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자 체조 기대주 신재환(23·제천시청)이 처음 출전한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신재환은 2일 일본 도쿄 아리아케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남자 기계체조 도마 결선에서 1·2차 시기 평균 14.783점을 획득했다.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올림픽위원회)과 평균 점수는 같았지만, 1차 시기에서 난도 6.0짜리 기술을 구사한 신재환이 타이브레이크 규정에 따라 1위에 올랐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양학선이 금메달을 획득한 뒤 신재환이 9면 만에 금맥을 이었다.
신재환은 1차 시기에서 14.733점을 기록했다. 난도 6.0짜리 요네쿠라(공중에서 3바퀴 반을 도는 기술)를 펼쳤다. 착지 동작에서 한 발을 벗어났지만, 충분히 안정적인 연기였다. 2차 시기는 난도 5.6짜리 '여2(공중에서 두 바퀴 반을 비틀어 내리는 기술)' 펼쳐 14.833점을 받았다.
신재환에 이어 연기에 나선 야블라진은 1차 시기 14.766, 2차 14.800을 기록했다. 더 높은 난도를 구사한 신재환이 1위를 지켰다. 마지막 순번에 나선 태국 카를로스 율로는 1차 시기에서 착지가 크게 벗어났다. 신재환의 금메달 가능성이 커졌다. 율로의 2차 시기가 끝난 순간 기대는 확신으로 변했다.
한국은 다시 한번 도마 강국의 힘을 증명했다. 1988 서울올림픽에서 박종훈이 올림픽 첫 동메달을 획득했고, 4년 뒤 바르셀로나 대회에서 유옥렬도 동메달을 땄다. 1996년 애틀란타 대회에서는 여홍철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런던 대회에서 양학선이 자신의 기술 '양1'을 성공시키며 사상 첫 금메달리스트가 됐다.
이번 대회에서도 1일 여자 도마 결선에 나선 '여홍철의 딸' 여서정이 한국 여자 선수 최초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신재환이 사상 두 번째 금메달을 획득하며 화룡점정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