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라 경제도시의 로열 그린스 골프 앤드 컨트리클럽에서 가진 아시안투어 인터내셔널 시리즈 개최 기자회견에 참석한 그렉 노먼(호주) LIV 골프 인베스트먼트 대표는 환하게 웃으면서 아시안투어 골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미국 프로골프(PGA) 투어 통산 20승을 거둔 ‘스타 골퍼’였던 그는 지난해 10월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만든 투자회사인 LIV 골프 인베스트먼트의 대표직을 맡고서 아시안투어와 협업을 시작했다.
지난해 10월 “10년간 10개 대회를 신설해 2억 달러(약 2340억원)를 투자하겠다”던 노먼은 투자 규모를 더 늘리기로 했다. 총 3억 달러(3630억원)를 들여 아시아 전역을 돌면서 여는 인터내셔널 시리즈를 개최하기로 했다. 조 민 탄트(말레이시아) 아시안투어 커미셔너는 “아시아 골프가 이제 새로운 시대의 문턱에 섰다”고 말했다.
미국, 유럽 등에 가려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던 아시안투어가 중동 자본을 등에 업고 세계 골프계에서 무시 못할 투어로 떠올랐다. 아시안투어는 3일 개막한 사우디 인터내셔널을 시작으로 내년 초까지 25개 대회를 연다. 그동안 아시안투어는 매 시즌 25~30개 대회를 치렀지만, 한국, 일본, 유러피언투어 등과 공동 주관 형식으로 대회를 연 게 많았다. 그러나 사우디 자본을 등에 업고 자체적인 시리즈 개최를 추진할 만큼 자생력을 갖출 계기를 마련했다.
유러피언투어 대회로 열렸던 사우디 인터내셔널은 올해 아시안투어에 편입되고서 시즌 개막전으로 개최한다. 김주형, 웨이드 옴스비(호주) 등 아시안투어 멤버 외에도 더스틴 존슨, 브라이슨 디섐보, 필 미켈슨(이상 미국) 등 PGA 투어 골퍼들이 다수 출전했다. 사우디 자본이 각 선수마다 100만 달러(약 12억원) 이상 초청료를 지급하는 등 출전 골퍼들에게 특급 대우를 한 결과다. 필 미켈슨은 “선수들이 경쟁하듯 골프 투어도 경쟁을 통해 바뀌길 바란다”며 아시안투어의 변화를 옹호했다.
아직 아시안투어의 변화를 좀 더 두고봐야 한단 시선도 있다. 다음달 태국에서 열릴 대회를 제외하곤 올 시즌 구체적인 일정을 아직 확정짓지 못했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싱가포르, 베트남 등에서 하반기 대회를 연다는 정도만 공개했다. 조 민 탄트 커미셔너는 “미국 등 전 세계에 중계되고, 보다 세계적인 투어로 성장하는 게 목표”라고만 밝혔다.
아시안투어와 함께 사우디아라비아 자본이 깊숙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수퍼골프리그(SGL)의 움직임도 주목받고 있다. 더스틴 존슨과 필 미켈슨은 3일 “SGL과 관련해 사우디 측과 계약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 조건으로 계약서에 사인했다”고 밝혔다. 미켈슨은 “세계랭킹 100위 이내 선수 모두 SGL에서 뛰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말했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이언 폴터(잉글랜드)가 사우디 측으로부터 SGL에 합류하는 대가로 3000만 달러(360억원)를 제안받았다”고 전했는데, 폴터는 “(금액이) 비슷하지는 않다”며 SGL 합류 제안을 부인하지 않았다.
SGL은 지난 2020년 1월, 개인전과 더불어 자동차 경주대회인 포뮬러원 형식의 팀 경쟁 시스템을 도입해 새로운 골프 투어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40~48명의 선수가 연간 18개 안팎의 대회에 나서 시즌 총 상금 2억4000만 달러(약 2837억원)를 걸고 경쟁한다. PGA 투어(47개 대회·총 상금 4억 달러)보다 상금 규모는 적지만, SGL의 대회 수와 선수 규모가 적어 선수에게 돌아가는 상금은 더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