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가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차량과 사물 간 통신(V2X) 시스템' 연구에 본격 돌입한다.
현대·기아차는 경기도 화성시 내 약 14km 구간에 V2X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V2X 서비스 검증과 연구를 시작한다고 15일 밝혔다.
V2X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커넥티드카 기술의 일종으로, 보다 안전하고 완벽한 자율주행차를 구현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V2X 시스템을 적용하면 자율주행차의 주요 기술인 레이더, 센서, 카메라 기능을 한층 보완해 360도 주변 인식과 좀더 완벽한 자율주행 기술 구현이 가능해진다.
이에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말 화성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V2X 시스템을 실제 도로에 구현하고 검증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차량과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기지국과 보행자 감지를 위한 CCTV 카메라, 교통신호 정보 송출이 가능한 교통신호제어기 등 각종 V2X 인프라 장비를 설치했다.
현대·기아차는 V2X 장치가 별도로 설치된 50대의 시험차량을 운영한다. 시험차량에는 V2X 통신 장비치 외에 별도 적용된 V2X 전용 모니터와 헤드업디스플레이(HUD), 내비게이션 등을 통해 운전자에 각종 이미지와 경고음 형태로 경고와 안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정부가 2020년까지 추진하게 될 고속도로 차량 통신 인프라 구축 사업에 맞춰 V2X 서비스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폭설, 안개 등 기상 악화 상황에서는 센서만으로 작동되는 자율주행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다 완벽한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서는 V2X 적용이 필수”라며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기 위해 능동형 안전기술 고도화를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