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82년생 김지영(김도영 감독)'이 14일 서울 건대입구 롯데시네마에서 열린 언론시사회를 통해 첫 베일을 벗었다. 동명의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 태어나 2019년 오늘을 살아가는 김지영(정유미)의 아무도 몰랐던 이야기를 그렸다.
이미 베스트셀러를 통해 그 스토리가 익히 알려진 '82년생 김지영'은 글을 영상화 시키며 현실감과 섬세한 감정의 디테일을 더욱 신경썼다. 여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담고 있지만, 단순히 육아에 지친 김지영만이 주인공은 아니다. 김지영이 누군가의 딸, 아내, 엄마, 동료가 될 수 있듯, 나의 엄마, 동료도 마찬가지다.
특히 '82년생 김지영'은 김지영의 가족, 정대현의 가족을 통해 다양한 인간상을 그리는데 꽤 많은 공을 드렸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전 연령층의 공감을 높였고, 이로 인해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인 나 역시 영화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이 나에게 빙의되는 듯한 묘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날 김도영 감독과 주연배우 정유미, 공유가 참석해 영화를 처음 공개한 소감과 비하인드 스토리를 전했다.
김도영 감독은 "원작이 화제를 모았고,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기 때문에 이 작품을 연출하는데 어떻게 좋은 서사로 만나야 하나 고민했다. 내가 들어왔을 땐 초고가 있는 상태였고, 이후 원했던 지점은 사회적 문제와 원작이 이야기하는 바를 집약적으로 넣어야겠다는 것이었다. 각색 방향을 그렇게 잡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작품은 자신의 말을 잃어버린 여자가 자신의 말을 찾는 영화라 생각한다. 지영이가 처음에는 아무 말을 할 수 없고,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빌어야만 그나마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이었지만, 마지막엔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함으로써 성장해 가는 이야기라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도가니' '부산행'에 이어 세번째 호흡을 맞추는 정유미와 공유의 만남으로도 주목받고 있는 '82년생 김지영'에서 두 배우는 때로 담담하게, 때로 고조되는 감정의 진폭을 담아낸 섬세한 연기로 깊은 여운을 남긴다.
이번 영화에서 타이틀롤을 맡은 정유미는 오늘을 살아가는 평범한 30대 김지영으로 분해 누군가의 딸이자 아내, 동료이자 엄마인 지영을 연기했다. 정유미는 결혼과 출산 후 평범하게 살아가는 일상 안에서 자신도 몰랐던 모습을 알아가는 캐릭터를 세밀하게 그려내며 극의 중심을 이끈다.
'밀정' 이후 3년 만에 스크린으로 돌아온 공유는 아내 지영을 걱정하고 지켜보는 남편 대현 캐릭터를 맡아 한층 깊어진 분위기와 연기를 선보인다. 공유 특유의 섬세하고 배려심 넘치는 성격이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캐릭터를 통해 지금까지의 공유와는 또 다른 매력을 전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정유미는 "출연까지 용기가 필요하지 않았냐"는 질문에 "진짜 용기를 내야 하는 일은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 시나리오 읽고, 우리가 나누고 싶다 생각하는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 한 가지의 마음으로 달려왔다"고 운을 뗐다.
공유는 "처음에 시나리오 접했을 때 우선적으로 든 생각은 가족이었다. 근데 영화를 찍고, 관객 분들에게 영화를 보여드리기 위한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해봤다. 출연 이유에 대한 관련 질문들을 여러 번 받으면서 '내가 이 영화를 왜 선택했나' 생각해 볼 수 밖에 없었다. 간단하게 다시 말하자면 내가 위로를 받은 것 같다. 그래서 이 영화를 선택했다"고 단언했다. 원작부터 일각의 페미 논란에 휩싸였던 '82년생 김지영'은 평점테러와 악플에 자유로울 수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영화 제작 과정에서 제작진은 물론 배우들 역시 선택과 결정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이들은 보편적인 현대의 우리 이야기를 다루는 '82년생 김지영'이 갖고 있는 이야기의 힘을 온전히 믿었다.
