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예금상당 창구. 연합뉴스 매년 새해를 시작하며 속속 등장하던 시중은행의 새해 특판 예·적금 상품이 종적을 감췄다. 가파른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금융당국이 '수신 금리 경쟁'에 제동을 건 여파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총 818조43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0%(163조5007억원) 증가했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174조9627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26.9% 늘었다. 이어 농협은행이 172조9221억원으로 20.7% 증가했고 하나은행 162조7239억원과 우리은행 154조5662억원으로 각각 23.4%, 30.5%, 신한은행도 153조2607억원으로 23.9% 늘어났다.
수신 잔액 증가는 고금리 영향이다. 작년 하반기 기준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시중은행의 수신 금리가 연 4% 중반까지 치솟으며, 그동안 특판으로만 받아야했던 금리를 시중은행이 그냥 제공하게 됐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현재 5대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4~4.5%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상품별로는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이 4.48%로 가장 높고, 농협은행의 'NH왈츠회전예금2'가 4.05%를 제공한다.
이마저도 지난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정기예금 금리를 5%대로 올렸다가 내린 것이다. 이는 금융당국이 과도한 수신금리 경쟁을 자제하라고 주문한 데 따른 여파였다.
금융권에서는 이 여파가 기준금리 인상 기조 동안에 계속 될 것이라고 내다본다.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상승 기조가 이미 시장에 선반영돼 있고, 당국의 수신금리 인상 자제 권고가 해가 지났다고 사라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신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은 적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오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3.25%에서 3.50%로 0.25%포인트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이 이미 금리에 반영돼 있다는 얘기다.
높아진 금리에 따라 매년 1월이면 나오던 예·적금 특판 상품은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1%대에 불과하던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은행들은 특판 상품을 내놓는 추세였다. 1월 하나은행이 설 연휴 5일 동안 판매한 'e-플러스적금'은 3년 만기 기준 연 1.3%였다. 그나마 특판으로 우대금리를 모두 받을 경우 최대 2.5% 금리가 적용됐다.
우리은행이 작년 초 창립 123주년을 기념해 판매한 ‘1·2·3 패키지 상품’도 기본금리 연 2.60%에 우대금리 0.50%포인트를 더해야 최고 2.10%를 제공하는 '고금리 적금'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2~3%대 특판 상품 출시가 더욱 활발했다. 2019년 우리은행은 최고 연 3.2%의 '우리 120년 고객동행 정기 예적금'을, 하나은행은 '황금드림 정기예금'을 내놨다. 또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역시 기존 상품에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하며 2~3%대 적금 상품을 제공했다. 하나은행‘작심하고 적금 시작’ 이벤트. 하나은행 제공 올해는 그나마 하나은행이 새해를 맞아 고객들에게 우대금리 쿠폰을 주는 이벤트를 하고 있다. 고객들의 신년 각오와 결심을 응원하기 위한 ‘작심하고 적금 시작’ 이벤트다.
1월 말까지 ‘급여하나월복리적금’, ‘주거래하나월복리적금’, ‘내맘적금’ 등 하나은행의 적금 3종을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금리 우대 쿠폰을 발급해준다. 쿠폰은 선착순 9만좌 한정으로 발급되고, 적금 가입 시 급여하나월복리적금 가입 기준 최대 6%(1년, 세전)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새해에도 은행권으로 돈이 몰리는 ‘역머니무브’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설 연휴를 기점으로 예·적금 특판 상품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반응이 나온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아직 특별한 특판 상품 출시 계획은 들은 바 없다"며 "금리가 아니어도, 다른 방향으로 고객에게 혜택을 돌려줄 수 있는 방법을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