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뼘 더 성장한 유아인이다. 남들과 다른 길을 일부러 걷는 것은 아니지만, 유아인의 선택은 유아인이라는 '대체불가 존재감'을 완성시키는데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 영화 '국가부도의 날(최국희 감독)' 역시 계산적이지만, 계산적이지 않은 유아인이기에 선택 가능했던 작품이다. 더 돋보일 수 있는 캐릭터, 더 돋보일 수 있는 작품을 고를 수 있는 폭이 넓은 위치에 자리매김 했음에도 유아인은 흥미를 따랐고, 가치를 택했다. 김혜수는 이러한 유아인의 선택에 고마움을 표하며 "배우 유아인을 다시 보게 됐다"는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무거운 소재에 대한 진정성이 담긴 '국가부도의 날'은 9일 손익분기점 26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여전히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고 있어 흥행 수치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이로써 유아인은 '버닝(이창동 감독)'의 실패를 곧바로 만회했다. '버닝' 역시 대외적으로는 수치에 따른 실패라는 꼬리표가 붙지만, 작품으로도, 또 유아인에게도 많은 의미를 남긴 남겼다. 그래서 영화계는 유아인을 영리하다 말하고, 좋은 쓰임새로 꾸준히 활용하려 노력한다. 그리고 유아인은 그 선택을 선택으로 보답 중이다.
본업 잘하는 배우로 스스로를 브랜드화 시킨 유아인이지만 대중에게는 여전히 호불호 갈리는 트러블메이커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유아인은 이러한 대중의 반응이 때론 억울하고, 상처가 될 때도 있다며 "난 어느 한 쪽의 편이 아니고, 어느 한 쪽에 힘을 싣고 싶은 사람이 아니다.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세상을 꿈꾼다. 자기 인생의 주인공으로 생각과 의지를 드러낼 수 있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SNS 설전에 대해서도 거부없이 솔직한 생각을 털어놓은 유아인은 자신을 "'욕 먹는 이미지'로 낙인찍지 말아 달라"는 당부의 말을 남기기도 했다.
- '국가부도의 날'을 택한 이유가 무엇인가. "우리 모두 부도를 두려워하기 때문에?(웃음) 부도의 상황이 개인과 국가에 미치는 영향들, 그런 것들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흥미롭다는 것을 떠나 '우리 모두는 돈의 세계를 살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정신들로 살아가야 하는지, 세상을 직시할 때 어떤 눈으로 바라봐야 하는지,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상기 시키고 알려주는 작품이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 아닌가. 참여하는 것 만으로도 의미있다고 생각했다."
- 더 돋보일 수 있는 캐릭터, 작품들이 많았을텐데. "내가 배우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주목받는 자체가 일이지만 목적은 아니다. 내 목적은 분명 작품이다. 재미있는 말을 드리고 싶지만 이게 내 진심이다. 그렇기 때문에 예전에 '우아한 거짓말' 같은 영화에서 가발 쓴 역할도 할 수 있었던 것 같고, 많은 분들이 사랑해 주신 '베테랑' 속 조태오 같은 악역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즉각적인 사랑과 주목을 받는 것 보다, 관심있는 것에서 즐겁게 한 부분이 되어지는 것이 배우로서 내 의지이고 목표다."
- 유아인의 선택을 김혜수는 지지했고, 또 칭찬했다. "조금 더 말씀 드리자면 여성 캐릭터가 끌고 나간다는 점도 매력있었다. 난 극의 중심에 있는 인물은 아니지만 진지하고 긴박한, 심각한 이야기의 흐름 속에서 관심과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관객들을 진입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나에겐 의미있고 가치있는 역할이었다." - IMF 시절 특별한 기억이 있나. "솔직히 없다. 영화를 보면 실제 뉴스 장면이 꽤 많이 나오는 편인데, 그걸 보면서 과거 분위기가 떠올랐다. 내가 직접적으로 겪지는 않았지만 느낄 수 있는 분위기라는 것이 있지 않았나. IMF에 대한 기억은 그 정도다."
- '금 모으기 운동'에 대한 생각은 어떤가. "'이렇게 하면 좋아져, 잘 살 거야'를 놓고 봤을 때 한 명의 개개인이 할 수 있는 선택들이 있다. 그리고 그 선택들엔 분명한 옵션이 있을 것이다. 금 모으기 운동은 대한민국을 살아감에 있어 화합과 의지를 증명할 수 있는 운동이었던 것 같다. '경제적으로 어떤 효용가치가 있었고, 어디에 쓰였고, 개개인의 삶에 어떻게 적용됐나'를 넘어 흡사 월트컵처럼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서로 함께 동의하는 마음을 나눴는가'가 중요했던 운동이 아니었나 싶다."
- 실제로도 금융에 관심이 있는 편인가. "전혀. 전혀 없다.(웃음) 나도 많은 사람들을 만나다 보니까 부자도 만나고 빌딩을 몇 채 씩 가진 분들도 만나 이야기를 나눌 때가 있는데 경기가 어떻고, 집이 있는데 한 채 더 사고, 또 사야 하고, 가져도 가져도 불만이고 그런 사람들이 더러 있더라. 근데 그 이야기가 재미있지 않아 보인다." - 그럼 어떤 사람을 만났을 때 행복함을 느끼나. "마음 나눌 수 있는 사람들. 느낌을 공유하고 같은 것을 보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을 만날 때 행복하다. 남 험담하는 것 보다는 그게 좋지 않나. 지나고 나서 '기분이 좋다'는 생각을 한다. 찜찜함이 덜 한 느낌은 있다."
- 영화에서 한 배를 탄 류덕환은 왜 때리는 것인가. "하하. 가장 좋아하는 대사, 끌렸던 대사가 '돈 벌었다고 좋아하지 마'다. 인상 깊더라. 나 조차도 돈을 좇는 입장에서 '돈 벌었다고 좋아하지 마. 이게 전부는 아니야. 내가 부자가 된다고 행복해지는 건 아니잖아? 이게 그냥 눈 먼 돈인 줄 알아? 어떤 사람들의 회한과 눈물이 담겨 있는지 알아?'라는 뜻을 함축해 놓은 대사인 것 같다. 배우 유아인이라는 인물의 자기 반영이 어느 정도 있었을 수도 있다."
- 20년이 지나도 늙지 않은 모습이 인상 깊었다. "어…. 나름 분장을 엄청 하고, 다크도 그려 넣었는데 그렇게 보인다면 이걸 좋아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모르겠다.(웃음) 개인적으로 어려 보인다는 것 같아 좋지만, 작품적으로는 잘 안 표현된 것 아닌가 싶고. 애쓰긴 했다. 애만 썼다. 하하." >> ②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