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게임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추가 경정 예산 106억원을 투입한다고 28일 밝혔다.
문체부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온라인·모바일 게임 제작에 56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해외 진출 가능성이 높은 콘텐트 제작 지원을 위한 ‘글로벌 분야’와 창업 3년 미만 기업이 대상인 ‘스타트업 분야’로 구분해 지원한다. 특히 스타트업 분야는 대부분의 정부지원 사업에 적용되고 있는 기업 자부담 비율 50%를 30%로 완화한다.
미래 먹거리인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된 융·복합 게임콘텐트 제작 지원에는 32억8000만원을 투입한다. 특히 게임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선정된 모든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사업비의 최대 70%까지 지원한다.
교육·의료·스포츠·국방 등 타 분야 산업과 결합돼 게임의 가치를 확장하는 기능성 게임 제작 지원에도 4억4000만원을 투입해 자유공모 과제로 총 3개 내외 프로젝트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아케이드게임 제작 지원에도 2억6000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문체부는 게임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강화하기 위해 국산게임의 현지화에 대한 종합(원스톱) 서비스를 10개 내외의 게임 중소기업에 지원할 예정이다. 원스톱 서비스는 게임테스트(QA)와 해외 출시 후 게임서비스(CS), 고객관리 운영(GM)을 포함한 마케팅·홍보, 언어번역 등이다.
콘진원은 지원 사업 분야별로 오는 11월 7일까지 지원금 신청을 접수할 계획이다.오는 10월 17일에는 서울 중구의 문화창조융합벨트에서 사업 설명회가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