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이 L당 2100원 선도 넘어서는 등 날마다 최고가 신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사진은 19일 서울 시내 주유소 모습. 연합뉴스 자가용 운전자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기름값과 함께 세차료, 주차료, 대리운전 이용료 등 차량 관련 유지 비용이 일제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차주들이 가장 부담을 느끼는 부분은 연일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연료비 즉 '기름값'이다.
실제 이날(오전 10시 기준)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올라온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평균 판매가는 L당 각각 2106.52원, 2114.74원을 기록했다. 경유 최고가가 3000원을 넘긴 주유소도 등장했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이달 11일 2064.59원을 기록하며 10년 2개월 만에 역대 최고가 기록을 넘어섰다. 경유 가격은 이미 지난달 12일 1953.29원을 기록, 최고가를 14년 만에 경신한 데 이어 한 달 넘게 날마다 최고가 신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차주들 사이에서는 ‘차 몰기 겁난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문제는 경유와 휘발유 가격의 고공행진이 당분간 더 이어질 것이라는 데 있다.
글로벌 투자 은행(IB)들은 유럽연합(EU)의 러시아 석유 금수 시행, 산유국의 여유 생산 능력 부족, 낮은 세계 재고 수준 등을 이유로 국제유가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평균 유가를 종전 전망치보다 10달러 상향 조정한 배럴당 135달러로 제시했다.
이에 정부가 이날 유류세 인하 폭을 7월부터 연말까지 법상 허용된 최대 한도인 37%까지 확대키로 했지만, 자가 운전자들의 부담이 여전하다. 지난달에도 한시적으로 유류세를 30% 인하했지만 유가 오름폭이 너무 커 유류세 인하 효과가 체감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수급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석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미국의 드라이빙 시즌(6∼8월) 도래와 중국의 상하이 봉쇄조치 완화 등의 여파로 고유가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교통 물가를 중심으로 한 소비자물가 상승도 자가 운전자들에게는 큰 부담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2020년 100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올랐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2개 부문 가운데 교통 물가 상승률이 14.5%로 가장 높았다.
교통 물가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 개인 운송장비 운영비, 운송 서비스 이용료로 구성되는데, 개인 운송장비 운영 관련 품목의 상승률은 25.2%로 2008년 7월(27.6%)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세부적으로는 차량 유지에 드는 자동차용품(11.0%), 자동차 타이어(9.8%), 세차료(8.7%), 엔진오일 교체료(8.4%)와 개인 운송장비 관련 기타 서비스인 대리운전 이용료(13.2%), 주차료(4.7%) 등이 모두 올랐다.
이처럼 자동차 유지 비용이 늘자, 아예 자가용 이용을 자제하는 이들도 느는 추세다.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 사이트 페트로넷을 보면 지난 4월 국내 휘발유·경유 합계 소비량은 1735만5000배럴로 전달 대비 5.8% 감소했다. 코로나19로 고강도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되던 지난해 4월 2124만7000배럴에 비해 18.3% 줄었다. 국내 휘발유·경유 소비량은 올해 들어 1월 2199만6000배럴, 2월 1849만2000배럴, 3월 1842만4000배럴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휘발유·경유 소비량이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또다시 큰 폭으로 줄어들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난해부터 기름값이 많이 오르다 보니 많은 시민이 주유비를 절약하려고 출퇴근 시 자가용보다는 대중교통을 더 이용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