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금융그룹은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1조345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47.9%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2년 이후 높은 연간 실적으로 지난해 구 외환과 구 하나의 전산통합 이후 시너지 효과가 본격적으로 발휘되면서 거둔 성과다.
4분기에는 준정년 특별퇴직 등 일회성 퇴직급여 2310억원 및 환율 상승에 따른 비화폐성 환산손실 1417억원 등 3727억원의 일회성 비용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하나금융그룹의 지난해 자본적정성과 자산건전성도 전년보다 개선됐다.
지난해 말 BIS비율 추정치는 14.26%로 지난해 말 13.31%보다 95bp 상승했고, 보통주 자본비율 추정치는 대출자산 포트폴리오 조정 및 내부등급법 적용 등 위험가중자산의 감축 노력으로 전년 말 9.79% 보다 194bp 상승한 11.73%를 기록했다.
4분기말 고정이하 여신비율(NPL비율)은 0.92%, 연체율은 0.50%로 전년말 대비 각각 35bp, 18bp, 전분기 대비로는 각각 19bp, 7bp 개선됐다.
이자이익은 4분기 순이자마진(NIM)의 안정적인 방어와 대출 포트폴리오 질적 개선, 핵심저금리성예금 증대로 전년말 대비 2.3% 증가한 4조6420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NIM은 전분기와 동일한 1.8%를 유지했다.
특히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4분기 당기순이익 1263억원을 기록하며 연간 당기순이익 1조3872억원을 시현했다.
지난해 말 하나은행의 BIS비율 추정치는 16.79%로 지난해 말 14.65%보다 214bp 늘었고 보통주자본비율 추정치는 지난해 말 11.37%보다 253bp 증가한 13.90%를 기록했다.
비은행 관계사인 하나카드는 통합에 따른 비용절감 시너지 효과 및 가맹점 수수료 인하에도 불구하고 신용판매가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647.0% 증가한 756억원의 연간 당기순이익을 보였다.
하나금융투자는 지난해 시장 전반적으로 주식거래대금이 감소하며 증권중개수수료 등이 감소한 영향으로 전년 대비 33.3% 감소한 866억원의 연간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이어 하나캐피탈의 당기순이익은 806억원, 하나생명은 168억원, 하나저축은행은 154억원을 기록했다.
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