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를 나타내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2.50(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5% 상승했다.
지난해 0.5%에서 2%가 뛴 것이다.
한국은행의 물가 목표치인 2%를 넘은 건 2012년(2.2%) 이후 9년 만에 처음이며, 2011년(4.0%)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올해 상품 가격은 농축수산물이 8.7% 뛰면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연간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률은 2011년(9.2%) 이후 가장 높다.
공업제품도 석유류(15.2%), 가공식품(2.1%) 등이 상승하며 2.3% 올랐다. 이는 2012년 2.8% 오른 뒤 최대 상승폭이다.
올해 서비스 가격은 1년 전보다 2% 상승했다. 개인서비스가 2.6%, 공공서비스가 1.0%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전년 -1.9%에서 올해 상승 전환했다.
집세는 1.4% 상승해 2017년(1.6%)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이 가운데 전세는 1.9%, 월세는 0.7% 각각 올랐다.
다만 전기·가스·수도는 도시가스, 전기료 등 인하로 2.1% 하락하며 전년(-1.4%)보다 하락폭을 키웠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8% 상승했는데, 2015년(2.2%)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도 같은기간 3.2% 올랐다. 2011년(4.4%) 이후 가장 많이 오른 것이다.
1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