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방송되는 KBS 2TV '추적60분'에서는 1983년 2월 27일 시작된 36년의 발자취를 되짚어 본다.
이날 방송에는 1980년대 연출을 맡았던 장해랑 전 KBS PD와 2005년부터 4년간 책임 프로듀서 및 진행을 맡았던 구수환 전 KBS PD,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의 주인공 유우성 씨 등이 스튜디오에 출연해 지난 36년간의 '추적60분'을 증언한다.
첫 방송을 시작한 이후 '추적60분'은 대한민국의 어두운 사회 이면을 적나라하게 들춰냈다. 일부 방송 편의 경우 정부의 정책변화를 끌어낼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83년 '긴급점검, 기도원' 편 방송 이후 정신질환자 보호시설에 대한 정부의 법제화 노력이 시작됐고, 2006년 '과자의 공포' 시리즈 방송 이후에는 음식물 포장지에 식품첨가물을 의무적으로 기재하도록 하는 식품 표시기준이 전면 시행됐다. 2005년 공공임대 아파트 정책의 허점을 다룬 '거리로 내몰리는 사람들-누가 이들의 집을 빼앗았나' 편이 방송된 다음 날엔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담당 부처 관계자들을 질타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1984년 '대학가의 검은 덫-지하서클' 편을 방송하며 민주화 운동을 하는 대학생들을 비판했다. 이는 당시 전두환 정부가 학생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의도로 강요한 방송이었다. 1996년에는 당시 안전기획부에서 제작한 비디오테이프를 그대로 받아 '긴급입수-한총련 북에 간 대학생들' 편을 방송하기도 했다. 당시의 막강한 정치 권력은 끊임없는 외압을 행사하며 언론을 탄압했다. '천안함 무엇을 남겼나',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 편의 경우, 갑작스럽게 방송 불가 결정이 내려지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각종 외압 속에서 각종 비리와 맞서 싸웠다.
마지막 방송에는 수많은 제보자 가운데 세 명이 직접 스튜디오에 출연한다. 지난 2007년 삼성반도체에서 근무하다 백혈병에 걸려 사망한 故 황유미 씨의 아버지 황상기 씨, 지난 2009년 살인누명을 쓰고 머나먼 타국 온두라스의 감옥에 수감됐었던 한지수 씨와 2013년 국정원의 조작으로 간첩 누명을 썼던 유우성 씨는 '추적60분'으로 인해 삶이 달라졌다고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