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서울 인터컨티넨탈 파르나르 호텔에서는 영화 '공각기동대: 고스트 인더쉘' 공식 내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 날 행사에는 루퍼트 샌더스 감독과 스칼렛 요한슨·줄리엣 비노쉬·필로우 애스백이 참석, 한국에서 개봉하는 소감과 함께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명작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의 실사 영화 '공각기동대: 고스트 인 더 쉘'은 엘리트 특수부대를 이끄는 리더 메이저(스칼렛 요한슨)가 세계를 위협하는 테러 조직을 쫓던 중 잊었던 자신의 과거와 존재에 대해 의심을 품게 된 후 펼치는 활약을 담은 SF 액션 블록버스터다.
'한순이 언니'라는 애칭이 있을 만큼 국내에 수 많은 팬들을 보유 중인 스칼렛 요한슨은 생애 처음으로 한국에 방문, 역대급 취재 열기를 이끌었다.
스칼렛 요한슨은 "처음으로 한국에 방문하게 됐다. 늘 오고 싶었다. 기쁘고 기대가 많다. 너무나 큰 자부심을 느끼는 작품으로 오게 돼 더 기쁘다. 훌륭한 여정이었다고 생각한다. 최종적으로 보여드릴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여러 분들도 우리 만큼이나 '공각기동대'에 관심 가져 주시길 바란다"고 방문 소감을 남겼다. 스칼렛 요한슨은 기자회견 내내 영화와 캐릭터에 대한 애정을 표했다. 어렵고 힘들었고 이해할 수 없었지만 그로 인해 발전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스스로 느끼면서 촬영에 임했다는 후문이다.
스칼렛 요한슨은 "언어라는 것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긴 하지만 눈빛을 영혼에 대한 창문이라고 많이 말하지 않나. 가끔은 눈빛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의식적으로 연기를 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작품을 만들면 만들수록, 연기를 해 보면 해 볼 수록 불필요한 노이즈 적인 것은 떼어내는 방법이 생기는 것 같다. 의도를 잡아낼 수만 있다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결국 연기는 효율성을 필요로 한다. 그런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는 것을 배우게 되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자신이 연기한 '메이저' 캐릭터 매력에 대해서는 "사실 즉각적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이 프로젝트에 어떻게 생명을 불어 넣을지 고민이 많았다"며 "무엇보다 기존 애니메이션에서 벗어나 어떻게 실사로 갈 것인지에 대해 처음에는 잘 이해를 못 했다"고 토로했다.
스칼렛 요한슨은 이번 영화에서 어떠한 순간에도 흔들리지 않는 카리스마와 완벽한 신체적 능력을 가진 엘리트 특수부대 섹션9을 이끄는 리더 메이저 역으로 걸크러시 매력을 선보인다..
그는 "애니메이션은 시 적인 부분도 있고 속도가 떨어지는 부분도 있었다. 실존주의적인 질문도 던지는 것 같더라. 때문에 실질적인 딜레마를 파악하기 쉽지 않았다. 그 부분에 대해 많이 생각했다"며 "메이저는 정체성에 대해 투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나의 모습, 과거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낀다. 영화 속에서도 고스트 내지는 영혼으로 불려지기도 하는데 그것을 알아내고자 하는 노력을 같이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어려웠던 만큼 연기도 녹록치 않았다. 스칼렛 요한슨은 "5개월 이상 불편한 상태에 있었다. 이 인물이 배신을 당하고 버림을 받는 등 굉장히 어려운 상황을 경험한다. 뇌에 대한 의구심을 갖고 있고, 생각하는 사고 방식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갖는다. 이런 것들을 소화하고 담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탐구하고 또 하면서 점점 현실화 시켰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날 기자회견에서 스칼렛 요한슨은 영화 질문보다 정치적인 질문을 더 많이 받아야 했다. 평소 페미니즘에 목소리를 높이고, 정치색깔을 가감없이 드러내는 배우인 만큼 할 수 없는 질문은 아니었지만 일부 기자들이 비슷한 질문을 여러 번 반복하면서 현장 공기를 다소 불편하게 만들었다.
스칼렛 요한슨 역시 다소 예민하고 민감한 만큼 질문에 대해 특별한 답을 하지 않으려 했다.
첫 번째 질문은 "미국도 트럼프 대통령 때문에 문제가 많은 것으로 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 대통령이 탄핵 됐는데 알고 계시는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다"는 것이었다.
"저까지 한국 정치적 문제로 끌고 들어가시는군요"라며 미소지은 스칼렛 요한슨은 "한국 대통령 탄핵은 나도 뉴스에서 들었다. 미국 상황을 봐도 복잡한 상황인 것 같다"며 "하지만 내가 일부러 좀 한국 정계에 관련되서는 말씀 드리지 않아야 할 것 같다. 트럼프에 대해서는 나도 할 말이 많지만"이라고 말을 아꼈다.다만 스칼렛 요한슨은 이어진 "투명 수트를 입는다면 무엇을 하고 싶냐"는 질문에 "청와대에 들어가고 싶다. 모든 것을 알아낸 다음에 다시 여러 분들에게 답변을 해 드리고 싶다"는 센스 넘치는 입담으로 답변을 대신했다. "반응이 별로네요. 별로 였나요?"라고 되물어 다시 훈훈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문제는 '트럼프'라는 이름이 또 나왔다는 것. 스칼렛 요한슨은 결국 마이크를 들지 않은 채 답변을 거부했다. 대신 루퍼트 샌더스 감독이 "나에게 트럼프 질문을 해주지 않아 고맙다. 근데 스칼렛 요한슨도 별로 답하고 싶어하지는 않는 것 같다"며 유연하게 넘겼다.
스칼렛 요한슨은 마지막 인사말을 통해 "아직도 트럼프 질문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는데 답은 안 하겠다. 뭐라고 이야기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그저 우리 작품을 많이 봐 주시길 바란다. 정말 많은 분들이, 모든 분들이 봐 주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