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이용자 인식 강화와 관리 시스템 도입에도 스팸 문자가 여전히 기승을 부린다. 경기 침체를 노린 투자·대출 안내 메시지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연락처를 차단해도 새로운 번호로 들어와 소용이 없다.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부재한 상황이다.
기자는 지난 5일과 6일, 16일 3차례에 걸쳐 주식·코인 관련 스팸 문자를 받았다. 수익성이 높은 종목을 추천한다며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 접근을 유도했다.
18일 해당 번호로 직접 전화를 걸어봤다. 연락이 닿은 한 남성은 "최근 해킹을 당했다. 미안하게 됐다"고 말했다. 다른 번호들은 이미 착신이 정지된 상태였다.
업계에 따르면 특정 업체가 광고를 목적으로 문자를 대량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이동통신사는 발송을 대행하는 역할만 한다. 문자 재판매사 또는 문자 중계사로 불리는 B2B(기업 간 거래) 업체가 실질적인 의뢰를 받아 업무를 수행한다.
문제는 스팸 문자를 예방하는 시스템이 사후관리에 기반을 둔 것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신고를 받은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쌓아 이통사와 공유하는 방식이다. 문자 발송 의뢰자가 매번 번호를 바꾸면 막을 도리가 없다.
이통사 관계자는 "스팸 필터링 부가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번호가 나와도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건 아니다"고 했다.
이통사 이용약관을 바꿔 개통 가능한 번호를 제한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지만 매출과 직결돼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1인 명의로 이통사와 알뜰폰을 오가며 번호를 수급했을 가능성이 큰데, 정확한 수법은 알 수 없다는 게 KISA의 설명이다.
KISA 관계자는 "(주식·코인 투자 스팸의 경우) 돈을 벌고 싶거나 호기심이 생겨도 관련 사이트에 접근은 안 하는 게 좋다"며 "문자에 포함된 URL은 눌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웹사이트 가입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 하반기 휴대전화·이메일 이용자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평균 스팸 수신량은 0.42건으로 집계됐다. 5일에 2통은 받는 셈이다.
문자 스팸 신고·탐지 건은 상반기 대비 10.3% 감소했다. 도박(40.8%)과 금융(19.7%), 불법 대출(19.4%)의 순으로 많았다. 전송 경로는 대량 문자 발송 서비스(94.1%)가 압도적 비중을 보였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