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10구단 유치 경쟁 중인 KT(수원)와 부영(전북)이 제출한 야구발전기금 규모가 공개됐다. 그동안 철저하게 비공개로 유지됐던 야구발전기금은 지난 10일 열린 10구단 평가위원회가 끝난 후 몇몇 위원들을 통해 발설됐다. KT는 지난 7일 한국야구위원회(KBO)에 제출한 회원가입신청서에 200억원의 발전기금을, 부영은 80억원을 적어낸 것으로 확인됐다.
◇예상보다 적은 부영의 발전기금
당초 부영의 야구발전기금 액수는 최소 1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됐다. 평가위원회가 열리기 전날(9일) 보도자료를 통해 '회원가입신청서 항목 중 '연고지역 아마야구 지원' 부분에서 전북도 야구발전을 위해 100억원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명시했다'고 밝힌 만큼 기본적으로 이 액수를 넘길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생각이었다.
지역야구를 위해 100억원의 거액 출연을 결정했기 때문에 야구발전기금 액수를 이보다 더 크게 내는 게 당연했다.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100억원을 기본 전제로 플러스 알파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회원가입신청서 제출 후 "많이 쓴 것 같다. 며칠 후 밝혀지지 않겠나. 성의껏 썼다"고 자평하기도 했다.
특히 새해 첫날 전북도를 방문해 지역 고교 야구팀에 2억원을 쾌척하는 등 이른바 '머니게임'에서의 자신감을 내비쳤던 터라 예상을 밑도는 금액에 의문점이 찍히고 있다.
◇선택과 집중의 실패일까
부영·전북은 그동안 여러 보도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금액을 제시하며 지역 야구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관심을 약속했다. 전북도 야구발전을 위해 100억원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 대표적이다. 반면 KT·수원은 독립리그 운영과 아마야구 발전 방안 등을 밝히면서 투자 금액을 최대한 공개하지 않았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 파격적인 야구발전기금 200억원을 내세웠다.
그동안 양쪽의 공약에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승부의 추를 기울 게 할 수 있는 결정적 요인으로 야구발전기금이 꼽혔다. 야구발전기금은 10구단 평가위원회의 평가 항목 중 하나로 포함돼 있으며 기존 구단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현실적인 공약'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지난 2월 이사회에서 신생 구단 창단 자격으로 '가입금 및 야구발전기금 등 총 50억원 이상 납부'를 조건에 넣었다. 당시 9구단으로 창단한 NC는 가입금 30억원과 야구발전기금 20억원을 냈다. 부영은 NC와 비교했을 때 4배에 달하는 적지 않은 금액을 배팅했지만 이를 뛰어넘는 KT의 물량공세를 예상하지 못한 눈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