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고산자, 대동여지도'는 강우석 감독의 스무번째 작품이다. 강우석 감독은 박범신 작가의 원작 '고산자'를 접한 뒤 알 수 없는 끌림을 느꼈지만, 처음엔 책을 덮고 수 개월 간 그 끌림을 애써 외면했다. 하지만 영화로 만들지 않으면 평생 후회할 것 같다는 생각에 결국 스무번째 영화이자 자신의 첫 사극으로 고산자 김정호 이야기를 영화화했다. 외면하고도 싶었고, 작업하는 내내 사랑니를 뽑은 것처럼 고통스럽기까지 했다는 강우석. 영화가 완성되기 전까지 마음 고생은 많았지만, 그 어떤 작품 보다 만족도가 크다. "대단히 만족스럽습니다. 촬영하고 제작 준비를 하면서 어려운 결정을 할 순간이 많았는데, 지나고보니 그 결정을 하길 잘한 것 같아요. 지금껏 만든 영화 중 제일 만족스럽습니다." 7일 같은날 동시 개봉한 '밀정'에 비해 오프닝 스코어도 많이 뒤처지고 예매율도 저조한 상황. 박스오피스 1위인 '밀정'에 비해 스타트는 부진하지만 흥행에 대한 자신감은 있다. "추석용, 가족용으로 만든 영화예요. 스타트는 부족해보이지만, 일반 시사회에서 체감한 관객 반응을 살펴보면 흥행이 아주 안 될 것 같진 않아요. 또 단순히 '밀정'을 이기고 지고가 중요한 건 아니에요. 많은 관객들이 봐주시고, 공감해주길 바랄 뿐이죠."
-흥선대원군 역의 유준상은 어떻게 섭외했나. "준상이가 먼저 스무번째 내 영화는 무조건 해야겠다고 하더라. 예전부터 그 말을 했는데 그 때는 돈 안 받고 하겠다고 했는데 이번에 할 때 (돈을) 받아갔다.(웃음) 다른 배우가 흥선대원군을 했다면 TV 사극에서 그동안 많이 다뤄진 흥선대원군처럼 보였을 거다. 그런데 준상이가 하면 그동안 보지 못 했던 흥선대원군이 탄생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흥선이 코미디를 하는 건 한 번도 본 적 없지 않나. 하지만 리더십이 있는 위인이나 사람들은 사실 대부분 유머가 있다. 예전에 지도자가 되려면 유머가 좀 있어야되는구나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 그래서 캐릭터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적당한 유머를 넣고 싶었다. 그걸 준상이가 하면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김인권이 연기한 바우 역에 거론된 아이돌가수들이 있었다던데. "자꾸 주변에서 아이돌을 추천하더라. 그래서 내가 '도대체 왜 그러냐'라고 한 소리 했다. 배우가 되고 싶은 아이돌이 이 말을 들으면 실망할 수도 있고, 내가 너무 올드해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음악을 딱 끊고 연기만 하겠다고 하는 게 아니라면 아이돌 가수 캐스팅은 반대다. 아이돌에게 연기를 하지 말라고 하는 말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한 가지에 집중하는 사람을 더 선호한다는 의미다. 카메오 정도면 모르겠지만, 한 작품의 축을 이루는 캐릭터를 (음악과 연기를 병행하는) 아이돌에게 맡기는 건 개인적으로 별로다."
-스무번째 영화 '고산자, 대동여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정도인가. "점수로 말하긴 좀 그렇지만, 대단히 만족스럽다. '실미도'때나 '공공의 적' 때 했던 고생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고산자, 대동여지도'를 하면서 마음 고생이 많았다. 이번 영화를 하면서 많은 결정을 해야했고, 고생을 많이 했는데 그 고통이 너무 아파서 사랑니 뽑는 것 같다는 표현을 주변 사람들에게 했을 정도다. 하지만 지나고보니 그 결정을 하길 다 잘한 것 같다. '고산자, 대동여지도'는 지금까지 했던 영화 중 가장 만족스럽다." 김연지 기자 kim.yeonji@joins.com 사진=박세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