정유미는 "물론 그런 이야기들이 오갈 수도 있다는 생각은 들었다. 다양한 반응들이 나오는 것에 조금 놀라기도 했지만, 내가 영화를 선택하고 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공유 역시 "사실 그렇게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 캐스팅되고 제작되는 과정을 겪으면서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다"며 "뭐가 됐든 영화는 잘 만들어졌고, 관객 분들이 봐주실 생각을 하니까 각자 기준과 관점에 따라 어떻게 봐 주실지 오히려 기다려진다"고 강조했다.
완성된 영화에 대해서도 만족감을 표했다. 정유미는 "시나리오를 봤을 때 만큼의 느낌들이 그대로 느껴진 것 같아 다행이다. 개인적인 부분들에 있어서는 늘 아쉬움이 남지만, 많은 분들이 공감하고 위로를 전할 수 있는 캐릭터라 좋다"며 미소지었다.
공유도 "영화를 보고 난 지금은 '이 영화 하기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 막연하게 '이런 이미지들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지점들이 있었다. '관객들이 내가 시나리오를 보고 울컥했던 감정들, 공감했던 부분들, 위로가 됐던 부분들을 함께 충분히 느끼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그렇게 잘 만들어졌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또 "사람들은 잘 모를 수 있는 소소함, 평범함이 많은 사람이라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힘든 영화일 수 있지만 캐릭터가 현실적으로 바닥에 발이 닿아있어 좋았다. 가벼운 몸으로 이 영화에 임했다"며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신은 마지막에 지영이가 본인의 목소리를 낼 때 엄청 좋았다. 그 대사가 잊혀지지 않는다. 다 떠나 한 사람의 성장이 느껴지는 신이어서 좋았다"고 덧붙였다. 정유미와 공유는 모두 시나리오를 먼저 접한 후 원작을 봤다고. 정유미는 감정 연기를 할 때 소설의 도움을 많이 받았고, 공유는 "본질적으로 느끼는 바는 다르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그리고 김도영 감독은 "작가님이 우리의 첫 관객이었다. '소설보다 한 발 더 나아간 이야기 같다. 선물을 받은 것 같다'는 문자를 보내주셔서 그 문자가 나에게는 선물이었다"고 귀띔했다.
이와 함께 "누군가의 딸, 아들로 공감한 지점이 있냐"는 질문에 정유미는 "난 죄송한 마음이 많이 들었다. 그런 내가 '이 작품을 해도 되나' 싶기도 했다. 내가 고향이 부산이라 가족들과 떨어져 사는데 멀리서나마 내가 이런 마음으로 영화를 찍었다는 것을 보여드리고 싶었다"며 "뭐가 엄청 크게 달라지겠냐만은 그래도 이전과 다른 용기가 나에게도 생긴 것 같다"고 털어놨다.
공유는 "난 너무 많다. 시나리오를 읽자마자 엄마에게 전화를 드려서는 그 질문을 했다. '날 어떻게 키웠어?' 그냥 웃으시더라. '네가 이렇게 이렇게 잘 자란 것을 보면 엄마는 널 잘 키운 것 아닐까?' 하셨다. 정말 쓸데없는 이야기이긴 한데, 난 많은 부분 공감이 돼서 하나를 못 찍겠다"고 토로했다.
마지막으로 김도영 감독은 원작 소설과 차별화 된 분위기를 그리는 엔딩에 대해 "원작은 씁쓸한 현실을 보게 만든다. 하지만 난 2019년을 사는 김지영들에게 '괜찮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고 싶었다"며 "지영이 어머니 보다는 지영이가, 지영이보다는 지영이 딸 아영이가 새로운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는 희망을 그리고 싶었다"고 감독의 명확한 연출 이유를 각인시켰다.
누군가는 마주하기 힘들 수 있지만, 누군가는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마주한 현실. 공감과 위로를 모두 담아내며 상업영화의 틀 안에서 과감한 도전을 감행한 '82년생 김지영'은 23일 개봉한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사진=김진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