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지난달 30일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이하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제주해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에 공식 등재됐다고 1일 밝혔다.
지난 2014년 3월 제주 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신청을 한 지 2년8개월 만이다.
무형유산위원회는 제주 해녀문화가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상징한다는 점과 자연친화적인 방법으로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한다는 점, 관련 지식과 기술이 공동체를 거쳐 전승된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앞서 지난 10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전문가 심사기구는 제주 해녀문화가 무형유산 심사기준 5개를 모두 충족한다고 결정하고 '등재권고' 판정을 내리기도 했다.
제주 해녀문화는 일본의 '아마'와 경쟁했다. 일본은 아마가 해녀의 원조라고 주장하며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일본은 신청서 제출 마감일인 지난해 3월 31일까지 등재 신청을 하지 않으면서 제주 해녀문화가 유일하게 등재됐다. 제주 해녀문화까지 합쳐 현재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록된 국내 문화유산은 총 19개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국내 무형문화재는 종묘제례 및 종료제례악·판소리·강릉단오제·남사당놀이·강강술래·영산재·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처용무 등이다.
제주도는 앞으로 다양한 연구조사 사업과 해녀학교에 대한 체계적 지원, 해녀에 대한 생업지원확대와 국가문화재 등재, 제주 해녀어업의 세계 중요 농업 유산 등재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제주 해녀가 지닌 상징성과 자연친화적 방식·생태계·공동체 문화 등은 우리가 지키고 보존해야 할 중요한 문화유산"이라며 "유네스코 등재를 계기로 해녀 문화의 체계적인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오는 1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주 해녀문화 유네스코 등재 기념 행사'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