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사진은 실험 대상 중 가장 비싸고 보온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바나나리퍼블릭 제품. 오른쪽 사진은 가장 저렴하면서도 보온성이 좋은 스파오 제품
유명 SPA브랜드 다운점퍼의 솜털 함유율과 털이 부풀어오르는 충전도가 표시와 다르거나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외국 브랜드 제품은 국산보다 무겁고 보온 성능도 떨어지지만 값은 5배나 비쌌다.
한국소비자원은 23일 10개 SPA브랜드 15개 다운점퍼 제품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자라·망고·미쏘 등 3개 제품의 솜털 함유량이 표시된 수치보다 적고, 유니클로·자라·갭·코데즈 컴바인·포에버 21·미쏘 등 7개 제품이 털이 부풀어오르는 충전도 성능이 한국산업규격(KS) 권장기준에 미달한다고 밝혔다. 또 15개 제품 중 13개 제품이 솜털·깃털 등 제품 구분 표시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라(제품명 2268/312/800·남성용) 제품은 표시된 솜털 함유율이 30%였지만 실제 함유율은 20.8%에 불과했다. 망고(제품명 73012557·여성용)와 미쏘(제품명 MIJD24V01B·여성용) 제품도 표시된 솜털 함유율과 실제 함유율의 차이가 각각 3.6%, 2.6%였다.
조류의 털은 솜털과 깃털로 나뉘는데 솜털이 많을수록 보온성과 촉감 등이 좋다. 또 충전도는 솜털과 깃털 등 충전재가 부풀어오르는 성능을 말하며 충전도 값이 클수록 보온성과 형태 유지성 등이 좋다.
또 조사한 15개 제품 중 자라(제품명 0518/222/401·여성용)와 미쏘 제품을 제외한 13개 제품은 '솜털 제품', '솜털·깃털 혼합제품', '깃털제품' 등의 제품 구분 표시를 하지 않았다.
실험 결과 가벼운 제품군 중에서는 코데즈컴바인(제품명 BWD-JP937Z1·남성용)의 보온성이 가장 우수하면서도 가격이 7만9000원으로 저렴했다. 무거운 제품군에서는 스파오(제품명 베이직 다운점퍼·남성용)가 보온성능이 가장 뛰어나고 가격도 5만9900원으로 쌌다.
반면 바나나리퍼블릭(제품명 427348·남성용)은 스파오 제품보다 더 무겁고 보온성능도 떨어지지만 가격은 33만9000원으로 5배 이상 더 비쌌다.
김동필 소비자원 시험분석국 화학석유팀장은 "솜털 함유량, 제품 구분 표시 등에서 법규를 위반한 업체는 기술표준원에 시정명령 등의 조치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다운점퍼에 관한 품질 정보는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 홈페이지(www.smartconsumer.go.kr) 내 '비교공감'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