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담배 전쟁 '2라운드'가 시작됐다. 이번에는 액상형 제품이다. 담배 업계의 판도 변화를 향한 업계 간 '불꽃 전쟁'이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쥴 랩스 코리아는 22일 서울 성수동에서 간담회를 열고 한국 시장에 액상형 담배 '쥴'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쥴은 미국 전자담배 업계 1위 제품이다. 길쭉한 USB 모양을 한 이른바 폐쇄형 시스템의 전자담배로, '팟'으로 불리는 액상 카트리지를 기기 본체에 끼워 피우는 방식이다. 기기에 별도의 버튼이나 스위치가 없어 사용이 간편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 궐련 담배에서 나오는 담뱃재가 없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그러면서도 폐쇄형 시스템의 액상 담배 기기가 고유의 온도 조절 시스템을 작동해 일반 담배와 비슷한 수준의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게 쥴 랩스 측 설명이다.
정식 판매는 24일부터다. 편의점·면세점 등이 주요 판매 채널이다. 가격은 USB 충전 도크 포함 3만9000원이다.
쥴의 니코틴 카트리지 팟은 프레시·클래식·딜라이트·트로피컬·크리스프 등 5가지 종류로 돼 있다.
팟은 리필 팩 4개 기준 1만8000원, 2개는 9000원에 책정됐다. 1개에 4500원꼴로 일반 담배와 같은 가격이다.
다만 쥴의 한국 시장에서 성공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정식 출시 전부터 각종 잡음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청소년 흡연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쥴은 USB를 닮은 세련된 외관을 무기로 미국 소비자의 '힙한' 감성을 자극하며 큰 인기를 끈 바 있다.
그러다 보니 미국 현지에서는 이에 끌린 청소년들이 쥴을 통해 전자담배에 손을 대는 통에 '쥴링(Juuling)'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하며 사회 문제로 비화됐다.
이에 우리 정부는 지난 21일 담배 포장에 '보기 불편한' 사진과 경고 문구를 삽입하는 등 '예쁜 담배'가 흡연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겠다고 나선 상태다.
이에 대해 쥴 랩스는 제품 판매 시 담배사업법·청소년보호법과 기타 법령에 명시된 연령 제한을 전적으로 준수하겠다며 광고 역시 성인 흡연자만을 대상으로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재 쥴 랩스 코리아 대표이사는 "어떠한 소셜 마케팅도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며 "모든 관련 법규를 전적으로 준수할 것이다. 공식 홈페이지는 성인 인증을 마친 뒤에야 들어가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금 논란도 풀어야 할 숙제다. 팟 가격은 일반 담배와 동일한 4500원인데, 이에 매긴 세금은 절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소비자 입장에서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액상형 전자담배'에 부과되는 세금이 적어 쥴이 가져가는 수익은 일반 궐련 담배보다 월등히 높아진다.
경쟁사도 바로 등장했다. 국내 담배 시장 1위 KT&G는 쥴의 출시에 맞서 오는 27일 경쟁 제품 '릴 베이퍼'를 내놓는다.
쥴이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판매를 시작하는 반면, KT&G는 편의점 CU를 통해 서울·부산·대구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동시에 판매한다.
또 릴 베이퍼는 쥴과 유사한 긴 USB 형태를 띠고 있지만, 디바이스 상단에 슬라이드가 장착된 것이 특징이다. 슬라이드를 내리면 바로 흡연할 수 있다. 기기에 입만 대면 피울 수 있는 쥴과는 다르다. 1개비(11~12모금 분량) 정도를 흡연하면 진동으로 알려 주는 기능도 넣었다. 기기 가격은 쥴(3만9000원)보다 1000원 비싸다.
또 쥴은 아이코스·릴 등 기존 궐련형 전자담배와 경쟁에서도 살아남아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신개념 액상형 전자담배에 대한 호기심으로 쥴 출시 초기 흡연자들의 구매가 증가할 수 있다"면서도 "쥴이 미국에선 인기를 모았지만, 국내시장에선 입증이 안 된 만큼 소비자 선택이 궐련형 형태에서 액상형으로 옮겨 갈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