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에서 밀을 수확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공급망이 타격을 입으면서 급등했던 세계식량가격이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이하 FAO)가 조사한 2022년 6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2.3% 하락한 154.2포인트를 기록했다.
3월에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품목군별로는 곡물 및 유지류, 설탕 가격지수가 떨어졌다.
곡물 가격지수는 전월보다 4.1% 하락한 166.3포인트다. 밀은 북반구의 수확 개시, 캐나다·러시아 등의 생산량 개선 전망, 전 세계적인 수입 수요 둔화 등으로 가격이 떨어졌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수확 진행, 미국의 작황 개선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쌀은 인디카 및 바스마티 쌀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유지류는 전월보다 7.6% 내려간 211.8포인트다. 팜유는 주요 생산국의 공급량이 증가하고 인도네시아가 국내에 팜유 재고를 수출할 것으로 보이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해바라기씨유와 대두유는 최근의 가격 증가의 영향으로 수입 수요가 억제되면서 가격이 떨어졌다. 유채씨유는 수요 억제에 더해 수확기가 다가오면서 가격이 낮아졌다.
육류는 전월보다 1.7% 상승한 124.7포인트다. 가금육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반구의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으로 공급 장애가 이어지고 있다.
쇠고기는 중국이 브라질로부터의 수입 제한을 해제하면서 가격이 올랐다. 돼지고기는 주요 수입국들이 수입량을 확대하면서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유제품은 전월보다 4.1% 오른 149.8포인트다. 치즈는 유럽의 이른 폭염으로 생산량이 감소해 하반기 공급 물량이 저조할 것으로 우려된다. 분유는 수입 수요 강세와 전 세계적인 공급 부족이 이어지고 있다.
버터는 향후 수개월 간 우유 공급 전망이 불확실해지면서 유럽 내 수요와 해외 수요가 모두 증가했다.
설탕은 전월보다 2.6% 하락한 117.3포인트다. 세계 경제 성장 둔화로 설탕 수요가 감소했고, 브라질 헤알화 약세와 에탄올 가격 하락 등이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FAO는 2022~2023년 세계 곡물 생산량이 2021~2022년 대비 0.6%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같은 기간 세계 곡물 소비량도 0.1%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