2353주, 우선주 2000주 등 총 5만4353주다. 규모는 38억687만 원에 달한다. 한종희 부회장이 보통주 1만주를 주당 6만9900원에 매수하며 가장 많은 자사주를 사들였다. 노태문 사장은 보통주 8000주를 6만9800원에 장내 매수했고, 박학규 사장도 비슷한 금액에 6000주를 매입했다. 노 사장과 박 사장이 매입한 자사주 규모는 각 5억5840만 원, 4억1930만 원이다. 김수목 사장도 총 5억5715만 원 규모의 보통주 8000주를 매입했다. 자사주 취득 최저 주당 단가는 김한조 사외이사의 6만7700원이다. 삼성전자 주가가 7만원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한 3월부터 임원들의 매수가 활발해졌다.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는 임원들의 매입 단가보다 더 떨어진 상황이다. 코스피가 하락장인 점을 고려하더라도 삼성전자 주가는 올해만 15% 이상 떨어지며 동학개미들을 울리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이미 삼성전자 주가가 ‘바닥’을 쳤다고 분석하고 있지만 움직임은 시원치 않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삼성전자 주가 하락은 D램 시장 우려를 충분히 반영했다. D램 가격 하락 폭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며, 2분기까지 낸드 업황은 호조세도 이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 달 동안 이어지고 있는 ‘6만전자 늪’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존재한다. 상속세 납부를 위한 오너일가의 추가적인 블록딜이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부진 사장, 이서현 이사장의 삼성전자 지분은 각 1.63%, 0.93%, 0.93%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은 다른 가족과는 달리 원래부터 삼성전자 지분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지분을 매도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4.27 07: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