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방송된 JTBC '차이나는 클라스-질문 있습니다'에는 이근욱 교수가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에 관해 설명했다. 2001년 9.11 테러 발생 후 미국은 곧바로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다. 테러의 배후였던 알카에다의 수장 빈 라덴을 아프가니스탄 내 탈레반 정권이 보호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빈 라덴 소탕과 테러 조직에 협조하는 탈레반 정권 축출을 목적으로 아프가니스탄에 폭격을 개시한 미국은 테러 발생 102일 만에 탈레반 정권을 제거했다.
순조롭게 탈레반 정권을 축출한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내에 민주 정부를 수립하려 했다. 왜 새로운 정부까지 세우려 했는지 묻는 학생의 말에 이근욱 교수는 "미국은 테러의 근거지 자체를 없애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정상적인 국가를 설립하려 했다"라고 답했다. 하지만 지난 2021년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의 완전한 철수와 동시에 탈레반 세력이 수도 카불을 장악, 전쟁 20년 만에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재집권하게 됐다.
세계 군사력 1위 국가인 미국이 20년이란 시간 동안 아프가니스탄에서 테러와의 전쟁에 실패한 원인은 무엇일까. 이근욱 교수는 "최고의 군사력으로도 제거할 수 없던 적이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바로 양귀비와 아편이다. 세계 아편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최대의 아편 생산국인 아프가니스탄. 미국의 침공 이후 탈레반은 아편으로 자금을 모아 재건에 성공,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에서 거대한 마약 조직으로 거듭났다. 이를 방관하고 분석하지 못한 미국은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아프가니스탄 침공 후 2년 뒤 미국은 이라크의 독재자 사담 후세인이 테러 조직과 연계되어 있고,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이라크를 침공했다. 침공 후 사담 후세인 독재 정권은 무너졌고, 그 자리에 친미 정권이 세워졌다. 기존의 이라크는 사담 후세인을 필두로 한 소수의 수니파가 다수의 시아파를 억압하는 상황. 하지만 미국 침공 이후 정권을 잡은 시아파는 수니파를 가혹하게 탄압하기 시작하며 두 종파 간의 갈등은 극에 달했다. 종파 분쟁 속에서 생존을 위해 수니파는 극단주의 테러 집단과 손을 잡게 됐다. 이는 곧 강력한 테러 집단인 IS의 탄생과 이어졌다.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20년의 역사를 함께 살펴본 이근욱 교수는 끝으로 "미국은 전혀 성격이 다른 두 전쟁을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보았고, 이런 무지와 오만으로 너무나도 많은 희생을 치렀다. 비극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군사력 사용에 대해 조심하고 신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강연을 마쳤다.
'차이나는 클라스-질문 있습니다'는 12일 유라시아를 탐험하는 고고학자 강인욱 교수와 함께 '피 튀기는 황금 유물 쟁탈전'이라는 주제로 '전쟁의 시대' 시리즈 세 번째 강연을 이어간다.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방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