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윤석(48)이 노선을 살짝 바꿨다. 100억대 대작, 스케일 큰 작품을 선호하는 배우들과 달리 중년미(美)를 고스란히 드러낼 수 있는 감성 영화로 스크린 문을 두드린다.
'완득이' '쎄시봉'에 이어 선택한 '당신, 거기 있어 줄래요'는 김윤석의 차진 생활 연기와 더 깊어진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상위 1%' 충무로 흥행보증수표인 만큼 이젠 '하고싶은 작품'을 마음껏 택한다. "자장면만 먹을 수 있나. 육개장도 한 번 먹어주고 그래야지"
강동원·유아인·여진구에 이어 이번엔 변요한이다. 남자 후배와 함께 하면 백전백승 흥행 성공. 실제 딸바보의 면모를 영화에도 녹여내며 메소드 연기까지 펼쳤다. 흥행보다 작품성으로 승부를 보고 싶다는 김윤석의 바람은 이미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 한번쯤 돌아가고 싶은 과거가 있다면
"생각을 해보려다가도 되도 않는 이야기라는 생각에 포기했다. 아주 솔직히 말하면 다시 태어나고 싶지가 않다. 이번 삶에 충분히 만족하고 이쯤하면 됐다 싶다."
- 특별한 이유가 있나.
" 힘들다. 어차피 삶이 있으면 죽음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그 과정을 다시 겪기 싫다.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내기도 싫고. 굳이 반복해야 하나 싶은 마음이 있다."
- 만약 미래의 자신이 와서 내 인생을 바꾸려 한다고 가정했을 때. 절대로 안 변했으면 하는 것이 있나.
"당연히 내 아내와 딸들이지. 가족 만큼은 건드릴 수 없다."
- 실제 딸바보로 유명하다.
"딸바보가 가장 편하다. 두 딸이 지금 중학교 2학년, 초등학교 5학년인데 사춘기가 되면 어떤 집은 대화가 단절된다고 하더라. 그런 이야기를 하도 많이 들어서 '절대 같은 일은 겪지 않으리라' 다짐했다. 내가 봤을 때 우리 딸은 중2병도 없고 평소 가족여행도 자주 다녀서 그런지 아빠와 친하다."
- 영화에서 딸과 밥을 먹는 신은 여러 복합적인 감정이 들더라.
"된장국 끓여주면서 '밥먹자~' 말하는 연기는 진짜 식은 죽 먹기였다. 어려움이 전혀 없었다. 너무 쉬웠다. 다만 스토리상 감정적으로는 힘들 수 밖에 없었다. 미안한 마음이 크게 다가오더라."
- 마지막 신도 인상 깊었다.
"영화에서 박혜수 양이 내 딸로 나왔는데 혜수 양과 함께 하는 장면은 모두 좋았다. 낚시터 신 같은 경우는 촬영 때도 좀 남달랐다. 혜수 양이 아직 신인인데 그 때 감정이입이 잘 됐는지 즉흥적으로 나아게 다가와 '아빠'라고 부르더라. 속에서 뭔가 올라왔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몸이 움직인 것이다. 대견했다."
- 대박 흥행의 맛을 본지 꽤 됐다.
"왜? 검은사제들도 있었는데.(웃음) 1000만을 말하는 것이라면 때마다 시류와 분위기가 있다. 1000만 하자고 영화 찍는 것도 아니고. 거짓말이 아니라 흥행 보다는 작품성으로 호평받고 싶다. '황해'처럼 뭘하든 따라다니고 내가 사라져도 끝까지 살아남을 것 같은 작품이 좋다."
- 김윤석에게도 '황해'가 그러한 작품인가.
"개인적으로는 '완득이'에 대한 애정이 가장 크다. 그 여운과 감정이 오래 남아있다."
- 기욤 뮈소를 비롯해 방콕 배우까지 해외에서 알아보는 배우가 됐다.
"'추격자' '황해'가 프랑스에 수입이 되면서 조금 알려진 것 같기는 하다. 기욤 뮈소는 '추격자'를 봤다고 했다. 해외에 나갔다가 시내가 아닌 외곽 시골 마을에서 DVD 라운지에 들어간 적이 있다. 거긴 작품 분류를 별표로 해 놓더라. '추격자'가 별 4개 칸에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곧바로 사진을 찍어 나홍진 감독에게 '영광이다'는 메시지와 함께 보냈다. 답? '힝~' 그러더라. 하하."
- 이번 작품을 보면 어쩔 수 없이 세월호 사건을 떠오르게 만든다. 직접 언급하기도 했고.
"한 동안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초점이 맞춰질 수 밖에 없는 사건 같다. 너무 마음 아팠고 돌릴 수만 있다면 시간을 되돌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