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역사부터 비대면 팬데믹의 현재, 그리고 포스트코로나 시대까지 말과 글의 변화를 집약적으로 다뤘다.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가 마련한 첫 번째 총서 '코로나 시대의 말과 글'은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 많은 영역에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의 문제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성찰해 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크게 3부로 구성 된 '코로나 시대의 말과 글'은 1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문화적 고찰, 2부 비대면 시대와 삶의 변화, 3부 언택트 시대와 교육 현장에 대해 다룬다.
1부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황영미 교수의 '문학과 영화를 통해 본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인간의 태도'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소재로 한 소설과 영화에서 나타난 바람직한 인간의 태도와 공권력의 모습을 살펴 인간과 사회가 앞으로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를 살폈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김헌 교수의 '대규모역병의 서사 - 그리스 로마 문학의 사례'는 그리스 로마 시대의 전염병의 역사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배울 것인가를 고찰해 본 글이다.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유홍식 교수의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뉴스 소비와 사회 소통'은 코로나19 사태에서 변화한 미디어 소비의 변화와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진단한다.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이도흠 교수의 '간헐적 팬데믹 시대에서 좋은 말하기와 글쓰기'는 어려운 시기에도 여전히 어떻게 좋은 말과 글을 쓸 것인가 하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홍성민 교수의 '팬데믹 시대와 생태 지혜의 실천'은 코로나19사태가 인간의 자연환경의 파괴에서 비롯됐음을 진단하고 생태 지혜로의 전환을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살핀다.
2부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김응교 교수의 '유튜브를 통한 지구인의 문학 교류'에서는 비대면 시대에도 유튜브를 통한 소통은 더욱 활발해지면서 국가간의 경계를 허물고 문화소통을 하는 사례와 과정을 진단한다.
문화평론가 오영진 교수의 ''게임적 리얼리즘'로 살펴본 미래의 읽고 쓰기의 감각'은 코로나19 사태가 네트워크 혹은 가상세계에 대한 접속을 강제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미래의 책 읽기와 쓰기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를 예견한다.
언택트 시대 가장 많은 변화를 보인 온라인 교육현장에 대한 주제를 담은 3부 안양대학교 아리교양대학 김중철 교수의 '코로나19와 공간의 변화, 공간에 대한 글쓰기'는 코로나19사태 이후 일상의 변화는 공간의 성격 변화로 확인된다고 보고, 실제로 학생들이 즐겨 찾는 공간 대한 이해와 그 표현으로서의 글쓰기 행위가 갖는 의미를 살펴본다.
숙명여대 기초교양학부 신희선 교수의 '비대면 환경에서 비판적 사고와 토론교육'은 코로나19사태로 인해 전면 온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토론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하였는가를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은 무엇인지를 모색한다.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는 "초연결된 사회에 살고 있는 오늘날 '코로나 시대의 말과 글'에서 저자들의 목소리를 들으며 한국사회 교양의 진정한 의미를 생각해 보고 대학 교양교육의 질적 성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