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m 3cm의 키다리 아저씨. 한국인이 아닌 파란 눈의 이방인이다. 그런데 실력과 인성이 모두 뛰어나다. 그가 한국 무대에서 롱런하는 비결이다. 오죽하면 '니느님'이라는 애칭까지 얻었다.
두산 니퍼트(35)는 "더 이상 나를 '외국인 선수'라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 선수'라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니퍼트는 지난달 120만 달러(약 14억5000만원)에 2016시즌 계약을 체결, 한국에서만 6년째 뛰게 됐다. 이제 자신의 말처럼 '반한국인'이다. 니퍼트는 지난 5년간 에이스로 활약, 통산 58승 32패 평균자책점 3.47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정규시즌에선 잔부상으로 6승에 그쳤으나, 포스트시즌에서 3승(5경기) 평균자책점 0.56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두산을 14년 만의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단순히 실력을 떠나 인성까지 돋보인다. 팀 야수진이 모두 들어올 때까지 더그아웃 앞에서 기다려 격려한다. 시즌 도중에도 자비로 불우이웃을 잠실구장으로 초청하는 등 사회공헌활동에 앞장섰다.
지난 2일 호주 시드니 블랙타운 인터내셔널 스포츠파크에서 니퍼트를 만나 인터뷰했다. 결혼에 대한 이야기는 '노코멘트'를 원했다. 인터뷰 후 니퍼트는 설날을 앞두고 전통놀이인 '제기차기'에 도전했다.
▶제기차기
며칠 뒤면 설 연휴가 시작된다. 스스로 "한국 선수와 마찬가지로 생각한다"고 밝힌 니퍼트를 위해 한국에서 직접 '제기'를 들고 갔다.
그에게 '한국의 전통놀이 도구다'고 소개하자 니퍼트는 "그렇냐. 처음 본다"고 호기심을 드러냈다. 두산은 매년 해외 전지훈련 중 설 연휴가 되면 선수단이 간단한 차례를 지내고, 윷놀이 이벤트를 진행하곤 한다. 한국 문화에 익숙한 니퍼트에게도 제기는 처음 보는 민속놀이 도구였다.
옆에 있던 유희관이 먼저 제기차기를 시도, 20개 가량 손쉽게 찼다. 곁에서 지켜본 니퍼트도 신기한 듯이 유심히 지켜봤다.
그리곤 유희관에게 "발목, 괜찮아"라며 한국말로 얘기했고, 식당은 웃음바다가 됐다.
니퍼트도 직접 제기차기에 도전했다. 폼이 영 어설펐다.
그는 처음에는 발등으로 제기를 찼다. 쉽지 않았다. 몇 차례 시도했지만 기껏해야 2개 정도 성공했다. 이에 기자가 '축구 트래핑을 하듯 발등이 아닌 발 안쪽으로 시도하라'고 조언하자, 니퍼트는 "난 축구를 해본 적도 없다. 바보 같은 모습이 나올 것 같다"고 멋쩍은 웃음을 지었다.
[ 니느님, 니퍼트의 제기차기 모습. 어설픈 모습이 웃음을 자아냈다. ] 그럼에도 5~6차례 제기차기를 시도하며 한국 문화에 적응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니퍼트의 제기차기 모습을 구경한 동료들은 웃음을 지으며 응원했다.
▶제2의 고향, 한국
-니퍼트에게 한국이란?
"한국이란는 곳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굉장한 일을 가능케 해준 곳이다. 메이저리그에서도 좋은 성적을 올렸지만 한국에 와서 내 인생이 바뀌었다. 오히려 몇년 전보다 더 발전된 모습이다."
-한국에서 선행에도 앞장서고 있다.
"여기 와서 정말 많은 것을 얻었다. 지금도 계속 노력 중이지만 한국에 되돌려 줄 수 있는 건 최대한 많이 갚으려고 한다"
-한국어 구사 실력이 상당하다(그는 경기 시작 1시간 전 공식 라인업이 발표되기 전에 두산 및 상대팀 출전 선수를 확인할 정도다.)
"동료들이랑 있을 때 가끔씩 한국어로 얘기한다. 말 하는 것 보다 알아듣는 게 좀 더 수월하다. 낯선 사람보다 안면 있는 사람, 빨리 말하는 것보다 천천히 얘기하면 더 낫더라."
-한국에서의 취미 생활은.
"특별히 없다. 프로 선수로서 휴식도 일의 연속인 만큼 쉬는 날은 충분히 휴식한다. 특별히 어딘가를 찾아가곤 하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