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직 사외이사의 경력 분포도. 리더스인덱스 제공 5대 그룹의 사외이사 중 절반 이상이 2곳의 계열사에서 겸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자산순위 상위 30대 그룹 중 사외이사를 둔 220개 계열사의 사외이사 771명의 이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의 21% 수준인 168명이 2곳 이상 기업의 사외이사를 겸직했다. 상법 시행령상 사외이사는 상장사와 비상장사를 가리지 않고 2개까지만 겸직할 수 있고, 연임은 동일 기업에서 6년까지만 가능하다.
그룹별로 보면 겸직 사외이사 168명 중 절반이 넘는 91명(54%)이 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등 5대 그룹 사외이사였다.
현대차그룹이 17개 계열사의 사외이사 72명 중 24명이 겸직해 겸직 사외이사가 가장 많았다. 다른 그룹별 사외이사 겸직 현황을 보면 SK 19개 계열사 69명 중 19명, 삼성 16개 계열사 58명 중 18명, LG 13개 계열사 46명 중 14명, 롯데 15개 계열사 57명 중 16명 등이다.
전문성과 공정성을 잣대로 선발하고 있지만 사실 사외이사들은 ‘그 나물에 그 밥’이라고 할 정도로 한정된 자원에서 선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겸직 사외이사 경력을 보면 현직 교수가 73명(43%)으로 가장 많았다. 이 중 서울대(22명), 고려대(10명), 연세대(9명), KAIST(5명) 4개 학교 교수가 46명이었다.
이어 관료 출신이 55명(34%)이었다. 출신 부처는 국세청(12명), 검찰(9명), 사법부(6명), 산업통상자원부(6명), 기획재정부(3명) 순이었다. 특히 관료 출신 겸직 사외이사의 절반인 27명은 김앤장, 광장, 율촌, 태평양, 화우 등 로펌의 고문 등을 지낸 이력이 있었다.