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기업공개(IPO) ‘최대어’로 꼽힌 SK바이오팜이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새 역사를 썼다. 내달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을 앞두고 진행한 공모주 청약에서 신기록을 세우며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거품이 크게 끼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날 마감한 SK바이오팜 공모 청약에 약 30조9899억원의 증거금이 모였으며, 323.0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공모 청약 증거금을 기록한 2014년 12월 제일모직의 약 30조635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이날 마감된 일반투자자 청약 경쟁률은 한국투자증권 351.1대 1, NH투자증권 325.2대 1, 하나금융투자 323.3대 1, SK증권 254.5대 1을 기록할 정도로 뜨거웠다.
SK바이오팜은 청약 첫날인 23일에도 61.9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뜨거운 열기를 예고했다. 이날에만 2억4250만주가 몰리며 5조9412억원의 청약 증거금이 쌓였다.
17일과 18일 양일간 실시한 수요예측에서도 국내외 기관 1076곳이 참여하며 8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2016년 상장한 삼성바이오로직스(296대 1)를 뛰어넘는 것이다.
SK바이오팜의 IPO 대박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든든한 지원이 있어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SK바이오팜은 SK그룹 차원에서 미래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전폭적으로 지지한 계열사다. 최 회장은 30년 가까이 신약 개발에 투자했고, SK바이오팜은 국내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한 신약 2종을 보유하고 있다.
최 회장은 SK바이오팜에 대해 “20년 넘게 혁신과 패기, 열정으로 성장해온 만큼 장기적인 안목에서 혁신적인 신약 개발의 꿈을 이루자”고 말하는 등 애정을 보여왔다.
SK바이오팜은 성과도 냈다. 지난해 2월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유럽 내 상업화를 위해 스위스 제약회사 아벨테라퓨틱스와 기술 수출 계약을 했다. 계약 규모는 5억3000만 달러(6000억원) 수준이다.
이번 IPO는 이런 배경과 성과가 부각되고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를 맞아 주식 시장에 자금이 몰리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코스피에서 바이오 기업들의 높은 인기도 SK바이오팜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시가 총액 기준으로 코스피 톱5 중 2개가 바이오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3위)와 셀트리온(5위)이다.
SK바이오팜은 공모가는 4만9000원으로 결정됐다.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3조8373억원 수준이다. 내달 2일 상장되면 SK바이오팜의 시가총액 순위는 단숨에 50위권에 진입한다. CJ대한통운, 롯데지주, 유한양행보다 시가총액이 크며, 바이오제약 기업 중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에 이어 3위에 오른다.
하지만 ‘바이오 거품론’이 고개를 들고 있어 이번 IPO의 뜨거운 열기에 우려가 나온다.
전통 제약사들은 바이오 기업에 대해 실적은 없고 기대감으로만 가득하다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 기업에 대한 맹목적이고 지나친 쏠림 현상 탓에 기존 제약사까지 손가락질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거품론’의 대표적인 기업이 코오롱 인보사 사태의 중심인 코오롱 티슈진과 신라젠이다. 두 종목은 현재 나란히 거래가 정지됐다.
SK바이오팜은 아직 이렇다 할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기술 수출을 통한 선계약금으로 잡힌 1238억원이 역대 최대 연매출 규모다. 지난 5월부터 세노바메이트를 미국에서 판매하고 있지만 가야할 길이 멀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서 뇌전증 치료제 1위 업계 규모가 1조원 수준이다”며 “업계 1위 규모 매출을 올리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SK바이오팜은 발굴·임상·허가·판매를 독자적으로 실행하고 있지만 넘어야 할 장애물이 적지 않다.
A 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한국과 의료보험 체계가 완전히 다르다. 의료보험 적용에 포함 여부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뇌전증 치료제는 완치 치료제가 아니라 진행속도를 더디게 만들어주는 것이어서 획기적인 신약이 아니다는 평가다.
B 업계 관계자는 “획기적인 신약이 아니라서 판매망을 구축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다. 1000억원 매출을 만들어내는 것도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한국의 FDA 승인 1호 신약인 ‘팩티브’도 시장성 확보에 실패하면서 소리 없이 사라졌다.
SK바이오팜의 또 다른 신약인 수면장애 치료제 솔리암페톨은 지난 1분기 실적이 24억원에 머무는 등 전분기 대비 약 30%나 감소했다.
조정우 SK바이오팜 대표는 “IPO를 통해 확보된 공모 자금을 신약 연구 개발 및 상업화에 재투자해서 회사의 성장 재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