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세종(25)은 올해 브라운관에서 최고로 빛난 신인이다. SBS '낭만닥터 김사부'를 시작으로 '사임당', OCN '듀얼'에서는 1인 2역을 연기했다. 신인답지 않은 연기력과, 조각미남은 아니지만 시선을 붙드는 안정적인 외모까지. 첫 지상파 주연작 '사랑의 온도'로 1년만에 급성장했다. 당연히 '괴물 신인' 등의 수식어가 붙지만 양세종은 "그런 수식어 만든 사람 누군가요. 저는 아닌 거 같아요"라며 겸손을 떤다.
작품 속과 달리 실제 양세종은 엉뚱한 듯 진지하다. 특히 카메라가 수 십 대 있는 공식적인 자리에선 시선을 어디에 둘 지 모르고 목소리도 떨린다. 그런 면이 대중에겐 친근하게 느껴 진다. "플래시가 터지면 아직도 정신 못 차리죠. 쉽지 않은데 적응하려고 노력 중이에요."
-'사랑의 온도'라는 작품은 어떤 의미가 있나. "표현과 소통을 알게 해줬다. 표현·소통에 대한 방식을 작가님의 대본을 보며 배웠다."
-서현진과 두 번째 만남이다. 기분이 남달랐을텐데. "'낭만닥터 김사부' 때는 선배와 후배로 만났는데 '사랑의 온도'에선 연인으로 만났다. 대본 리딩 때 처음 만났는데 두 시간 동안 대화한 덕에 어색한 느낌 없이 촬영했다. 대화를 자주 하며 리허설했는데 호흡할 때마다 항상 행복했다."
-호흡은 어땠나. "같이 연기를 하면 상대방을 편안하게 해준다. 절대 빈말이 아니라 성격도 최고이고 연기도 최고다. 드라마 분위기도 좋다 보니까 덕분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었다. 성격도 예쁘고 외모도 예쁘고 아름다운 분이다."
-실제는 온정선과 얼마나 비슷한가. "사람에게 다가가는 방식이 아예 다르다. 온정선은 마음에 드는 사람에게 '사귈래요'라고 말하지만 양세종은 일단 의심을 많이 한다. 이게 한 순간의 감정인지에 대한 의심이다. 그래서 계속 만난다. 오랜 기간 만나고 확신이 생기면 '만나자'고 말한다. 모든 게 조심스럽다."
-제일 기억에 남는 장면이 있나. "매 장면에 차별성을 두지 않는다. 전달해야하는 진심이 있어야하지 않냐. 기억에 남는 대사는 있다. '인생에는 우선 순위가 있어'라는 대사다."
-그래서 인생의 우선 순위가 무엇인가. "연기와 가족, 걷는 것과 음악 감상이다."
-'사랑의 온도' 자체는 용두사미라는 평가가 많았다. "평가는 온전히 시청자들의 몫이다. 개인적으로는 아쉬운 게 없다. 연기를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대본을 100% 신뢰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판단은 시청자 몫이지만 내가 아쉽다고 해버리면 확신을 갖지 않고 연기를 한 사람이 되지 않나. 아쉽지 않고 후회하지도 않는다."
-초고속 주연이다. "주연이든 조연이든 단역이든 역할에 차이를 두지 않으려고 한다. 작품에 임할 때마다 차별성을 두지 않고 항상 최선을 다하려고 노력한다."
-괴물 신인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괴물 신인이나 차세대 연하남, 그런 용어 누가 붙여준거냐.(웃음) 처음 듣는 말이다. 스스로는 그렇게 생각해본 적 없다."
-요리는 누구에게 도움을 받았나. "셰프 캐릭터를 위해 장진모 셰프의 도움을 받았다. 시간 날 때마다 연습했는데 단기간에 할 수 없는 부분은 장진모 셰프가 도와줬다."
-작품 끝나고 요리를 잘 하나. "조미료를 넣지 않은 참치 김치찌개는 원래 잘했고 '사랑의 온도' 끝나고 떡볶이와 미디움 레어 스테이크를 할 수 있게 됐다. 떡볶이는 셰프님도 인정했다.”
-작품할 때 일상 생활이 어렵다고. "캐릭터에 집중할 때는 어머니한테 연락이 와도 반응하지 않는 편이다. 좋지 않다는 걸 알아서 스스로 고쳐보려고 노력도 많이 해봤는데 정말 고쳐지지 않는다. 일상과 캐릭터를 잘 분리하는 선배들이 부럽다. 심지어 그러면서 연기도 잘하지 않나."
-이번 연기에 만족하나. "한 번도 연기에 만족한 적은 없다. 아마 죽을 때까지 없을 것 같은데 그건 사람이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렇다고 해서 작품에 후회가 남지는 않는다."
-실제 사랑과 우정 중 택해야 한다면 어떻게 하겠나. "일단 셋이 만난다. 각자의 입장을 들어보며 집요하고 깊이있게 파고 든다. 결론이 안 난다면 나의 선택은 사랑이다."
-그럼 실제 서현진(이현수) 조보아(지홍아) 중 선호 스타일은. "이현수다. 현실에 있다면 정말 최고지 않나. 감사하지 않아야 할 일 마저 감사함을 느낀다. 자기가 닥친 문제를 잘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원작 소설을 읽었나. "일부러 보지 않았다. 선입견을 가지게 될 까봐 안 봤는데 그래서 더 연기할 때 좋았다고 생각한다."
-본인이 생각하는 '사랑의 온도'는 몇 도인가. "자기 자신이 사랑의 온도를 매길 수 있을까. 상대방이 느끼는 게 사랑의 온도지 않겠나."
-지금 연애 중인가. "연애를 하고 있지 않다. 촬영할 때 부모님과 연락도 제대로 주고 받지 못 하는데 어떻게 연애를 하겠나."
-이상형이 궁금하다. "특별히 정해져 있진 않다. 그때 그때 사람의 분위기와 느낌, 매력을 본다. 단 솔직한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이제는 플래시 세례에 익숙해졌나. "아직도 아니다. 동시다발적으로 카메라 플래시가 터지면 정신을 못 차린다. 그러다보니 자꾸 인상을 찌푸리게 되고 안 좋은 사진이 계속 올라온다."
-머리숱이 진짜 많다. "맞다. 그래서 2주에 한 번 머리칼을 자른다.(웃음)"
-벌써부터 차기작을 기다리는 사람이 많다. "특정 장르를 하고 싶다는 생각보다 하진 않는다. 배우는 선택받아야 하는 직업이라 선택에 대해 늘 감사하다."
-올해 남은 계획은. "해외로 화보 촬영을 나간다. 그 이후에는 별다른 스케줄이 없다. 쉬면서 연말을 맞이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