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롤러블 폰 렌더링 이미지. 렛츠고디지털 국내 제조사들이 내년 2세대 폼팩터(구성·형태)인 롤러블(화면을 돌돌 마는) 스마트폰을 잇달아 공개할 예정이어서 1세대인 폴더블(화면이 접히는) 스마트폰의 입지에 변화가 예상된다. 장기적으로 폴더블 폰의 가격은 낮아져 대중화되고, 롤러블 폰은 프리미엄폰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2021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롤러블 폰의 하드웨어 개발을 마치고 소프트웨어 최적화 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다. 최근 국내 이동통신 3사 전산망에 롤러블 폰으로 추측되는 모델명인 'LM-R910N'이 등록됐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한 가전, TV와 달리 장기간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바일 사업은 LG전자의 아픈 손가락이다. 올해 3분기에도 MC(모바일 커뮤니케이션)사업본부는 1484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2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삼성전자의 국내 스마트폰 점유율이 70%를 처음으로 돌파한 만큼, 더 늦기 전에 시장 판도를 흔들 묘수가 절실한 상황이다.
LG전자 롤러블 폰 렌더링 이미지. 렛츠고디지털 LG전자의 모바일 사업을 이끄는 이연모 MC사업본부장 부사장에게 있어 롤러블 폰은 브랜드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유일한 열쇠다. 이 부사장은 모바일 사업 체질 개선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일반 직사각형 형태는 '유니버설 라인', 혁신 폼팩터는 '익스플로러 프로젝트'로 제품군을 이원화했다. 그 결과, 올 상반기와 하반기에 고사양 보급형(매스 프리미엄)인 'LG 벨벳'과 메인 화면이 90도로 꺾이는 'LG 윙'을 각각 시장에 내놨으며, 중저가 시장에서 나름 선전했다. 동시에 제조업자 개발·생산(ODM) 방식을 확대 적용하며 비용 절감을 이끌었다. 내년은 권봉석 LG전자 CEO 사장이 모바일 사업 흑자 전환을 약속한 해인 만큼, 실험에 그치지 않고 눈에 띄는 성과를 내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구글 안드로이드 개발자 사이트에 올라온 영상을 살펴보면 LG전자 롤러블 폰은 펼치기 전에는 6.8인치 크기지만, 펼치면 1.5배인 7.4인치가 된다. 아직 구체적인 사양이 나오지 않았지만, LG전자 롤러블 폰의 가격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239만8000원의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2'보다 높게 책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향후 LG전자가 LG 윙과 듀얼 스크린 라인업은 중저가 영역에, 롤러블 폰은 고가의 프리미엄 영역에 두고 폼팩터 마케팅 전략을 펼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지난달 12일 서울 서초구 우면동 서울R&D 캠퍼스에 방문해 차세대 스마트폰의 디자인을 살펴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LG전자의 롤러블 폰 출시 소식에 자연스럽게 삼성전자에도 눈길이 쏠린다. 지난 11월 이재용 부회장이 서울R&D 캠퍼스를 방문해 디자인 전략을 점검하는 모습이 공개됐는데, 그의 손에 아직 공개되지 않은 시제품이 들려 있었다. 내년에 선보일 롤러블 폰이라는 등 다양한 추측이 제기됐지만 명확하게 드러난 사실은 없다. 회사 관계자는 "폴더블 폰 개발까지 8년이 걸렸다. (롤러블 폰도) 양산되기까지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노태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사장은 자사 뉴스룸을 통해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그는 "소비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갤럭시노트의 경험을 더 많은 제품군으로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며 "내년 1월 새로운 소식과 함께 찾아뵙겠다"고 했다. 차기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S21' 출시를 공식화한 것은 물론, 갤럭시노트의 단종설을 일축한 것이다. 지금까지 업계는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와 S 시리즈를 통합하고, 폼팩터에 한해 차별화된 브랜드를 부여할 것이라고 관측해왔다.
갤럭시 Z 폴드2. 삼성전자 제공 내년 1월 11일부터 14일까지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21'이 온라인에서 열릴 예정이지만, 삼성전자는 따로 언팩 행사를 마련해 스마트폰 신제품을 소개할 가능성이 높다. 이 과정에서 갤럭시S21은 물론, 새로운 폼팩터의 청사진을 제시할지 이목이 집중된다. 회사는 지난해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롤러블 폰의 명칭으로 보이는 '익스펜더블'의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회사 관계자는 "2018년 개발자 회의에서 밝힌 것처럼 롤러블 폰에 대한 방향성은 모바일 제조사로서 당연히 가지고 있다"며 "디스플레이가 접히고 늘어나는 것을 떠나 소비자를 어떻게 설득하느냐가 중요하다. 출시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폴더블 폰의 가격은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첫 폴더블 폰인 갤럭시 폴드는 출고가가 작년 9월 출시 당시 239만8000원이었지만 올해 2월 199만8700원, 10월 170만5000원으로 인하됐다. 신작 출시의 영향도 있지만 70만원 가까이 저렴해진 것은 주목할 만하다. 갤럭시노트를 폴더블 폰이 대체하게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업계는 일단 차세대 폼팩터 생태계 확장에 힘을 쏟는다는 입장이다. 노태문 사장은 "더 많은 고객이 혁신적인 폴더블 기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폴더블 제품군의 다양화와 대중화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