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기사배치·댓글 잇단 논란에도 … 네이버는 왜 뉴스서비스 안 접나
국내 포털 점유율 75%가 넘는 네이버는 지난 1년간 뉴스·댓글·검색어와 관련한 논란에 연이어 휘말리며 공정성에 큰 타격을 입었다.
지난 17일 검찰이 구속 기소한 ‘드루킹’ 김모(49)씨 등 3명의 죄목은 업무방해죄다. 네이버는 굳이 따지면 김씨 등의 조작으로 댓글 순위 선정 업무에 피해를 본 피해자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미 수년 전부터 “VPN(가상사설망 서비스)과 매크로 프로그램을 잘 활용하면 댓글도 조작 가능하다”는 것이 공공연한 사실이었는데, 그간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한 네이버도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네이버는 지난 4일에야 네이버 이용 약관에 매크로 이용을 금지하는 내용을 정식으로 명기했다.
지난 1월에는 네이버가 ‘정유라·김동선 마장마술’ 같은 국정 농단과 관련한 연관검색어·자동완성검색어 등 수만 건을 삭제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 검색어는 한화그룹 3남인 김동선씨 측의 요청에 따라 네이버가 삭제한 것이었다. 네이버는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의 정책 규정에 따라 삭제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전문가들은 당시 “국정 농단 의혹 관련 검색어를 삭제한 것은 논란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10월 네이버는 ‘청탁을 받고 기사를 내린다’는 의혹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사과하기도 했다. 2016년 당시 네이버 스포츠를 총괄하던 금현창 이사가 프로축구연맹의 부탁을 받고 연맹에 불리한 기사를 내려줬다는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와 이해진 창업자가 공식 석상에서 이에 대해 사과했다.
‘1인당 아이디 3개 제한, 댓글 수 20개 제한’ 같은 규정도 댓글 논란을 키운다. 네이버 이용자는 1인당 하루에 60개의 댓글을 연이어 달 수 있다. 포털 다음은 1인당 월 2개까지 아이디를 만들 수 있고 아이디당 하루에 30개 댓글을 달 수 있다. 선거철이면 온라인 브로커들이 “온라인 여론과 뉴스 댓글을 조작해준다”며 정치인들에게 접근하는 이유다.
네이버의 전직 고위 임원이었던 인사 두 명은 중앙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이해진 창업자가 한때 뉴스 서비스를 완전히 접는 방안도 검토했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들은 "광고 수익, 사회적 영향력 등을 고려해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를 지속해야 한다는 사내 주장에 부딪혀 이 창업자가 의견을 접어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문가 사이에선 일일 방문자가 1300만 명이 넘는 뉴스 서비스를 계속하는 네이버가 ‘수익’과 직결되는 문제라 이를 쉽게 접을 수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네이버 마케팅 트렌드』 등을 쓴 온라인 마케팅 전문가 오종현씨는 “네이버가 최근 기사 하단에 배너 광고를 붙이기 시작하는 등 뉴스 서비스에서도 광고 수익을 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네이버도 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일명 드루킹 사건)으로 인해 댓글·뉴스정책에 대한 비난이 빗발치자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네이버는 이달 초 일반인 이용자들이 참여하는 ‘댓글 정책 이용자 패널’을 발족했다. 네이버는 여기에서 댓글 정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오는 8월 댓글 정책 개선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온라인 일간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