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이원종은 지난 1일 종영한 OCN '손 더 게스트(손 the guest)'에서 박수무당 육광을 연기했다. 박일도를 쫓느라 자기를 챙기지 못하는 김동욱(윤화평)의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줬다. 귀신을 무서워하고 구마의식 중 피를 토하기도 하는 능력치 낮은(?) 무당이었다. 대신 김동욱과 이원종이 등장하면 어두운 분위기가 환기되고 사람 냄새가 났다. 이원종의 표현을 빌리자면 시청자들에게 숨 쉴 틈을 만들어 줬다. 극 중 이원종이 죽었을 때 많은 시청자가 슬퍼하고 분노하기까지 했다. '손 더 게스트' 덕에 오랜만에 손편지도 받아봤다며 자랑스럽게 꺼내 보여줬다. '야인시대'(2003) 구마적 이후 15년 만에 '육광이 형'이라는 별명을 새로 추가했다.
-'손 더 게스트'에 참여하게 된 이유는. "김홍선 감독과 인연이 있었다. 또 무당이라는 캐릭터가 독특했다. 연기하기 쉽지 않은 역할이다. 연극을 할 때부터 그런 쪽에 관심이 많기도 했다. 어떤 무당일지 모르지만 감당할 자신이 있었다. 어떻게 준비할까 하다가 사람들을 만났다. 소품이나 의상 스타일은 대부분 내가 정해서 가져왔다. 주문을 외우는 것도 어떤 스타일로 할지 정하기 위해 무당을 만나서 공부했다."
-'손 더 게스트'의 인기 이유는 무엇일까. "지금까지 보지 못한, 미국 드라마를 보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의 색감과 화면 구성, 악령의 사실적인 묘사 덕이라고 생각한다. 영화관에서 느꼈던 것보다 훨씬 더 강렬한 걸 TV 시리즈로 볼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또 빙의된 분들의 열연이 컸다. 매회 주인공은 그 사람들이었다. 또 그걸 가능하게 한 연출까지 모든 요소가 맞아떨어졌다."
-종영 소감은. "'손 더 게스트'는 조금 특별하고 애정이 많이 간다. 그래서 더 아쉬운 것 같다."
-어떤 점이 아쉬운지. "길영이는 형사이기 때문에 열혈 형사로 활동하면 되고 최윤은 구마 사제니까 구마를 하면 되는데 화평이와 나는 능력치가 없는 것 같았다. 영매는 귀문이 열려있는 친구라 어떤 귀신이든 들어올 수 있고 잘 받아들이는데 들어온 귀신을 통해 빙의된 자를 볼 수 있다는 특별한 능력을 갖췄다는 것 외에는 힘이 세거나 퇴마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전혀 없었다. 나는 박수무당이고 구마를 할 줄도 아는데 능력치나 내공이 조금 떨어졌다. 그러다 보니 하다가 나가떨어지고 최윤도 구마를 하며 여러 번 실패하고 좌절했다. 그런 면에서 능력이 조금 더 있었다면 어땠을까 생각했다. 서양의 가톨릭 신부가 가진 능력과 동양 샤머니즘 무당의 능력치가 합쳐졌을 때 벌어지는 현상이 궁금했는데 아쉽다."
-무당 캐릭터는 어떻게 연구했나. "퇴마가 어떤 의미일지 생각해봤고 실제로 구마를 하시는 분들을 인터뷰도 해봤다. 서양적인 의미의 구마를 한국 신부가 박수무당과 함께한다고 한다면 구마해서 악령을 몸 밖으로 끄집어낸 다음이 궁금했다. 우리나라의 무당들은 구천에 떠돌고 있는 귀신들을 천도를 해주는 사람들이다. 의미가 다른 거다. 영화 '검은 사제들'이나 엑소시즘 영화를 보면 가톨릭에서는 악령의 이름을 부르면 구마가 되고 끝나는 건데 그게 어디로 갔는지는 관심이 없다. 그런데 무당은 그렇지 않다. 구천에 떠도는 귀신을 잘 달래서 하늘로 올려보내는 게 무당의 역할이다. 우리나라에도 구마를 하는 무당과 스님이 있다. 근데 육광은 구마 전문이 아니었다. 그러다 보니 끼어드는 데 한계가 있더라. 그런 부분을 많이 못 보여준 아쉬움이 있다."
-마지막 회에서는 샤머니즘적인 면이 많이 보였다. "박일도를 어떻게 잡을 것인지 많이 상의했다. 찾아낸 게 진을 치고 화평이의 몸에 가둔 다음에 자기희생을 하는 거다. 자기희생이 없으면 안 된다는 메시지와도 맞았다. 만일 내가 살아있다고 친다면 구마를 한 다음에 천도하면 되는데 육광은 죽어야 했다. 그래서 만들어낸 게 육광이 화평이에게 방법을 알려주는 신이다. '손오공'을 보면 삼장법사가 부적을 사용해 호롱에 가두고 묻어버리는데 그게 동양 구마의 전형이다. 그걸 합동 플레이를 보여주고 싶은 욕심이 있었다. 이번에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니 혹시라도 시즌2를 한다면 합동 플레이도 가능하지 않을까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