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이 작아도 감독에 대한 믿음이 더 컸다. 난 치는 법을 배우기 위해 몇 개월을 서울과 경주를 오가며 '배움'에 임했다. 그리고 그것을 즐겼다. 이쯤되면 공부를 하기 위해 그 핑계로 작품과 캐릭터를 선택한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다.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배우 유준상(48)의 강점이자 능력이다.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랄 정도로 '죽어라 일하는' 유준상은 스스로 "육아에도 재능이 있는 것 같다"며 미소 지었다. 배우로서 뮤지컬, 드라마, 영화 등 장르를 막론하고 종횡무진하는 것은 물론 100점짜리 아빠가 되기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한다.
언제 봐도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비주얼과 입담이 매력적인 유준상이 강우석 감독의 스무번째 작품 영화 '고산자, 대동여지도'(강우석 감독)의 흥선대원군을 통해 스크린에 돌아왔다.
※인터뷰 ①에서 이어집니다.
-무게감이 남달랐다. 왕 역할도 잘 어울릴 것 같더라.
"그 동안 왕 역할은 많이 들어왔는데 못 했다. 흥선대원군을 연기하면서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했다. 수염이 꽤 잘 어울리더라.
-강우석 감독과는 세 번째 호흡을 맞췄다. 달라진 점이 있던가.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지지 않아서 강우석 감독님인 것 같다. 변하지 않는 그 모습들이 존경스럽다. 닮고 싶은 부분들도 여전히 존재한다. 언제나 최선을 다 하신다. 감독님 현장에 가면 '아, 우리가 살아있구나' 싶다. 그게 감독님께서 롱런 하시는 비결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한다. 그래서 '고산자, 대동여지도'가 더 잘됐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어떤 스타일의 감독이길래?
"배우의 생각을 누구보다 명확하게 캐치한다. '어떻게 내 생각과 이렇게 잘 맞아 떨어질 수가 있지'라는 느낌을 여러 번 받았다. 배우는 이야기를 잘 전달해야 하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내가 배우를 하는 목적도 그렇다. 무대에서도 드라마, 영화에서도 이야기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디테일에 신경을 많이 쓴다. 감독님은 배우가 캐릭터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그대로 카메라에 담아 주신다."
-배우로서는 굉장한 고마움을 느끼겠다.
"'고맙다. 감사하다'는 말로는 표현하지 못할 무언가가 있다. 그래서 아쉬운 반응도 많다. 난 감독님과 오래 작품을 해왔기 때문에 감독님을 잘 알지만 일반 대중들은 감독님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는 것이다. 재미있으니까, 눈에 띄니까 선입견도 생기는 것인데 그걸 잘 모르는 분들이 있는 것 같더라."
-작품에 대한 평가와 흥행 결과가 좋지 않아서 일까?
"결과만 좋으면 나머지 것들은 다 사라지는 것 같다. 결과 말고는 아무것도 중요하지 않는 분위기로 흘러가는 점이 솔직히 아쉽다. 감독님을 지켜보면 삶의 태도나 작품을 만드는 자세들이 대단하게 겸손하면서 누군가는 만들어야 하는 이야기를 만들어 보려 노력하신다. 사실 이전 작품들이 크게 잘 안 된 것도 아니었다. 감독님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에 다소 못 미쳤다는 것을 크게 부풀려 얘기하는 경향이 있지 않나 싶다."
-그래서 스무번째 작품을 꼭 함께 하고 싶었던 것인가.
"말로는 '스무번째 작품, 스무번째 작품'이라 거창하게 표현하긴 하지만 감독님은 영화에 당신의 인생을 담아내는 일관된 마음으로 임하셨다는 것을 안다. 그렇게 만들어진 스무번째 작품이 누군가에게는 밋밋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감독님이 담으려 했던 이야기와 노력은 관객 분들이 받아 주셨으면 좋겠다."
-'고산자, 대동여지도'가 유준상에게는 어떤 의미로 남을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작품. 우리 아이들에게 '대한민국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아?'라고 물어보면 잘 모른다. 이런 것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기회와 계기가 되는 영화가 '고산자, 대동여지도'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나에게도 소중하다. 연기를 잘 해내고 이런 것을 떠나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안고 가는 것이 얼만큼 중요한지 새삼 깨달았다. 배우라고 연기에만 미쳐 사는 것은 아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