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셀트리온그룹 명예회장. 지난해 셀트리온의 성장세가 IT 기업 공룡인 네이버·카카오를 압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업계 따르면 셀트리온그룹이 ‘비대면 시대’에 IT 기업보다 더 좋은 실적을 올려 고무된 모습인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 공시대상 기업집단(대기업)’에 따르면 셀트리온그룹의 매출은 2019년 2조4000억원에서 2020년 4조1000억원으로 무려 1조7000억원이나 증가했다. 카카오가 3조4000억원에서 4조4000억원으로 1조원 올랐고, 네이버가 5조5000억원에서 5조9000억원으로 4000억원 증가했다. 셀트리온의 매출은 카카오와 네이버가 합친 증가분보다 많았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복제약)의 판매 증가로 매출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 계열사인 셀트리온과 셀트리온 헬스케어는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매출 1조8491억원, 영업이익 7121억원을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매출 1조 6276억원, 영업이익 3621억원을 기록했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매출은 2019년에 비해 각 64%, 48%나 증가한 수치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제품군 확대로 공급량이 늘어난 데다 제1공장 증설 및 생산 효율성 개선으로 실적이 양호하게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셀트리온의 1조7000억원 매출 증가는 국내 대기업 중 재계 1위 삼성전자(11조3000억원) 다음으로 많았다. 셀트리온헬스케어 CI. 셀트리온그룹의 자산 규모 성장세도 카카오와 네이버를 압도했다. 셀트리온그룹은 자산 규모가 8조8000억원에서 14조9000억원 규모로 커졌다. 1년 새 6조1000억원이나 불어난 셈이다. 셀트리온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가 도래하면서 주식가치 상승, 매출 증가에 이은 주식 출자 회사 설립(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으로 자산이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셀트리온 삼형제(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셀트리온제약) 합병을 목적으로 세워진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의 자산 가치가 3조1000억원으로 책정됐다.
역시 비대면 특혜를 누린 카카오가 14조2000억원에서 19조9000억원으로 5조7000억원, 네이버가 9조5000억원에서 13조6000억원으로 4조1000억원이 불었지만 6조1000억원이 급증한 셀트리온에는 미치지 못했다.
셀트리온은 이 같은 자산 규모 증가로 재계 순위도 45위에서 24위로 가장 많이 뛰어올랐다. 자산 10조원 이상으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으로 새롭게 지정되기도 했다. 네이버의 자산 순위는 41위에서 27위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