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기 수입차인 BMW에서 화재 사고가 연이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수입차 피해 구제 신청이 국산차의 3.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차에 대한 불만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12일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5년(2013∼2017년)간 품질이나 안전 등 문제로 소비자원에 피해 구제를 신청한 건수가 국산차는 감소했으나 수입차는 50% 넘게 증가했다.
국산차 관련 피해 구제 건수는 2013년 615건에서 지난해 527건으로 5년간 14.3%(88건) 줄었다.
반면 이 기간 수입차 피해 구제 건수는 198건에서 307건으로 55.1%(109건) 늘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등에 따르면 트럭·버스를 제외한 승용차 시장에서 지난해 수입차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13.8%였으며 국산 5개 사(현대·기아·한국GM·르노삼성·쌍용)는 86.2%였다. 지난해 기준으로 시장점유율을 고려했을 때 수입차 피해 구제 신청 비율은 국산차의 3.6배가량 된다.
올해 상반기에도 수입차 피해 구제 신청 건수는 144건으로 국산차(200건)의 4분의 3이나 됐다.
소비자원 측은 "국산차의 경우 완성차 업체가 전면에 나서 자동차 품질 문제 등을 직접 관리하지만, 수입차 업체들은 딜러 체제라서 품질이나 애프터서비스(AS) 관리에 한계가 있어서 매년 피해 구제 신청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수입차 소비자 피해 구제 신청 이유는 품질과 AS 불만이 10건 가운데 8건꼴로 가장 많았다.
지난 5년간 수입차 피해 구제 신청 총 1267건 가운데 품질 불만이나 수리용 부품이 없는 등 AS 문제가 988건(78.0%)이나 됐다. 다음으로 계약 불이행 등 계약 관련 사항(167건, 13.2%), 부당 행위(46건, 3.6%), 제품 안전 등 안전 문제(27건, 2.1%) 등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