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덕(55) 감독이 변했다. 세상을 삐딱하게 바라보던 사나운 눈빛이 유해졌고 또 유연해졌다. "증오해서 뭐하나요. 사람 미워하는 이야기는 하고 싶지 않네요"라며 껄껄 미소짓는 표정이 곧 김기덕 감독의 변화를 말해준다.
작품 분위기도 달라졌다. 신작 '그물'은 김기덕 감독의 이름을 달고 15세 관람가 등급을 받았다. 류승완 감독의 추천을 받아 두문불출 해외 체류중인 류승범을 주인공으로 낙점, 남북한의 이념 대립을 소재로 저예산 영화를 최대한 상업적으로 풀어냈다.
준비 중이었던 400억대 한중합작 영화 '무신'은 여러 이유로 물건너 갔다. 하지만 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궁무진하고 김기덕 감독은 여전히 건재하다. 삶의 밑바닥부터 수면 위의 모습까지 무엇이든 '영화로 말하는' 김기덕 감독의 행보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인터뷰 ②에서 이어집니다.
-엔딩은 한 번도 바뀌지 않은 스토리인가?
"철우(류승범)에게는 그것밖에 없지 않을까. 가혹하다. 어부의 소박한 삶을 살고 싶어하는 것을 확인했음에도 감시 대상이 된다.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고통스럽다. 국가는 한 개인의 삶을 빼앗았다. 그것이 얼마나 절망적인지 그들은 모른다. 또 철우는 마지막 저항을 하지만 그것이 저항인지 본인도 모를 것이다. 아이러니하고 씁쓸하다."
-중국 비자발급 무산은 씁쓸하지 않나.
"그건 딱히 어떤 이유 때문이라 말하기 애매하다. 무엇 때문이라고 말하면 안 되는 상황이기도 하고. 지난 1년간 개인적으로 열심히 준비했지만 결과는 이렇게 됐다. 비단 비자 문제 때문만은 아니다. 여러 상황들이 얽혔다. 중국 측으로부터 작업을 중단해야 할 것 같다는 답변을 받았다."
-400억 대작 한중합작영화 아니었나. 제작 자체가 보류된 것인가?
"보류라면 보류일 수도 있다. 난 그 이야기를 꼭 영화화 시키고 싶으니까. 하지만 애초 파트너십을 맺었던 회사와는 결별했다. 다른 투자자가 없지는 않는데 기본적으로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니라면 계약을 체결하지 않을 것이다."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이 무엇인가?
"중국은 돈을 쥐고 있는 사람이 최고다. 한국은 투자자 제작자가 따로 있어도 감독 고유 권한을 인정해 주고 창작자를 존중해 주지 않나. 중국은 아니다. 주연 배우, 메인 스태프들까지 다 본인들이 캐스팅을 하겠다고 한다. 내가 할 일은 없다. 개런티 받고 현장에 가만히 앉아서 'OK'. 'NG' 사인만 말하면 된다."
-김기덕 감독 스타일이 절대 아니라는 것은 알겠다.
"그런 환경은 생각도 못해봤고 당연히 습관처럼 들지도 않았다. 좀 더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덧붙이자면 내가 이번 사태로 인해 '중국에 다신 안 간다'는 말을 했다는데 명백한 오보다. 나는 '안 간다'가 아니라 '가고 싶어도 못 간다'고 했다. 한 글자지만 엄청난 차이가 있다. 해명 기사가 뜨기도 했지만 꼭 다시 바로잡고 싶다."
-미국 측 자본인데도 중국 측 마음대로인가?
"명확하게 따지면 미국에서 돈을 주는 것은 아니다. '반지의제왕' CG팀 등 기술자들이 들어오면서 미국과도 합작 형태가 된 것이지 미국의 어떤 회사도 중국에 돈을 넣지는 않는다. 오히려 중국이 미국에 돈을 쏟아붓지. 그 돈으로 기술력을 갖고 온다."
-얽힌 여러 상황들에 대해 말해줄 수 있나.
"나에 대한 신뢰?(웃음) 내가 중국 미술학교 교수로도 초빙이 되서 비자를 몇 번 내려고 대사관에 찾아갔더니 그들은 이미 '김기덕'이라는 사람에 대해 나보다 더 많이 알고 있었다. '지금 뭘 준비하고 있죠? 뭘 찍죠?'라는 질문이 바로바로 왔고 내가 한국에서 어떤 영화를 찍는 감독인지는 당연히 파악이 된 상황이었다.
한국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다. 내가 찍는 영화를 정부가 싫어해도 할 말이 없다. 이런 성향까지 중국 측은 신경쓰고 있었다. '김기덕이 중국에 와서 영화를 찍는다고 하면, 중국 정부에 반하는 영화도 찍을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지 않나.
또 나에게 비자를 안 내준다기 보다 나와 파트너십을 맺은 회사가 비자를 발급 받을 수 없는 회사더라. 상공회의소에서 신뢰하는 회사로만 비자를 발급해 주는데 그 사이 약간의 문제가 있었다.
중국은 민족·종교·안보·정치·폭력·섹스 등 내용이 작품에 포함되면 안 된다. 인민들의 정신 건강에 좋지 않다며 막는다. '무신'은 시나리오를 고쳐 심의에서 통과됐지만 내용은 촬영할 때 충분히 달라질 수 있는 부분 아닌가. 몇 백억을 들이고 상영 허가를 못 받으면 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워킹비자를 받지 않고 영화를 찍었을 경우, 그 책임은 그대로 나에게 적용된다. 내가 피해 보상을 하고 책임을 져야 하는 부분이 굉장히 컸다. 계약조항에 적시돼 있었다. 그런 것도 큰 부담이 됐다. 그래서 한 발 물러서기로 했다."
-다시 말하지만 너그러워지고 여유로워졌다.
"하하. 극단적 비유는 할 수 있겠지만 내가 봤을 때 난 항상 부드럽게 말했다. 지금처럼. 모자와 선글라스는 '100분 토론' 때 한 두번 썼을 뿐이다.(웃음) 물론 나이가 드니까 유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다짐하긴 한다.
인간을 미워하는 이야기는 더 이상 하고 싶지 않다. 과거 상처를 많이 받았고 증오하기도 했지만 생각이 바뀌었다. 그런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더라. 원론적인 '인간'을 이해하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왜 인간은 이렇게 살고 있고 이런 생명체가 됐는지. 그러한 것들을 나만의 언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다."
-언제쯤 김기덕표 밝은 영화를 볼 수 있을까?
"빛과 어둠은 늘 함께 존재한다. 그래서 동시에 상상하게 된다. 아주 밝기만 한 드라마를 쓸 수는 없을 것 같다. 현실이 그렇지 못하니까. '그물'은 그래도 희망을 얘기하고 있지 않나? 많이들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대해 이야기 하는데 '봄 여름 가을 겨울'은 내 기준 가장 잔인한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