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도성환 사장의 리더십이 도마 위에 올랐다. 매출부진으로 인력감축과 비용절감에 나섰던 홈플러스그룹이 모회사인 영국 테스코에 지난해 700억원대의 로열티를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직원들에게 허리띠를 졸라맬 것을 요구하던 회사가 영국 본사에는 로열티를 17배나 올려줬고 이로 인해 홈플러스의 영업이익은 20% 이상 줄었다. 대체 왜 이같은 일이 벌어진 걸까.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해 영국 테스코 본사에 ‘TESCO’의 상표, 로고 및 라이센스에 대한 사용료로 총 616억1700만원을 지급했다. 계열사인 홈플러스테스코(옛 홈에버)가 120억3800만원의 로열티를 지급한 것까지 합하면 홈플러스가 영국 본사에 지급한 로열티 비용은 총 736억5500만원에 달한다.
홈플러스는 그동안 매출액의 0.03% 정도의 로열티를 지급해왔다. 약 30~40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8월, 영국 테스코와 새로운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로열티 비율을 매출액의 0.8%로 올렸다. 그 결과 로열티 지급액이 전년대비 1700% 이상 급증했다.
홈플러스 측은 본사가 로열티 비율을 올린데 대해 “다른 해외 계열사와 형평을 맞추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영국 과세당국이 다른 해외 법인에 비해 한국법인에서 받는 로열티가 너무 적다고 문제를 제기했고, 테스코가 이를 조정하는 차원에서 로열티를 올렸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홈플러스의 로열티 비율은 대형마트 사업을 하는 외국계기업 코스트코에 비해서도 높은 편이다. 코스트코는 미국 본사인 코스트코 홀세일에 매출액의 0.3%를 로열티로 지급하고 있다.
우선 로열티 인상의 배경에는 본사의 경영악화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테스코는 매출부진으로 2년 연속 이익이 줄어드는 등 실적악화로 고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일본시장에서 철수했고, 중국에서도 독자진출을 접고 합작사를 설립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발을 빼고 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홈플러스에 대한 테스코의 관계 변화에 주목해야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과거 이승한 회장이 홈플러스를 이끌 때만 해도 홈플러스는 본사인 테스코에 되레 큰소리치던 입장이었다. 테스코 계열사 임원들이 홈플러스의 평생교육스쿨을 벤치마킹하러 국내에 직접 들어오는가 하면, 테스코 본사가 홈플러스의 영업방식이나 점포 형태를 배워간 일화는 유명하다. 다른 해외법인과 달리 상호 앞에 ‘테스코’를 붙이지 않은 것은 국내 홈플러스가 유일했다.
하지만 이런 관계는 지난해 도성환 사장이 취임하면서부터 변하기 시작했다. 거액의 라이선스 비용이 도성환 사장 체제에서 발생했다는 것은 홈플러스에 대한 테스코의 입장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홈플러스를 테스코의 한국지사 정도로 여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있다. 이는 결국 도성환 사장의 리더십과 연결짓지 않을 수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도성환 사장은 최근 회사를 둘러싼 잇단 악재로 체면을 구기고 있다. 연이은 실적악화에 이어 얼마전 발표한 동반성장 평가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본사 로열티 폭탄까지 맞았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이승한 회장과 비교까지 되고 있다. 과연 도성환 사장이 상처받은 리더십을 어떻게 회복할 지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