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부터 '만 나이'를 적용하면서 취업 시장에도 변화가 올지 관심이 쏠린다. 취업 준비생들은 조금이라도 어려진 것이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는 데 반해 기업들은 별다른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14일 국회에 따르면 사법 관계와 행정 분야에서 만 나이로 표시 방식을 통일하는 내용의 민법 일부개정안과 행정기본법 일부개정안을 지난 8일 본회의에서 의결했다. 개정안은 공포 6개월 뒤 시행된다.
이는 일부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때 나이 계산·표시 방식의 차이로 빚어지는 혼선과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 지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는 '연 나이'와 매해 한 살씩 증가하는 '세는 나이'가 만 나이와 섞여 사용되고 있었다.
취업 준비생과 직장인들은 만 나이가 취업 활동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올 상반기 95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80.4%가 만 나이 도입으로 나이에 대한 부담을 더는 동시에 좀 더 원활한 취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19.6%였다.
또 응답자 10명 중 약 8.5명(84.7%)은 지원자의 나이에 따라 입사 당락이 좌우된다고 답했다. '약간 영향'을 준다는 답변이 61.9%로 가장 많았고 '매우 영향'(22.8%)이 뒤를 이었다.
한국식 나이인 세는 나이 기준 신입사원 입사 적정 나이는 남자가 평균 28.3세, 여자가 평균 26.5세로 조사됐다. 신입사원 입사 상한선은 남자가 평균 31.8세, 여자가 평균 30.0세로 집계됐다. 만 나이가 보편화하면 이 나이가 1~2년 낮아지는 셈이다.
이런 인식과 반대로 기업은 만 나이 도입에 따른 극적인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인사 규정이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나이와 학력 등을 따지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하고 있어서다.
국내 5대 그룹 중 유일하게 공채를 유지한 삼성의 경우 최소 지원 자격은 회사가 원하는 시기에 입사가 가능하며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고 영어회화 자격이 있는 자다.
취업 준비생 선호도가 높은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정년퇴직은 이미 만 나이로 정해져 있고 채용 시에도 나이를 묻지 않기 때문에 해당 사항이 없다"고 했다.
송재룡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본지에 "규모가 큰 조직은 인력의 투입과 자연적인 감소 등에 대응해 채용 계획 등을 앞당기거나 조직 인사 관리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 같다"면서도 "만 나이가 어떤 생애 주기적인 특강점이나 취약성을 갖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또 "나이에 민감한 한국 사회에서 이와 관련한 복잡한 감정이 사라질 것이다. 유럽처럼 '몇 년 몇 개월째다'라고 정확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문화가 자리 잡을 것"이라며 "나이 한두 살로 위계를 정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문화가 빨리 없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