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국내 아웃도어 업체들의 판매가 구조와 재무제표 분석한 결과 외국과 비교해 약 60% 비씨다는 의견을 내놨다. 물가감시센터는 국내 대표 4대 아웃도어 업체에 대한 재무제표 분석 결과, 최근 5년간 매출액의 연평균 증가율은 25.1%에 달하고 영업이익률은 20% 내외로 섬유·의복제조업의 평균영업이익률인 3.1%보다 6.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2의 경우 2012년 영업이익률이 무려 30.1%에 달하고 최근 5년간 20% 이상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웃도어 업체들의 광고선전비도 매출 대비 4.9%로 기타 제조업과 비교해 약 7.5배, 섬유·의복업 평균에 비해선 12.6배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매출액 대비 광고와 판촉비 비중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7.3% 증가한 반면 동일기간 매출원가 비중은 3.6% 감소해 제조사들이 제품의 품질보다는 광고선전에 더욱 치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외국과 비교해 평균 40% 비싸
동일한 아웃도어 제품에 대해 해외시장과 국내시장의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국내가격이 외국가격보다 평균 40% 이상 비싼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해외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인 아크테릭스와 마무트의 경우 해외가격과 국내가격이 평균 60%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에 대한 과도한 프리미엄, 유통 수수료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해 제조사가 원가 대비 높은 판매가를 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동일한 제품 간에도 유통경로별로 가격 차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5대 브랜드 일부제품에 대한 조사 결과, 백화점 판매가와 인터넷 쇼핑몰(최저가) 가격 차이가 평균 16.9%로 나타났고 특히 블랙야크의 경우 백화점 가격과 인터넷 쇼핑몰 가격이 평균 27.4%나 차이가 났다. 공정위에서 발표한 백화점 평균수수료율이 28.5%임을 감안한다면 제조사는 유통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유통업체인 백화점 판매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반영하여 제품가격을 책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유통업체의 높은 유통마진이 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소비자가격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등산화, 수입원가보다 유통수수료, 수입판매사 이익이 더 높아
관세청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수입등산화의 수입가격이 최고 370,202원, 최저 6,838원이며, 이들은 수입가격의 평균 4.4배에 판매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중 평균치와 가장 근접한 3분위군을 기준으로 수입등산화의 판매구조를 분석한 결과 백화점 등에서 239,500원에 판매되는 제품의 경우 매출원가에 해당하는 수입원가는 57,055원(23.8%)으로 유통수수료(28.5%) 및 수입업체의 이익(29.3%)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체 이익은 아웃도어 열풍에 따른 가격거품과 외국 브랜드라는 근거 없는 프리미엄이, 유통마진의 경우 기존 시장에 형성되어 있는 업종별 높은 수수료 체계가 결국 수입원가 대비 4배가 넘는 소비자가격으로 귀결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아웃도어 업체들은 여타 제조업 산업군에 비해 매우 높은 영업이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제품의 품질과는 상관없는 각종 프리미엄에 따른 높은 소비자 가격 책정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업체들은 제품의 품질과 기능보다는 유명모델을 앞세워 브랜드의 프리미엄을 높임으로써 손쉽게 수익을 창출하는데 치중하기보다는 우리나라의 아웃도어 환경에 적합한 사양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는 데 더욱 기업의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정부는 소비자물가를 잡고 제조업체의 기업환경을 개선하길 원한다면 과도한 유통마진을 근절하기 위한 적극적 대책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며 한편으로 “소비자들은 고기능성의 값비싼 신제품을 구입하기보다는 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꼭 필요한 제품인지 꼼꼼히 따져볼 것”을 권고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앞으로도 아웃도어 제품의 높은 가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이 작동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