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 금융 대장 격인 KB국민은행이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의 뒤를 열심히 쫓고 있다. 등장하자마자 KB국민은행을 뛰어넘은 카카오뱅크와의 시가총액 격차를 좁히기 위해 추격하고 있고, 앱 서비스 편의성을 쫓아가기 바쁜 모습이다.
카뱅은 1개인데…KB국민, 20여개 앱 단순화 작업
27일 KB금융의 앱 'KB스타뱅킹'이 새롭게 다시 시작한다. 지난 2010년 4월 출시돼 현재 1760만명의 고객이 선택한 KB스타뱅킹은 꾸준히 변화하며 성장해 왔다.
하지만 그동안 KB금융의 앱은 40여 개에 달하며 '너무 많다'는 비판을 받아야 했다. '알림' 마저 별도 앱으로 받아야 해서 고객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서비스라는 인식이 강했다.
실제로 구글 앱 마켓에서 'KB국민은행'으로 검색하면 20개의 관련 앱이 나온다. 자산관리·부동산·통합인증·원격지원 등 종류도 다양하다. UX(이용자 경험)나 UI(이용자 환경) 편의성과 앱 구동 속도 면에서도 인터넷은행의 앱보다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와 비교해 카카오뱅크는 단 하나의 앱으로 웬만한 금융 서비스를 다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들에게 호응을 얻어 왔다.
카카오뱅크는 2017년 7월 출범 이후 5일 만에 100만명 이상이 계좌를 개설했고, 지난 8월 말 기준 고객 수 1700만명을 돌파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올해 8월까지 가입한 전체 신규 계좌개설 고객의 약 50%가 40대 이상으로, 전 연령층으로 고객 기반도 확대되고 있다.
KB금융도 '단순화' 작업에 들어갔다.
개편된 KB스타뱅킹은 국민은행 내 흩어진 앱뿐 아니라 KB금융 계열사 앱도 하나로 모았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KB스타뱅킹에서는 KB금융 계열사인 KB증권의 '이지(Easy) 주식 매매'와 KB국민카드의 'KB페이', KB손해보험의 '스마트 보험금 청구' 등 KB금융 6개 계열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또 KB국민은행이 오랜 기간 쌓아온 수준 높은 자산관리 노하우를 담아 고객 중심의 제안형 맞춤 자산관리 서비스 ‘마이자산관리’도 신설됐다.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기존 금융사 앱의 경우 ‘너무 많다’는 비판이 있었다"며 "이는 단기간에 토스나 카카오페이 등 핀테크가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라고 말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KB금융의 스타뱅킹 앱은 송금·증권·은행 등 여러 금융 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통합해 트래픽을 집중시키는 토스의 슈퍼 앱 전략과 유사한 방향"이라며 "아직 성공 여부를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방향성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시총도 4조원까지 격차 좁혀
KB금융은 카카오뱅크의 앱 서비스를 쫓는 것과 동시에 뒤처진 시총을 따라잡기에 바쁘다. 카카오뱅크의 시총은 꾸준히 KB금융을 뛰어넘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의 몸값은 고평가 논란이 있어왔다"면서도 "어쨌든 시총에 있어 시중은행을 웃도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1일 기준 KB금융의 시총은 22조원, 카카오뱅크는 42조원이었다. 시가총액 순위도 KB금융은 22위, 카카오뱅크는 10위로 12계단 차이가 났다.
지난달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의 악영향으로 KB금융을 비롯한 금융주들이 일제히 하락장에 머물렀다. 이 기간 KB금융의 주가는 5만1000~5만2000원대를 횡보했고, 지난달 23일에는 5만800원까지 떨어지며 5만원대를 위협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달 들어 KB금융의 주가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KB금융지주는 26일 5만9100원에 장을 마감하며 시총 24조5742억원을 나타냈다. KB금융의 주가가(종가 기준) 5만9000원대에 진입한 것은 지난 5월 11일(5만9800원) 이후 5개월 만이다.
특히 3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며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지난 21일 KB금융은 3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31% 늘어난 1조305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카카오뱅크는 5만9000원대에서 6만원 초반대를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힘을 쓰지 못하며 시총이 떨어졌다.
현재 KB금융의 시총은 24조원까지 뛰었고, 하락장을 맞은 카카오뱅크는 28조원까지 쪼그라들며 4조원의 격차로 뒤쫓고 있다.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KB금융이 3분기까지 호실적이 계속 이어지면서 4분기에 2022년을 대비한 매우 보수적인 비용처리를 가정해도 2021년 연간 순익은 4조4000억원을 상회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