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킴은 집안·성격·머리·외모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고 여러 가지 완벽한 조건을 갖춘 '엄마 친구의 아들'을 줄여서 부르는 '엄친아'라는 단어가 데뷔 때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가장 잘 어울리는 가수다. 2012년 Mnet '슈퍼스타K'에서 우승하며 이듬해 가수로 데뷔했다. 우승과 동시에 미국 조지타운대에 합격하며 학업과 일을 병행한 지도 벌써 6년째.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학업과 음악을 모두 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물음표가 달렸으나 로이킴은 보란 듯이 두 가지 모두 잘해 오고 있다. 학기를 마치고 방학 때 한국에 오면 올 A 성적표를 받은 것이 종종 화제가 됐고, 졸업까지 한 학기를 남겨 둔 시점에서 여전히 학점 관리는 꽤 잘하고 있다. 최근 마친 학기 역시 가장 최하점이 A-다.
6년간의 음악 활동을 성적으로 매긴다면 A라고 할 순 없지만, 누군가는 꽤 부러워할 만한 성적표를 받아 왔다. 올 들어서 평균 점수를 꽤 많이 올리기도 했다. '그때 헤어지면 돼'에 이어 '우리 그만하자'까지 줄줄이 음원 차트 1위를 찍었다.
얄미울(?) 정도로 허점을 찾기 힘든 로이킴을 취중토크 인터뷰 자리에 앉혔다. 취중토크는 두 번째다. 4년 만이다. 주종은 맥주를 택했다. 맥주 1병을 가득 담은 맥주잔을 비워 냄과 동시에 얼굴이 약간 불거졌다. 2시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그는 꽤 솔직했다. 하지만 진솔하게 답할수록 빈틈을 더욱 찾기 힘들었다. 소신이 뚜렷했고, 험담을 싫어했고, 선한 영향력을 주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깊었다.
>>취중토크①에 이어
- '그때 헤어지면 돼'를 기점으로 로이킴 표 발라드의 포문이 열린 것 같아요. "제대로 된 포문을 열어 줬다고 표현하기엔 좀 거창한 것 같고. 그냥 내가 쓴 가사와 멜로디에 사람들이 조금 더 집중해 주기 시작한 곡인 것 같아요. 그래서 감사한 곡이죠. '그때 헤어지면 돼' 전까지는 발라드를 제대로 한 적이 없었어요. 물론 OST로는 했지만 내 앨범에서 한 적은 없었죠. 발라드에 가까운 노래를 했지만 정통 발라드는 아니었다고 생각해요. '그때 헤어지면 돼'도 한국형 정통 발라드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굳이 나누자면 그렇다는 거죠. 근데 '그때 헤어지면 돼' 이후로 발라더로 불리기 시작했죠. 발라더가 된 지 얼마 안 됐어요."
- 자작곡을 계속 내고 있어요. 자작곡 중 가장 효자곡은 무엇인가요. "자자곡은 30~40곡 정도 되는데요. 효자곡이라. 수익으로 따지면 잘된 것들이겠죠. '봄봄봄' '그때 헤어지면 돼'겠네요. 음악적으로 내가 좀 성장했다고 느끼는 고마운 곡은 '그때 헤어지면 돼'예요. 성장이라는 의미가 좀 그렇긴 하지만 이 곡은 처음으로 보컬 디렉터 없이 디렉팅도 직접 다 해 보고 소리도 직접 다 잡아 보고, 악기가 들어가는 것도 편곡자와 나만 이야기해서 만든 곡이거든요. 근데 그게 잘돼서 의미가 있죠."
- 음악을 전공한 것도 아니고, 연습생 기간이 있었던 것도 아니에요. 음악은 어떻게 배웠나요. "정지찬 형의 영향이 컸죠. (정)지찬이 형은 일단 내게 멘토예요. 내가 음악에 대해 정말 아무것도 모를 때 만났고 2013년부터 1·2·3집을 다 프로듀싱해 줬는데 그러면서 많이 배웠죠. 그 이후 만난 편곡자 형들에게도 많이 배웠어요. 다 같은 귀인데, 같은 멜로디로 녹음하는데 어떻게 이렇게 다른 소리가 날 수 있는지도 배웠죠. 만나서 작업하는 모든 사람에게 음악을 배웠어요. 내겐 모두가 베테랑이었으니까요."
- 음악을 전공해 볼 생각은 없나요. "물론 도움은 되겠지만 그래도 학교라는 공간은 일과 분리해서 가져왔기 때문에 앞으로도 그러고 싶어요. 지금까지 해 온 학업을 더 발전시키고 싶은 마음이지 또 다른 학문인 음악까지 공부하면 너무 1년 내내 음악에만 휩싸여서 사는 거라 질릴 수도 있을 것 같고, 그래서 음악이 안 좋아질 수 있을 것 같아요. 학업과 일을 병행하는 게 더 도움이 많이 돼요. 한국에서 바쁘게 활동하고 잠시나마 음악과 떨어져서, 또 음악 활동에 따라오는 환경에서 떨어져서 생활하다가 다시 한국에 와서 음악을 하면 다시 시작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좋아요. 무대에 설 때 늘 처음처럼 떨리는 기분도 좋고요. 무대에 대한 설렘이 계속 있다는 게 좋은 것 같아요."
- 곡을 쓸 때 어디서 자극과 영감을 많이 받나요. "나요. 글을 쓰거나 멜로디를 쓸 때 나한테 감탄해야 해요. 처음 곡이나 글을 썼을 때 '이건 내가 썼지만 좋은 글인 것 같다. 좋은 멜로디인 것 같다'는 게 있어야 그걸 계속 가지고 가서 곡으로 완성되는 것 같아요. 글(가사)의 주제는 일상적인 것에서 찾아요. 무대 위에서 찾을 수도 있고, 그냥 이렇게 대화하는 과정에서 찾을 수도 있고요."
- 어떤 감정일 때 음악이 잘 써지나요. "그런 건 없는 것 같아요. 규칙적으로 시간을 정해서 작곡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데 나는 매일 쉬는 시간이 일정하게 있는 게 아니라서 그렇게 못 하고 있어요. 하지만 작곡해야 하면 시간을 미리 딱 정해 두고 그 시간 동안 계속 음악 작업만 해요."
- 이별 감성 발라드 곡을 내고 있는데 연애 경험이 반영됐을 것 같아요. 연애 스타일은 어떤가요. "소극적일 때가 많은 것 같아요. 살짝 졸보예요. 상대방 감정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까지 잘 움직이지 않는 편인 것 같아요. 내가 꽂히려면 그쪽도 꽂혀야 꽂히는 것 같아요. 연애하는 기간은 사람에 따라 달라요."
- 장거리 연애는 해 봤나요. "그것밖에 할 수 없어요. 미국에서 사귀면 한국에 오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장거리 연애를 해야 하고, 한국에서 만나서 사귀면 또 학교 때문에 미국에 가야 하는 시간이 있으니까요. 장거리 연애밖에 답이 없죠."
- 차는 쪽인가요. 차이는 쪽인가요. "반반인 것 같아요. 그쪽이 못 견딜 수도 있고 내가 못 견딜 수도 있으니까요."
- 사랑과 일 중에 어떤 게 더 우선인가요. "아직 일이 먼저예요. 일하는 걸 서로 이해할 수 있어야 연애가 지속되는 것 같아요. 연애하기 싫어서 일을 일부러 잡고 있는 건 아니고 해야 할 일을 하는 건데 그걸 이해하지 못한다면 좀 힘들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